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73840

      • 저자
      • 발행사항

        공주 :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2014. 2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기타서명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for Peer Relation Improvement on the Ego Strength of Children

      • 형태사항

        iv, 714장 : 삽도 ; 27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백욱현
        참고문헌 : 47-51장

      • 소장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과 비교할 때 또래관계기술 및 자아강도가 향상될 것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남 Y군 소재 S초등학교 3, 4학년 2학급을 뽑아 실험집단(N=19)으로 하고 P초등학교 3, 4학년에서 2학급을 뽑아 비교집단(N=17)으로 하였다.
      두 집단이 동질집단임을 확인한 후에 실험집단에는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아무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처치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의 또래관계증진 프로그램을 연구자가 대상자에 맞게 일부 수정?보완한 것이고, 측정도구는 양윤란(2004)의 「또래관계기술 척도」와 김세영(2012)의 「자아강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을 마치고 일주일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는 결과를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또래관계기술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p<.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또래관계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둘째,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자아강도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p<.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자아강도 증진에 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강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학교수업에 이를 적용시키고 보편화하여 자아강도를 높여줌으로써 건강한 자아상을 만들고, 긍정적 또래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데 매우 유용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본 연구는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과 비교할 때 또래관계기술 및 자아강도가 향상될 것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남 Y군 소재 S초등학교 3, 4학년 2학급을 뽑아 실험집단(N=19)으로 하고 P초등학교 3, 4학년에서 2학급을 뽑아 비교집단(N=17)으로 하였다.
      두 집단이 동질집단임을 확인한 후에 실험집단에는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아무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처치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의 또래관계증진 프로그램을 연구자가 대상자에 맞게 일부 수정?보완한 것이고, 측정도구는 양윤란(2004)의 「또래관계기술 척도」와 김세영(2012)의 「자아강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을 마치고 일주일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는 결과를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또래관계기술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p<.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또래관계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둘째,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자아강도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p<.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자아강도 증진에 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강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학교수업에 이를 적용시키고 보편화하여 자아강도를 높여줌으로써 건강한 자아상을 만들고, 긍정적 또래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데 매우 유용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a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trength of children's egos. To achieve this,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a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compared with those who had not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were peer relationship skills and ego strength improved?
      To answer this question, students from the third and fourth grades in S elementary school in Chungnam Y County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N=19) and students from the third and fourth grades at P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N=17).
      After confirming the similarity of the two groups, a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implemen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special treatment.
      The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a peer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developed by the Korea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Institute for elementary students and partially amended/supplemented by the researchers to su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Yang Yun-ran's (2004) "Peer Relationship Skills Criteria" and Kim Se-yeong's (2012) "Ego Strength Criteria"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A pre-test was done prior to the start of the program and a post-test was done one week after the conclusion of the program.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p<.01) in peer relationship skill scores. This indicates that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peer relationship skill of children.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p<.001) in ego strength scores. This indicates that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ego strength of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conclusion is that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ling programs can be said to positively affect children's ego strength and that through generalizing these programs in classes to increase children's ego strength, they can be of great help in creating a healthy ego-state and forming positive peer relationship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a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trength of children's egos. To achieve this,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a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a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trength of children's egos. To achieve this,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a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compared with those who had not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were peer relationship skills and ego strength improved?
      To answer this question, students from the third and fourth grades in S elementary school in Chungnam Y County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N=19) and students from the third and fourth grades at P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N=17).
      After confirming the similarity of the two groups, a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implemen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special treatment.
      The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a peer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developed by the Korea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Institute for elementary students and partially amended/supplemented by the researchers to su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Yang Yun-ran's (2004) "Peer Relationship Skills Criteria" and Kim Se-yeong's (2012) "Ego Strength Criteria"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A pre-test was done prior to the start of the program and a post-test was done one week after the conclusion of the program.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p<.01) in peer relationship skill scores. This indicates that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peer relationship skill of children.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p<.001) in ego strength scores. This indicates that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ego strength of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conclusion is that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ling programs can be said to positively affect children's ego strength and that through generalizing these programs in classes to increase children's ego strength, they can be of great help in creating a healthy ego-state and forming positive peer relationship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 례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5
      • 차 례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7
      • 1. 자아강도에 관한 이론 7
      • 2.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에 관한 이론 14
      • 3. 또래관계와 자아강도의 관계 15
      • Ⅲ. 가 설 17
      • Ⅳ. 연구방법 19
      • 1. 실험설계 19
      • 2. 연구대상 19
      • 3. 측정도구 20
      • 가. 또래관계기술 척도 20
      • 나. 아동 자아강도 척도 21
      • 4. 실험처치 및 절차 23
      • 5. 자료분석 28
      • Ⅴ. 연구 결과 29
      • 1. 동질성 검증 29
      • 2. 가설의 검증 31
      • 가. 또래관계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31
      • 나. 자아강도 증진에 미치는 효과 35
      • Ⅵ. 논의 및 결론 42
      • 1. 논의 42
      • 2. 결론 및 제언 45
      • 참 고 문 헌 47
      • ABSTRACT 52
      • 부 록 55
      • [부록 1] 또래관계기술 척도 56
      • [부록 2] 아동자아강도 척도 58
      • [부록 3]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