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金弘壹의 생애와 독립운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103556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사학과 한국사전공 , 2013. 2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iv,41장: 삽화; 30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한시준
        참고문헌 : 32-34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Hong Il was an activist for Korean independence activ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China, Manchuria and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He joined the Chinese army for Korean independence after his exile to China until the liberation of Korea. Cooperating with the Chinese People’s Revolutionary Army during the North Expedition and China-Japan war, he became major-general and also participated in the armed resistance in Manchuria and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as well as Korean Patriot Organization, Chosun Volunteer Corps and Korean Resistance.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he also endeavored to protect Koreans in the North eastern region of China. This thesis aims to examine Kim Hong Il’s activities and systematically put them in order.
      Kim Hong Il was born on September 23, 1898 in Yongcheon, Pyeonganbukdo. From his personal experience of Russia-Japan war and study in Bongcheon, China, he realized the demise of the nation. In particular, he learned the new knowledge and spirit of independence at Osan school. This educational background at Osan school led him to educational movement for enlightenment and he took a teaching position at Kyeongshin school in Hwanghaedo.
      In September, 1918, Kim Hong Il exiled to China in order to participating the resistance against Japan after graduating from a Chinese military school. With the help of a number of Chinese resistance activists, Kim Hong Il could enter Guijuyukgunkangmu school and started his cooperation with Chinese army for Korean independence after graduation.
      In 1926 Kim Hong Il participated in the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of Chinese Nationalist Party. The People’s Revolutionary Army’s North Expedition at the time was concentrated on the warlords of the north region. Kim Hong Il was appointed major-general during this war. He was distinguished by his service at Yongdam battle and Jenam War. He was also rewarded by the Nationalist government for his service. As China-Japan War started by the Lugou Bridge incident on July 7, 1937, he joined the Chinese army to fight against Japan. During the early stage of war he focused on the duties behind the front line until he was appointed commander for troops in October 1938. The battles he participated in such as Mangaryeong battle, Sango battle and the second Jangsa battle were the most successful victories during the China-Japan war. During this war, Kim Hong Il became major-general which was the highest rank that Korean activists participating in the Chinese army ever achieved.
      In addition to his activity with the People’s Revolutionary Army, he also participated i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 first was the armed resistance in Manchuria and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in 1920. He joined the Goryeo Volunteer Corps and Korea Volunteer Corps re-organized after their dismissal after the catastrophe in Jayushi and started the fight against Japan till 1922. He gained much experience at the field, however witnessed the split of armed resistance.
      Kim Hong Il joined the Korean Patriot Organization and took an important role at such fights of Lee Bong Chang and Yun Bong Gil. He supported a variety of activities of Korean Patriot Organization as manager of Shanghai Armory Ironworks and director of information department of 19th regiment. The activities of Lee Bong Chang and Yun Bong Gil were possible with the explosives provided by Kim Hong Il. Due to his activities, the Korean resistance was able to shed off the depressed spirit. He was also involved with the Chosu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by participating in establishing Chosun Volunteer Corps as instructor of Kangneung military school.
      In May 1945 Kim Hong Il was appointed Deputy Chief of Korean Resistance. It was recommended by Kim Gu and yet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including Kim Won Bong. Despite the short duration of three months, he actively sought for the cooperation of Korean Resistance and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With Japan’s collapse on August 15, 1945 Kim Hong Il headed north as Senior Deputy Chief under the North East Security Commandership. He established a judicial office to protect Koreans in north as the Nationalist Party’s effort to take over the north eastern region. He also competed with the delegates in China over the leadership in managing the Koreans in the region. His activity is meaningful in that he was a frontier as officer of People’s Revolutionary Army in protecting Koreans in the north eastern regions where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immigrants were living. He became a specialist of People’s Revolutionary Army and moved to its jurisdiction until returning to Korea on August 23, 1948 after more than 30 years of exile.
      In summary, Kim Hong Il was active both in Chinese army and Korean resistance from the beginning of his exile till its end. He participated in the battles against Japan as Chinese soldier and at the same time support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y doing so the resistance was more stimulated as well as the cooperation between Koreans and Chinese was enhanced. Kim Hong Il continued fighting against Japan as resistance activist in China occupied by Japan and contributed to strong bond between Korea and China.
