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 경제충격의 국내 경제 파급효과 분석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2000년 후반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는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 충격으로 인하여 금융시장뿐만 아니라 실물경제에도 커다란 타격을 받았다. 하지만 이러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충격은 외생적으로 발생했다기보다는 미국 내 다양한 거시변수들과의 내생적인 관계 속에서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구조적 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우선적으로 부동산관련 지표를 포함한 미국 주요 거시변수들 간의 내생적인 관계를 파악하고 각 미국 거시분야의 순수한 외생적인 충격들이 미국 변수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후 미국경제는 한국에 영향을 미치지만 한국경제는 미국경제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블록외생성(block exogeneity) 가정을 통해 부동산 충격 등 미국의 경제충격들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의 거시충격들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미국경제의 충격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각 충격들에 대한 한국경제의 반응뿐만 아니라 각각의 충격들이 한국경제의 변동성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중요도 분석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분산분석을 통해 각 경제충격들의 동태적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한국은 미국의 생산, 금리, 실질통화, 주가 등에 있어서는 미국과의 동조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명목통화에 있어서는 미국과의 동조화 정도는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경제변수들은 미국발 경제충격들에 의해서 다양하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영향의 정도도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2000년 후반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는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 충격으로 인하여 금융시장뿐만 아니라 실물경제에도 커다란 타격을 받았다. 하지만 이러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충격은 외생...

      2000년 후반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는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 충격으로 인하여 금융시장뿐만 아니라 실물경제에도 커다란 타격을 받았다. 하지만 이러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충격은 외생적으로 발생했다기보다는 미국 내 다양한 거시변수들과의 내생적인 관계 속에서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구조적 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우선적으로 부동산관련 지표를 포함한 미국 주요 거시변수들 간의 내생적인 관계를 파악하고 각 미국 거시분야의 순수한 외생적인 충격들이 미국 변수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후 미국경제는 한국에 영향을 미치지만 한국경제는 미국경제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블록외생성(block exogeneity) 가정을 통해 부동산 충격 등 미국의 경제충격들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의 거시충격들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미국경제의 충격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각 충격들에 대한 한국경제의 반응뿐만 아니라 각각의 충격들이 한국경제의 변동성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중요도 분석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분산분석을 통해 각 경제충격들의 동태적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한국은 미국의 생산, 금리, 실질통화, 주가 등에 있어서는 미국과의 동조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명목통화에 있어서는 미국과의 동조화 정도는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경제변수들은 미국발 경제충격들에 의해서 다양하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영향의 정도도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roughout the media, it is often said that the Korean and the world economies in the late 2000 have experienced economic turmoil both in the financial and real sectors due to a collapse in the U.S. housing market. However, it is not clear how the U.S. macroeconomics are endogenously related and a pure U.S. exogenous shocks, after controlling for the endogeneity among them, affect not only other U.S. macroeconomic variables, but also Korean economy. This paper first analyzes how U.S. macro-economic shocks affect the Korean economy using structural VAR model with block exogeneity assumption. Specifically, by assuming that Korea, as a small country, have no economic impact on U.S. economy, and by theoretically imposing long-run identifying restrictions on the U.S. economic system, the U.S. economic shocks are uniquely identified. By allowing for the impacts of U.S. economic variables and by imposing the economic ordering within the Korean system, Korean economic shocks are also uniquely identified. When analyzing the economic impact of U.S. shocks on the Korean economy, not only the signs of responses of Korean economic variables to U.S. shocks are important but also the magnitude of impact of those shock on the Korean economy. So, I analyze the relative magnitude of importance of U.S. economic shocks on the Korean economy using the variance decomposition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Korean economy shows the co movements in the production, real interest rate, real money and the stock price with the U.S. However, the degree of comovement in the nominal money supply seems weak between Korea and the U.S. Finally, I found that the Korean economy is affected by different shocks from the U.S. and the channel and the degree of impacts on Korean economy by U.S. shocks vary.
      번역하기

      Throughout the media, it is often said that the Korean and the world economies in the late 2000 have experienced economic turmoil both in the financial and real sectors due to a collapse in the U.S. housing market. However, it is not clear how the U.S...

