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벤처기업 개방형 혁신의 선행요인 연구 = Antecedents of Open Innovation in Startu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71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with the acceleration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hort product life cycles, more compani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D and converge technologies in various fields. For startups that lack resources and their own technologies to survive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 open innovation strategy that opens the innovation process and actively utilizes internal and external ideas is particularly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onditions under which open innovation in Korean startups are promoted.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mpany's technology strategy formulation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ies and open innov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echnology strategy and communication,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startup innovation, are conditions for strengthening inter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promoting open innovation, and can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the government's support for open innovation.
      번역하기

      Recently, with the acceleration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hort product life cycles, more compani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D and converge technologies in various fields. For startups that lack resources and their own te...

      Recently, with the acceleration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hort product life cycles, more compani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D and converge technologies in various fields. For startups that lack resources and their own technologies to survive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 open innovation strategy that opens the innovation process and actively utilizes internal and external ideas is particularly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onditions under which open innovation in Korean startups are promoted.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mpany's technology strategy formulation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ies and open innov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echnology strategy and communication,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startup innovation, are conditions for strengthening inter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promoting open innovation, and can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the government's support for open innov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기술발전의 속도가 가속화되고 제품수명주기가 단축됨에 따라 많은 기업들은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융합해야 하는 혁신 요구를 받고 있다. 특히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원과 자체 기술이 부족한 벤처기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혁신과정을 개방하고 내·외부의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개방형 혁신 전략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벤처기업이 개방형 혁신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의 기술전략 수립과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제품혁신역량과 개방형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혁신역량의 경우 선행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개방형 혁신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벤처기업의 혁신에서 중요한 요소인 기술전략과 커뮤니케이션이 내부적인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개방형 혁신을 추진하는 조건이 된다는 점을 시사하며, 정부의 개방형 혁신 지원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번역하기

      최근 기술발전의 속도가 가속화되고 제품수명주기가 단축됨에 따라 많은 기업들은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융합해야 하는 혁신 요구를 받고 있다. 특히 대기...

      최근 기술발전의 속도가 가속화되고 제품수명주기가 단축됨에 따라 많은 기업들은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융합해야 하는 혁신 요구를 받고 있다. 특히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원과 자체 기술이 부족한 벤처기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혁신과정을 개방하고 내·외부의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개방형 혁신 전략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벤처기업이 개방형 혁신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의 기술전략 수립과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제품혁신역량과 개방형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혁신역량의 경우 선행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개방형 혁신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벤처기업의 혁신에서 중요한 요소인 기술전략과 커뮤니케이션이 내부적인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개방형 혁신을 추진하는 조건이 된다는 점을 시사하며, 정부의 개방형 혁신 지원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