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냉전 현실’을 상상적으로 구성하기 : 1950, 60년대 ‘자유대한의 소리’ 방송의 청취자 조사와 ‘아마추어 무선문화’의 냉전적 전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93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1950, 60년대 ‘자유대한의 소리’방송의 해외청취자 조사가 광복 이후 전 세계적인 냉전질서 속에서 남한의 방송관계자들이 어떻게 냉전의 상징 질서를 만들어갔는지를 살펴볼 수...

      이 연구는 1950, 60년대 ‘자유대한의 소리’방송의 해외청취자 조사가 광복 이후 전 세계적인 냉전질서 속에서 남한의 방송관계자들이 어떻게 냉전의 상징 질서를 만들어갔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사례라는 인식과 냉전적 언론보도와 미디어 활동이 적극적으로 ‘적과 동지를 구별하는 담론과 서사’를 생산·재생산하는 통로이자 장치로 기능함으로써 실제 현실과는 다른 ‘냉전 현실’을 상상적으로 구성하는 데 기여할 개연성이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문제의식으로부터 이 연구는 1950, 60년대 한국의 방송담당자들이 ‘자유대한의 소리’방송의 해외청취자조사를 통해 어떻게 ‘냉전현실’을 구성해 갔는지를 살펴본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의 분석층위(맥락적 층위, 제도적 층위, 문화형식적 층위, 텍스트적 층위)를 고려하여, ‘자유대한의 소리’방송의 해외청취자 조사의 배경과 의도를 분석하고, 당시 해외청취자 조사의 주요방법이었던 ‘수신보고’의 수집경로와 해외청취자 반응을 보도하는 양식, 지역별 분포 및 수신 상태 등 청취자 조사결과를 보도하는 텍스트의 서사전략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냉전기 한국 대외방송의 청취자 조사활동과 조사결과의 보도양식이 가지고 있는 냉전적 성격을 규명하고자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arting with the sense that Cold War media coverage and media activities are likely to contribute to the imaginative formation of a different ‘cold war reality’ by actively producing and reproducing ‘discourses and narratives’ that distinguis...

      Starting with the sense that Cold War media coverage and media activities are likely to contribute to the imaginative formation of a different ‘cold war reality’ by actively producing and reproducing ‘discourses and narratives’ that distinguish enemies and comrades, This study examine how South Korean broadcasters created a symbolic order of the Cold War in the wake of Korea’s libera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background and intent of overseas listener surveys by considering four layers of analysis (contextual, institutional, cultural, and textual), and reports on the collection path and local distribution of listener surveys. Through this,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Cold War nature of the overseas listener investigation activities and reporting mode of Broadcasting magazin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정부수립 후 파워엘리트의 불안감과 ‘적과 동지의 냉전서사’
      • 2. 대외방송 해외청취자 조사의 배경과 현실
      • 3. 대외방송의 수신 상황과 아마추어 무선문화의 냉전적 활용
      • 4. 청취자조사 보도의 냉전 서사: ‘수신보고’보도의 내용분석
      • 5. 결론 : 방송의 냉전화 양식과 냉전 현실의 상상적 구성
      • 1. 서론 : 정부수립 후 파워엘리트의 불안감과 ‘적과 동지의 냉전서사’
      • 2. 대외방송 해외청취자 조사의 배경과 현실
      • 3. 대외방송의 수신 상황과 아마추어 무선문화의 냉전적 활용
      • 4. 청취자조사 보도의 냉전 서사: ‘수신보고’보도의 내용분석
      • 5. 결론 : 방송의 냉전화 양식과 냉전 현실의 상상적 구성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확대되는 ‘자유대한의 방송’, 거의 전세계 커버, 對유럽 테스트방송 개시"

      2 "화성에서 온 편지"

      3 장영민, "해방 후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한국어방송’에 관한 연구(1945~1950)"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200-240, 2009

