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Building a School Community, Centered on Improving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 Professional Collegi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82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도시지역의 한 공립 초등학교에서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수업 및 교사협의회 개선을 주제로 거의 2년 동안 시범연구학교를 운영, 실천한 과정과 결과를 기록한 현장연구이다....

      이 연구는 대도시지역의 한 공립 초등학교에서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수업 및 교사협의회 개선을 주제로 거의 2년 동안 시범연구학교를 운영, 실천한 과정과 결과를 기록한 현장연구이다. 시범연구학교의 교장과 교사들은 대학의 연구진과 협력하여 그들이 제안한 배움과 돌봄의 학교공동체에 관한 철학, 원리, 실천 가이드를 수용하고 수업과 교사협의회의 개선에 중점을 둔 학교개혁을 시도하였다. 연구 자료는 현장에서 설문지 조사, 인터뷰, 관찰, 및 비디오 녹화 등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대학연구진의 긴밀한 협조와 시범연구학교 교직원의 학교개혁을 위한 실천노력을 통하여 나타난 학교의 변화과정은 대체로 다음의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 단계는 시범연구학교의 학교개혁 실천이 시작되고 난 후 약 한 학기 동안의 시기로서 교장 및 교사들과 대학연구진과의 만남과 갈등이 일어난 시기이었고, 두 번째 단계는 그 후 1년 정도의 시기로서 시범연구학교 교직원들의 학교공동체 개혁 아이디어에 대한 이해와 적응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는 그 이후의 시기로서 수업과 교사협의회의 개선을 통한 학교공동체가 어느 정도 정착되기 시작하였으나 뿌리를 내리기는 아직 불안정한 시기이었다. 이러한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시범연구학교의 운영은 교사들의 수업과 수업협의회의 개선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고 학생들과 학부모들에게는 미약하지만 일부 학교공동체 의식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의 기미를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2년에 걸친 학교개혁은 안정된 체제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개혁 리더십, 교사들의 자율적인 참여와 실천, 교사들의 순환근무제 개선과 같은 몇 가지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될 필요가 있었다. 아울러, 이와 같은 학교개혁이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적어도 2년 이상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관심과 실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case study of action research on an urban public elementary school implemented for about two years. In consultation with a university research team, the pilot school personnel employed the philosophy, principles, and practical guides on buil...

      This is a case study of action research on an urban public elementary school implemented for about two years. In consultation with a university research team, the pilot school personnel employed the philosophy, principles, and practical guides on building a school community of learning and caring based on reforming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 meetings. Data were collected from survey, interview, observation, and videotaping. The progresses of the action research in the pilot school, observed by the university research team,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initial stage of encounter and conflicts between the university research team and the pilot school personnel; the stage of understanding and adjustment; and the stage of settling-down but still unstable reform. During the pilot school reform there were slow but steady improvements in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 collegiality. And the students and parents had a slight degree of positive changes in the limited areas of a sense of community. The pilot school had still many problems on the road to the stable system of building a school community. It was anticipated to take longer time than expected to solve those problems. In sum, I found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the practices of building a school community of learning and caring through reforming the classroom instruction and the teacher meetin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 Ⅱ. Methods and Data
      • Ⅲ. Results
      • Ⅳ. Conclusion
      • Ⅰ. Introduction
      • Ⅱ. Methods and Data
      • Ⅲ. Results
      • Ⅳ. Conclus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