      번역하기

      Kim Hong Il was an activist for Korean independence activ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China, Manchuria and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He joined the Chinese army for Korean independence after his exile to China until the liberation of Korea. ...

      Kim Hong Il was an activist for Korean independence activ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China, Manchuria and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He joined the Chinese army for Korean independence after his exile to China until the liberation of Korea. Cooperating with the Chinese People’s Revolutionary Army during the North Expedition and China-Japan war, he became major-general and also participated in the armed resistance in Manchuria and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as well as Korean Patriot Organization, Chosun Volunteer Corps and Korean Resistance.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he also endeavored to protect Koreans in the North eastern region of China. This thesis aims to examine Kim Hong Il’s activities and systematically put them in order.
      Kim Hong Il was born on September 23, 1898 in Yongcheon, Pyeonganbukdo. From his personal experience of Russia-Japan war and study in Bongcheon, China, he realized the demise of the nation. In particular, he learned the new knowledge and spirit of independence at Osan school. This educational background at Osan school led him to educational movement for enlightenment and he took a teaching position at Kyeongshin school in Hwanghaedo.
      In September, 1918, Kim Hong Il exiled to China in order to participating the resistance against Japan after graduating from a Chinese military school. With the help of a number of Chinese resistance activists, Kim Hong Il could enter Guijuyukgunkangmu school and started his cooperation with Chinese army for Korean independence after graduation.
      In 1926 Kim Hong Il participated in the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of Chinese Nationalist Party. The People’s Revolutionary Army’s North Expedition at the time was concentrated on the warlords of the north region. Kim Hong Il was appointed major-general during this war. He was distinguished by his service at Yongdam battle and Jenam War. He was also rewarded by the Nationalist government for his service. As China-Japan War started by the Lugou Bridge incident on July 7, 1937, he joined the Chinese army to fight against Japan. During the early stage of war he focused on the duties behind the front line until he was appointed commander for troops in October 1938. The battles he participated in such as Mangaryeong battle, Sango battle and the second Jangsa battle were the most successful victories during the China-Japan war. During this war, Kim Hong Il became major-general which was the highest rank that Korean activists participating in the Chinese army ever achieved.
      In addition to his activity with the People’s Revolutionary Army, he also participated i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 first was the armed resistance in Manchuria and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in 1920. He joined the Goryeo Volunteer Corps and Korea Volunteer Corps re-organized after their dismissal after the catastrophe in Jayushi and started the fight against Japan till 1922. He gained much experience at the field, however witnessed the split of armed resistance.
      Kim Hong Il joined the Korean Patriot Organization and took an important role at such fights of Lee Bong Chang and Yun Bong Gil. He supported a variety of activities of Korean Patriot Organization as manager of Shanghai Armory Ironworks and director of information department of 19th regiment. The activities of Lee Bong Chang and Yun Bong Gil were possible with the explosives provided by Kim Hong Il. Due to his activities, the Korean resistance was able to shed off the depressed spirit. He was also involved with the Chosu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by participating in establishing Chosun Volunteer Corps as instructor of Kangneung military school.
      In May 1945 Kim Hong Il was appointed Deputy Chief of Korean Resistance. It was recommended by Kim Gu and yet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including Kim Won Bong. Despite the short duration of three months, he actively sought for the cooperation of Korean Resistance and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With Japan’s collapse on August 15, 1945 Kim Hong Il headed north as Senior Deputy Chief under the North East Security Commandership. He established a judicial office to protect Koreans in north as the Nationalist Party’s effort to take over the north eastern region. He also competed with the delegates in China over the leadership in managing the Koreans in the region. His activity is meaningful in that he was a frontier as officer of People’s Revolutionary Army in protecting Koreans in the north eastern regions where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immigrants were living. He became a specialist of People’s Revolutionary Army and moved to its jurisdiction until returning to Korea on August 23, 1948 after more than 30 years of exile.