      4 한지수, "한국정치론" 백산서당 1989

      5 장영민, "한국전쟁기 유엔군사령부의 KBS 통제와 지원" 한국언론학회 56 (56): 441-464, 2012

      6 고바야시 소메이, "한국전쟁기 대한반도 유엔 라디오와 미국/영국의 협력" 2016

      7 장영민, "한국전쟁기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한국어방송’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사학회 (90) : 257-308, 2014

      8 김영희, "한국전쟁 기간 미국의 대한(對韓) 방송활동 : VOA 한국어방송과 VUNC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3 (53): 140-160, 2009

      9 외교부, "한국외교 30년, 1948~1978" 외교부 1979

      10 장영민, "한국 방송의 성장과 미국의 대한선전정책" 선인 2020

      1 "확대되는 ‘자유대한의 방송’, 거의 전세계 커버, 對유럽 테스트방송 개시"

      2 "화성에서 온 편지"

      3 장영민, "해방 후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한국어방송’에 관한 연구(1945~1950)"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200-240, 2009

      4 한지수, "한국정치론" 백산서당 1989

      5 장영민, "한국전쟁기 유엔군사령부의 KBS 통제와 지원" 한국언론학회 56 (56): 441-464, 2012

      6 고바야시 소메이, "한국전쟁기 대한반도 유엔 라디오와 미국/영국의 협력" 2016

      7 장영민, "한국전쟁기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한국어방송’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사학회 (90) : 257-308, 2014

      8 김영희, "한국전쟁 기간 미국의 대한(對韓) 방송활동 : VOA 한국어방송과 VUNC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3 (53): 140-160, 2009

      9 외교부, "한국외교 30년, 1948~1978" 외교부 1979

      10 장영민, "한국 방송의 성장과 미국의 대한선전정책" 선인 2020

      11 조동인, "특집: 아마츄어 무선이란 이런 것" (15) : 1-3, 1960

      12 김상흠, "태평양 동맹과 東亞의 정국" 19-27, 1949

      13 "지구 뒷 쪽에서도 듣는 울타리 없는 전파"

      14 "중요역할을 담당하는 KBS, 교포송환 문제로 국제방송을 재인식, ‘자유대한의 소리’ 활발"

      15 "전파의 외교사절단들, ‘보이스 오브 프리 코리아’ 전세계로퍼져 나가다"

      16 "일본서의 KBS 수신상태"

      17 "일본10대학생들이 많이 듣는 KBS 對日 국제방송"

      18 최희식, "이승만 정부 시기의 한일관계: 한미일 냉전전략의 불협화음과 한일관계의 정체" 한국세계지역학회 27 (27): 121-146, 2009

      19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사연구소, "이방인이 기록한 전후 한국, 영화" 한국영상자료원 2015

      20 조동인, "우정의 전파 : 아마츄어 무선이야기" 전자기술사 1965

      21 "우리나라 우편사정"

      22 권성길, "우리나라 대외방송의 문제점"

      23 백원담, "열전 속 냉전, 냉전 속 열전 : 냉전 아시아의 사상심리전" 진인진 2017

      24 조동인, "아마츄어를 위한 페이지: HAM RADIO" (3) : 86-88, 1959

      25 장세진, "슬픈 아시아: 한국 지식인들의 아시아 기행(1945~1966)" 푸른역사 2018

      26 "스칸디나비아 단파수신선수권 대회, 한국 초유 국제경기 참가"

      27 "수신상태 좋습니다"

      28 吉見俊哉, "소리의 자본주의" 이매진 2005

      29 "세계를 누비는 한국방송"

      30 Cowan, G., "새 시대의 공공외교" 인간사랑 2013

      31 "뻗어가는 ‘자유대한의 소리’, 대동남아 중국어방송, 매일같이 수신보고 쏟아져"

      32 강현두, "북한의 언론" 을유문화사 1989

      33 김영주, "북한언론의 이론과 실천" 나남 1991

      34 최준, "방송춘추: 전파전"

      35 "방송춘추: 대일방송"

      36 최창섭, "방송조사연구론" 서강대학교출판부 1982

      37 장영민, "미군정기 도미유학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근현대사학회 (79) : 225-268, 2016

      38 "메아리져 증가되는 반응, 온 세계에 울려퍼지는 자유대한의 방송"

