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dverse Events of Bee Venom Acupuncture : A Systematic Revie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9348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임상한의학과 , 2014. 2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영어

      • 주제어
      • DDC

        616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봉침의 유해사례에 대핚 체계적 문헌고찰

      • 형태사항

        ⅴ, 49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성수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43-47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Bee venom acupuncture (BVA) is a type of acupuncture of injecting bee venom or a bee sting at a certain point. Even though evidence of its benefits are accumulating, evidence of its harms are scarce.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assess ...

      Background: Bee venom acupuncture (BVA) is a type of acupuncture of injecting bee venom or a bee sting at a certain point. Even though evidence of its benefits are accumulating, evidence of its harms are scarce.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assess the evidence regarding adverse events of BVA reported in prior clinical researches.
      Methods: A systematic search for adverse events of BVA in Pubmed,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Embase, NDSL, KoreaMed, KISS, RISS, KISTI, KMbase was performed. Characteristics and occurrence rates of adverse events, drop-out rates due to adverse events following BVA in all types of clinical trials eligible were assessed.
      Results: A total of 43 studies reported adverse events following BVA. In studi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dverse events of pruritus, localized swelling, and erythema appeared to occur significantly more in the BVA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Drop-outs due to adverse events occurred significantly more in the BVA group compared to the overall control groups.
      Conclusion: It appears that adverse events occur more frequently after BVA compared to controls. However evidence regarding the reporting of adverse events of BVA is not sufficient for assessing precise occurrence rates or drop-out rates. Thus no concrete conclusions can be stated with the current evidence. More research with better methodological quality is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봉침이란 특정한 지점에 봉독을 주입하는 침의 한 방법이다. 최근까지 많은 수의 연구들이 봉침의 효과에 대한 근거들을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봉침의 부작용 혹은 유해사례에 대한 ...

      배경
      봉침이란 특정한 지점에 봉독을 주입하는 침의 한 방법이다. 최근까지 많은 수의 연구들이 봉침의 효과에 대한 근거들을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봉침의 부작용 혹은 유해사례에 대한 연구들은 그 수가 한정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된 근거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이전의 연구들에서 보고되고 있는 봉침의 유해사례에 대한 근거들을 정리하고 분석함으로써 봉침으로 인한 유해사례의 발생 정도 및 발생 경향을 알아보고자 체계적 문헌고찰을 진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Pubmed,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Embase의 국외 데이터베이스 및 NDSL, KoreaMed, KISS, RISS, KISTI, KMbase의 국내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검색을 진행하였다. 저자는 검색을 통해 유해사례를 보고하고 있는 것으로 선별된 연구들을 연구방법에 의해 분류하였으며, 각 연구방법에 대해 보고된 유해사례의 특징, 유해사례의 발생비율, 그리고 유해사례로 인한 탈락비율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과
      총 43개의 연구가 본 체계적 문헌고찰에 포함되었다. 무작위 임상시험 연구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가려움증, 국소 부종, 홍반이 대조군에 비해 봉침을 적용한 군에서 더 유의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사례로 인한 탈락비율 또한 대조군에 비해 봉침을 적용한 군에서 더 유의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봉침을 적용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특정 유해사례들이 더욱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봉침의 유해사례를 보고하고 있는 연구의 수가 적고, 근거의 질 또한 높지 않아 정확한 유해사례의 발생비율 혹은 유해사례로 인한 탈락비율을 유추하거나 예측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추후 더욱 질 높은 연구방법론을 통한 근거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 2 Methods 2
      • 2.1 Terminology for adverse events 2
      • 2.2 Criteria for including studies 2
      • 2.2.1 Types of participants and studies 2
      • 1 Introduction 1
      • 2 Methods 2
      • 2.1 Terminology for adverse events 2
      • 2.2 Criteria for including studies 2
      • 2.2.1 Types of participants and studies 2
      • 2.2.2 Types of interventions and controls 2
      • 2.2.3 Types of outcome measures 2
      • 2.3. Search method 3
      • 2.4.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3
      • 2.4.1 Selection of studies 3
      • 2.4.2 Data extraction 4
      • 2.4.3 Quality assessment of studies reporting adverse events 4
      • 2.4.4 Assessment of heterogeneity 5
      • 2.4.5 Data analysis and synthesis 5
      • 3 Results 9
      • 3.1 Results of the search 9
      • 3.2 Characteristics of the adverse events reported in case reports or case series studies 9
      • 3.3 Characteristics of adverse events reported 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15
      • 3.4 Quality assessment of reporting adverse events 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1
      • 3.5 Characteristics of adverse events reported in controlled clinical trials 24
      • 3.6 Characteristics of adverse events reported in cohort studies 28
      • 3.7 Characteristics of adverse events reported in before-after studies 30
      • 3.8 Occurrence of adverse events 32
      • 3.9 Drop-out rates due to adverse events 37
      • 4 Discussion 39
      • 4.1 Reporting rates of adverse events 39
      • 4.2 Occurrence rates of adverse events 40
      • 4.3 Drop-out rates due to adverse events 40
      • 4.4 Other limitations of the review 41
      • 5 Conclusion 42
      • 6 References 4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