      In summary, Kim Hong Il was active both in Chinese army and Korean resistance from the beginning of his exile till its end. He participated in the battles against Japan as Chinese soldier and at the same time support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y doing so the resistance was more stimulated as well as the cooperation between Koreans and Chinese was enhanced. Kim Hong Il continued fighting against Japan as resistance activist in China occupied by Japan and contributed to strong bond between Korea and Chin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김홍일은 일제강점기 중국과 만주·연해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그는 중국망명부터 해방 직후까지 중국군과 한국독립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중국 국민혁명군에서는 북벌과 중일전쟁에 참여하면서 소장 계급에 이르렀고, 한국독립운동에서는 만주·연해주에서의 무장투쟁과 한인애국단·조선의용대·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하였다. 그리고 해방 후 중국 동북지역에서는 한교보호 활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김홍일의 활동을 살펴보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김홍일은 1898년 9월 23일 평안북도 용천에서 태어났다. 그는 유년시절 러일전쟁을 직접 목격하기도 하였고, 중국 봉천으로 유학을 다녀오기도 하였다. 김홍일은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기울어가는 나라의 상황을 절감할 수 있었다. 특히 그는 이 시기 오산학교에 입학하면서 신학문과 함께 독립정신을 배울 수 있었다. 오산학교에서의 배움은 김홍일을 교육계몽 운동으로 이끌었고, 한 때 황해도에 위치한 경신학교에서 교사생활을 하기도 하였다.
      1918년 9월 김홍일은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그의 망명 목적은 중국 군관학교를 졸업하여 대일항전에 참여한다는 것이었다. 이후 김홍일은 많은 독립운동가들과 중국혁명인사들의 도움으로 귀주육군강무학교 입교할 수 있었다. 그는 귀주육군강무학교를 졸업하면서 중국군과 한국독립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1926년 김홍일은 중국 국민당의 북벌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이 무렵 국민혁명군이 추진하였던 북벌은 주로 화북지역의 군벌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 김홍일은 이러한 북벌전에 국민혁명군의 소령으로 임관하여 참여할 수 있었다. 그는 북벌의 과정에서 용담전투와 제남사변에 직접 참전하여 전공을 세웠다. 김홍일은 이러한 활약을 통해 국민정부로부터 공로장을 수여받기도 하였다. 또한 그는 1937년 7월 7일 노구교사건으로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중국군으로 일본군과의 직접적인 전투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김홍일은 전쟁 초기 후방임무에 전념하다가 1938년 10월부터 전투지휘관으로 발탁되면서 본격적인 전투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 시기부터 그가 참전한 만가령전투와 상고회전 그리고 제2차 장사회전 등은 중일전쟁에서도 손꼽히는 대승들이었다. 특히 김홍일은 중일전쟁을 거치면서 소장 계급으로 진급하였는데, 이것은 중국군에 참여한 한인 독립운동가들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진급 한 것이었다.
      김홍일은 국민혁명군에서의 활발한 활동과 함께 한국독립운동에도 참여하였다. 그의 첫 독립운동은 1920년 만주·연해주에서의 무장독립투쟁이었다. 김홍일은 자유시참변으로 와해된 독립군들을 재규합한 고려혁명의용군·대한의용군사회에 참여하면서 1922년까지 일본군과 백군을 상대로 전투를 전개하였다. 이 시기 그는 풍부한 실전경험을 가질 수 있었던 반면 무장독립운동의 분열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김홍일은 임시정부가 주도한 한인애국단에 참여하여 이봉창·윤봉길의거를 비롯한 의열투쟁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는 이 무렵 상해병공창의 주임과 19로군의 정보국장이라는 자신의 직책을 이용하여 다양한 한인애국단의 의거를 지원하였다. 그 가운데 이봉창·윤봉길 의거는 김홍일이 폭탄을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었다. 이러한 김홍일의 활동으로 인해 한국 독립운동은 이전의 침체된 분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이후 그는 강릉군관학교의 교관으로 조선의용대의 창설에 참여하면서 조선민족혁명당과 연계를 가지기도 하였다.
