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dynamic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wo Human Rights Cities — the city of Gwangju, located in the Southwestern tip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entral Java regency of Wonosobo in Indonesia — using the 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08507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NGO협동과정 NGO학 , 2020. 2
2020
영어
human rights ; city ; Gwangju ; Wonosobo ; South Korea ; Indonesia ; agenda-building
361.7
광주
110 ; 26 cm
지도교수: 이영철
I804:24010-00000006208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dynamic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wo Human Rights Cities — the city of Gwangju, located in the Southwestern tip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entral Java regency of Wonosobo in Indonesia — using the a...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dynamic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wo Human Rights Cities — the city of Gwangju, located in the Southwestern tip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entral Java regency of Wonosobo in Indonesia — using the agenda-building framework. Gwangju City, which is famous for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n 1980,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instreaming the concept of the Human Rights City in both regional and global levels. Meanwhile, Wonosobo is one of the best human rights city in Indonesia because it has enacted an ordinance and established a local human rights commission. This comparative study explains how both cities flourished into Human Rights Cities using Cobb et al.’s (1976) agenda-building theory. Moreover, this research elucidates the main actors and their respective roles in the development of both Human Rights Cities.
Employing qualitative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is study fou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both Human Rights Cities.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the issue are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ities. This research found that civil society organizations’ efforts were influential in the initiation stage in Gwangju. Meanwhile, in the case of Wonosobo, the concept of brandishing itself as a Human Rights City came from the Mayor. As a result, the top-down agenda-building process in Wonosobo took place faster than the development of the bottom-up human rights city of Gwangju. However,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urse, requires collaboration between civil society organizations, local government stakeholders, and the national government, among others.
Keywords: human rights, city, Gwangju, Wonosobo, South Korea, Indonesia, agenda-building.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어젠다 구축 체제를 사용하여 두 인권 도시 ㅡ 한반도의 남서쪽 끝에 위치한 광주시와 인도네시아 워노소보의 중앙 자바 왕권ㅡ 의 발전 과정에서의 역학(원동력)을 탐구하는 것...
이 연구는 어젠다 구축 체제를 사용하여 두 인권 도시 ㅡ 한반도의 남서쪽 끝에 위치한 광주시와 인도네시아 워노소보의 중앙 자바 왕권ㅡ 의 발전 과정에서의 역학(원동력)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으로 유명한 광주광역시는 인권도시 개념을 지역과 세계적인 차원에서 주류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편으로, 워노소보는 조례를 제정하고 현지 인권위원회를 설치했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최고의 인권도시 중 하나이다. 이 비교 연구는 두 도시가 어떻게 Cobb et al.s(1976) 의제 형성 이론을 사용하여 인권 도시로 번성했는지 설명한다. 게다가, 이 연구는 두 인권 도시의 발전에 있어서 주요 배우들과 그들의 각각의 역할을 설명한다.
이 연구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의 질적 방법을 사용하여 두 인권 도시의 발전 과정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발견했다. 이 사안의 특성과 배경은 두 도시 간의 주요 차이점들이다. 이 연구는 광주에서 시민사회단체의 노력이 시작 단계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발견했다. 한편, 워오소보의 경우 인권도시로서의 브랜딩 개념은 시장으로부터 나왔다.
워노소보 인권 도시의 발달동안, 진취성은 시장으로부터 나왔다. 그 결과 워노소보의 하향식 어젠다구축과정은 상향식 인권도시인 광주 개발보다 더 빠르게 이루어졌다.그러나 당연히 발전과 이행 과정에서 시민사회단체, 지방정부 이해관계자, 국가정부 간의 협력은 요구된다.
핵심어:인권도시, 광주, 워노소보,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어젠다구축
목차 (Table of Contents)
Human Rights and Wrongs: Innovative Approaches to Citizenship
Teachers TV Teachers TVThe Human Rights Experience
Teachers TV Teachers TVCity Challenges
Teachers TV Teachers TVInner City Forest
Teachers TV Teachers TVThe Challenge of Contemporary Art 1: Figures in the City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