      39 Kwon, Heonik, "또 하나의 냉전:인류학적으로 본 냉전의 역사" 민음사 2013

      40 김익모, "동남아세아 순회기: 특히 방송 기술면에서" 29-39, 1958

      41 "대일방송 구체적 강화책을 수립"

      42 "대일방송 10년 회고"

      43 "늘어가는 해외 청취자, 혁명 후의 국제방송의 반응을 중심으로"

      44 Gaddis, John Lewis, "냉전의 역사: 거래, 스파이, 거짓말, 그리고 진실" 에코리브로 2010

      45 윤상길, "냉전의 언론, 언론의 냉전" (155) : 110-119, 2020

      46 차재영, "냉전기 미국의 공공외교와 국가-언론 협력 관계 : 미국무성의 ‘공동후원 언론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7 (57): 87-108, 2013

      47 윤상길, "냉전기 KBS의 ‘자유대한의 소리’ 방송과 對日라디오방송: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파열과 수렴" 한국언론학회 15 (15): 5-43, 2019

      48 "나날이 늘어가는 해외 청취자, 전파는 뻗어가고 편지는 날아온다"

      49 "교역확대 위해 조처 방침, 동구와 서신 허용"

      50 小林總明, "占領する眼・占領する声" 東京大学出版会 2012

      51 小林總明, "冷戦期アジアの"電波戰爭"硏究序說" 52 : 65-77, 2010

      52 溝尻眞也, "ラジオ自作のメディア史" 76 : 139-156, 2010

      53 "“나는 눈먼 KA ‘팬’”, 일본서 점자(點字) 청취보고, 2년째 대일방송 즐겨, 한국 소개프로 더 늘여줬으면"

      54 小林總明, "VOA 施設移転をめぐる韓米交渉, 1972~1973" (75) : 129-147, 2009

      55 Cummings. B., "The End of the Cold War: its meaning and im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56 "SA <자유의 메아리>듣고, 북괴 李弼殷 대위 귀순"

      57 "NHK도 출력증가, 외국전파의 大전력방송에"

      58 Haring, K., "Ham Radio’s Technical Culture" The MIT Press 2007

      59 김동주, "BC DX" (10) : 85-86, 1960

      60 장영민, "6ㆍ25전쟁기 ‘유엔군총사령부의 소리(VUNC)’ 라디오 방송에 관한 고찰" 한국근현대사학회 (47) : 280-325, 2008

      61 윤상길, "1960년대 중후반기 박정희 정부의 유선방송 일원화 사업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63 (63): 46-79, 2019

      62 윤상길, "1960년대 ‘자유대한의 소리’ 방송의 변화과정: 대외방송 환경의 변화와 정책담론, 주요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16 (16): 51-93, 2020

      63 연윤희, "1960년대 ‘고바우영감’과 월경(越境)하는 비주얼텍스트" 대중서사학회 21 (21): 417-450, 2015

      64 김영희, "1960년대 VUNC(유엔군총사령부방송)의 운영과 폐쇄" 한국언론학회 56 (56): 244-269, 2012

      65 김영희, "1960년대 VUNC(유엔군총사령부방송) 프로그램과 청취 양상" 언론정보연구소 51 (51): 180-213, 2014

      66 장영민, "1952년 ‘미국의 소리 한국어방송’의 부산정치파동 보도와 KBS 중계방송의 중단" 부산경남사학회 (80) : 59-109, 2011

      67 윤상길, "1950년대 서울중앙방송국 대외방송의 전개과정" 언론정보연구소 56 (56): 5-51, 2019

      68 차재영, "1950년대 미국무성의 한국 언론인 교육교류 사업 연구: 한국의 언론 전문직주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8 (58): 219-245, 2014

      69 차재영, "1950년대 미국무성의 미국 언론 전문가 파견 사업 연구 한국 언론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87 (87): 243-276, 2018

      70 이성민, "1950년대 대출력 송신소 건설을 둘러싼 담론과 방송현실" 한국언론학회 16 (16): 5-48,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7 1.77 2.16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