      Throughout the media, it is often said that the Korean and the world economies in the late 2000 have experienced economic turmoil both in the financial and real sectors due to a collapse in the U.S. housing market. However, it is not clear how the U.S. macroeconomics are endogenously related and a pure U.S. exogenous shocks, after controlling for the endogeneity among them, affect not only other U.S. macroeconomic variables, but also Korean economy. This paper first analyzes how U.S. macro-economic shocks affect the Korean economy using structural VAR model with block exogeneity assumption. Specifically, by assuming that Korea, as a small country, have no economic impact on U.S. economy, and by theoretically imposing long-run identifying restrictions on the U.S. economic system, the U.S. economic shocks are uniquely identified. By allowing for the impacts of U.S. economic variables and by imposing the economic ordering within the Korean system, Korean economic shocks are also uniquely identified. When analyzing the economic impact of U.S. shocks on the Korean economy, not only the signs of responses of Korean economic variables to U.S. shocks are important but also the magnitude of impact of those shock on the Korean economy. So, I analyze the relative magnitude of importance of U.S. economic shocks on the Korean economy using the variance decomposition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Korean economy shows the co movements in the production, real interest rate, real money and the stock price with the U.S. However, the degree of comovement in the nominal money supply seems weak between Korea and the U.S. Finally, I found that the Korean economy is affected by different shocks from the U.S. and the channel and the degree of impacts on Korean economy by U.S. shocks va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 및 실증모형
      • Ⅲ. 실증분석 결과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이론 및 실증모형
      • Ⅲ. 실증분석 결과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권식, "해외충격이 국내경기변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

      2 이동은, "해외충격에 따른 거시경제 안정화 정책에 대한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

      3 김민수, "소규모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충격과 경기변동" 한국금융연구원 18 (18): 1-37, 2004

      4 김윤영, "글로벌 구조 VAR 모형을 이용한 해외충격의 파급효과 분석" 한국경제학회 57 (57): 5-37, 2009

      5 Kose, A.,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World Business Cycles" 75 : 110-130, 2008

      6 Gengerg, H., "The Relative Importance of Foreign and Domestic Disturbance for Aggregate Fluctuations in the Open Economy" 19 : 45-67, 1987

      7 Blanchard, O., "The Dynamic Effects of Aggregate Demand and Supply Disturbances" 79 : 655-673, 1989

      8 Bernanke, B.S., "Measuring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A Factor-augmented Vector Autogressive (FAVAR) Approach" 120 : 387-422, 2005

      9 Kose, A., "International Business Cycles: World, Region, and Country-specific Factors" 93 : 1216-1239, 2003

      10 Cushman, D.O., "Identifying Monetary Policy in a Small Open Economy Under Flexible Exchange Rates" 39 : 433-448, 1997

      1 김권식, "해외충격이 국내경기변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

      2 이동은, "해외충격에 따른 거시경제 안정화 정책에 대한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

      3 김민수, "소규모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충격과 경기변동" 한국금융연구원 18 (18): 1-37, 2004

      4 김윤영, "글로벌 구조 VAR 모형을 이용한 해외충격의 파급효과 분석" 한국경제학회 57 (57): 5-37, 2009

      5 Kose, A.,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World Business Cycles" 75 : 110-130, 2008

      6 Gengerg, H., "The Relative Importance of Foreign and Domestic Disturbance for Aggregate Fluctuations in the Open Economy" 19 : 45-67, 1987

      7 Blanchard, O., "The Dynamic Effects of Aggregate Demand and Supply Disturbances" 79 : 655-673, 1989

      8 Bernanke, B.S., "Measuring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A Factor-augmented Vector Autogressive (FAVAR) Approach" 120 : 387-422, 2005

      9 Kose, A., "International Business Cycles: World, Region, and Country-specific Factors" 93 : 1216-1239, 2003

      10 Cushman, D.O., "Identifying Monetary Policy in a Small Open Economy Under Flexible Exchange Rates" 39 : 433-448, 1997

      11 Kose, A., "Global Business Cycles: Convergence or Decoupling?" 2008

      12 Won Joong Kim, "Exchange Rate Volatility, Trade, Export Price and Exchange Rate Pass-Through in Korea" 한국경제연구학회 8 (8): 39-68, 2007

      13 Halabi, C.E, "Estimating the Liquidity Effect in Post-reform Chile: Do Inflationary Expectations Matter?" 22 : 813-833, 2003

      14 Lastrapes, W.D., "Estimating and Identifying Vextor Autoregressions under Diagonality and Block Exogeneity Restrictions" 87 : 75-81, 2005

      15 Fleming, M.J., "Domestic Financial Policies under Fixed and under Floating Exchange Rates" 9 : 369-379, 1962

      16 Mundell, R.A., "Capital Moility and Stabilization Policy under Fixed and Flexible Exchange Rates" 29 : 369-450, 1963

      17 Chow, G., "Best Linear Unbiased Interpolation, Distribution and Extra-polation of Time Series by Related Series" 53 : 372-375, 197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1 1.2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