      1945년 5월 김홍일은 한국광복군의 참모장으로 취임하였다. 그의 참모장 취임은 김구의 권유에 의한 것이었지만 이면에는 김원봉을 비롯한 민족혁명당의 영향이 있었다. 김홍일의 참모장 활동은 3개월여 간의 짧은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한국광복군과 국민혁명군의 합작을 추진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1945년 8월 15일 일제의 패망과 함께 김홍일은 동북보안사령장관부 산하의 고급참모로 임명되어 동북으로 향하였다. 그는 국민당의 동북지역 접수과정에서 한교판사처를 신설하여 한교들을 보호하는 정책을 펼쳤다. 또한 동북지역으로 진출한 주화대표단과 한교관리에 대한 주도권을 두고 경쟁하기도 하였다. 김홍일의 한교보호 활동은 해방 후 가장 많은 한인들이 거주 하고 있는 지역이었던 동북지역에서 국민혁명군의 군인으로서 한교보호에 앞장섰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후 김홍일은 관내로 이동하여 국민혁명군의 전문위원직을 지내다가 1948년 8월 23일 30여년의 망명생활을 끝마치고 귀국하였다.
      이처럼 김홍일은 중국망명 후 귀국까지 중국군과 한국독립운동 양쪽에서 활약한 인물이었다. 그는 중국군으로 대일전에 직접 참전하는 동시에 한국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이를 통해 독립운동의 활성화는 물론이고 한중간의 연합전선 또한 공고할 수 있었다. 한국독립운동사에서 이와 같은 행적을 남긴 김홍일은 일제강점기 중국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들 중 군인의 신분으로 꾸준히 대일투쟁을 견지하면서 한중간 연대에 기여한 인물이었다.
      번역하기

      김홍일은 일제강점기 중국과 만주·연해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그는 중국망명부터 해방 직후까지 중국군과 한국독립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중국 국민혁명군에서는 북벌과 ...

      김홍일은 일제강점기 중국과 만주·연해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그는 중국망명부터 해방 직후까지 중국군과 한국독립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중국 국민혁명군에서는 북벌과 중일전쟁에 참여하면서 소장 계급에 이르렀고, 한국독립운동에서는 만주·연해주에서의 무장투쟁과 한인애국단·조선의용대·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하였다. 그리고 해방 후 중국 동북지역에서는 한교보호 활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김홍일의 활동을 살펴보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김홍일은 1898년 9월 23일 평안북도 용천에서 태어났다. 그는 유년시절 러일전쟁을 직접 목격하기도 하였고, 중국 봉천으로 유학을 다녀오기도 하였다. 김홍일은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기울어가는 나라의 상황을 절감할 수 있었다. 특히 그는 이 시기 오산학교에 입학하면서 신학문과 함께 독립정신을 배울 수 있었다. 오산학교에서의 배움은 김홍일을 교육계몽 운동으로 이끌었고, 한 때 황해도에 위치한 경신학교에서 교사생활을 하기도 하였다.
      1918년 9월 김홍일은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그의 망명 목적은 중국 군관학교를 졸업하여 대일항전에 참여한다는 것이었다. 이후 김홍일은 많은 독립운동가들과 중국혁명인사들의 도움으로 귀주육군강무학교 입교할 수 있었다. 그는 귀주육군강무학교를 졸업하면서 중국군과 한국독립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1926년 김홍일은 중국 국민당의 북벌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이 무렵 국민혁명군이 추진하였던 북벌은 주로 화북지역의 군벌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 김홍일은 이러한 북벌전에 국민혁명군의 소령으로 임관하여 참여할 수 있었다. 그는 북벌의 과정에서 용담전투와 제남사변에 직접 참전하여 전공을 세웠다. 김홍일은 이러한 활약을 통해 국민정부로부터 공로장을 수여받기도 하였다. 또한 그는 1937년 7월 7일 노구교사건으로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중국군으로 일본군과의 직접적인 전투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김홍일은 전쟁 초기 후방임무에 전념하다가 1938년 10월부터 전투지휘관으로 발탁되면서 본격적인 전투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 시기부터 그가 참전한 만가령전투와 상고회전 그리고 제2차 장사회전 등은 중일전쟁에서도 손꼽히는 대승들이었다. 특히 김홍일은 중일전쟁을 거치면서 소장 계급으로 진급하였는데, 이것은 중국군에 참여한 한인 독립운동가들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진급 한 것이었다.
      김홍일은 국민혁명군에서의 활발한 활동과 함께 한국독립운동에도 참여하였다. 그의 첫 독립운동은 1920년 만주·연해주에서의 무장독립투쟁이었다. 김홍일은 자유시참변으로 와해된 독립군들을 재규합한 고려혁명의용군·대한의용군사회에 참여하면서 1922년까지 일본군과 백군을 상대로 전투를 전개하였다. 이 시기 그는 풍부한 실전경험을 가질 수 있었던 반면 무장독립운동의 분열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김홍일은 임시정부가 주도한 한인애국단에 참여하여 이봉창·윤봉길의거를 비롯한 의열투쟁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는 이 무렵 상해병공창의 주임과 19로군의 정보국장이라는 자신의 직책을 이용하여 다양한 한인애국단의 의거를 지원하였다. 그 가운데 이봉창·윤봉길 의거는 김홍일이 폭탄을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었다. 이러한 김홍일의 활동으로 인해 한국 독립운동은 이전의 침체된 분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이후 그는 강릉군관학교의 교관으로 조선의용대의 창설에 참여하면서 조선민족혁명당과 연계를 가지기도 하였다.
      1945년 5월 김홍일은 한국광복군의 참모장으로 취임하였다. 그의 참모장 취임은 김구의 권유에 의한 것이었지만 이면에는 김원봉을 비롯한 민족혁명당의 영향이 있었다. 김홍일의 참모장 활동은 3개월여 간의 짧은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한국광복군과 국민혁명군의 합작을 추진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1945년 8월 15일 일제의 패망과 함께 김홍일은 동북보안사령장관부 산하의 고급참모로 임명되어 동북으로 향하였다. 그는 국민당의 동북지역 접수과정에서 한교판사처를 신설하여 한교들을 보호하는 정책을 펼쳤다. 또한 동북지역으로 진출한 주화대표단과 한교관리에 대한 주도권을 두고 경쟁하기도 하였다. 김홍일의 한교보호 활동은 해방 후 가장 많은 한인들이 거주 하고 있는 지역이었던 동북지역에서 국민혁명군의 군인으로서 한교보호에 앞장섰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후 김홍일은 관내로 이동하여 국민혁명군의 전문위원직을 지내다가 1948년 8월 23일 30여년의 망명생활을 끝마치고 귀국하였다.
      이처럼 김홍일은 중국망명 후 귀국까지 중국군과 한국독립운동 양쪽에서 활약한 인물이었다. 그는 중국군으로 대일전에 직접 참전하는 동시에 한국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이를 통해 독립운동의 활성화는 물론이고 한중간의 연합전선 또한 공고할 수 있었다. 한국독립운동사에서 이와 같은 행적을 남긴 김홍일은 일제강점기 중국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들 중 군인의 신분으로 꾸준히 대일투쟁을 견지하면서 한중간 연대에 기여한 인물이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Ⅱ. 중국망명과 귀주육군강무학교 졸업 2
      • 1. 출생과 중국망명 2
      • 2. 귀주육군강무학교 졸업 4
      • Ⅲ. 중국군 참여와 활동 7
      • Ⅰ. 머리말 1
      • Ⅱ. 중국망명과 귀주육군강무학교 졸업 2
      • 1. 출생과 중국망명 2
      • 2. 귀주육군강무학교 졸업 4
      • Ⅲ. 중국군 참여와 활동 7
      • 1. 북벌전 참여 7
      • 2. 중일전쟁 참여 9
      • 3. 중국 동북지역 한교보호 활동 12
      • Ⅳ. 독립운동 참여와 활동 16
      • 1. 만주연해주에서의 활동 16
      • 2. 이봉창윤봉길 의거에 대한 지원 20
      • 3. 조선의용대 창설 23
      • 4. 한국광복군 참모장 25
      • Ⅴ. 맺음말 29
      • 참고문헌 32
      • 부 록 35
      • Abstract 3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