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 「기이(紀異)」 <수로부인(水路夫人)>의 서술 의도 -<성덕왕>과의 관련성을 전제로- = The Writing Intention of < Surobuin(水路夫人) > in Chapter「Kiyi(紀異)」, 『Samgukyusa(三國遺事)』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17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삼국유사』가 서사적 성격이 강한 역사서라는 전제 하에, 그리고 전후 이야기가 긴밀한 상관성을 갖고 있다는 전제 하에, 「기이」의 구성적 특성과 <성덕왕>에서 언급한 성덕왕대에 대한 인식을 분석틀로 삼아 <수로부인>에 접근했다. 「기이」는 국가별·왕조별 신이한 체험을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록들이 대개는 국가적 차원의 문제와 관련이 되어 있다. 이러한 면에서 성덕왕 시절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수로부인> 또한 그 신이한 요소가 국가적 차원의 문제와 닿아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어서 <성덕왕>을 통해 단서를 추출했다. <성덕왕>에는 백성들에 대한 구휼의 기록과 함께, 국가적 위기를 해결하고 왕권을 강화하려 했던 성덕왕의 업적이 부각되어 있다. 이렇게 볼 때 <성덕왕>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수로부인>도 국경 지역의 위기 상황을 타개하고 중앙 집권을 강화하기 위한 서사로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수로부인>에서는 공통의 적대 세력에 의해 중앙 권력과 토착 세력이 화합하는 양상이 드러났다. 그 과정에서 수로부인은 유력한 존재이며 신이한 존재인 자신의 면모를 발휘하면서 화합과 갈등 해결에 기여한다. 결국 『삼국유사』의 편찬자는 <수로부인>을 <성덕왕> 기사에 이어 배치함으로써, 수로부인의 면모를 성덕왕대의 유력한 인물의 행적으로 부각하고 싶었던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삼국유사』가 서사적 성격이 강한 역사서라는 전제 하에, 그리고 전후 이야기가 긴밀한 상관성을 갖고 있다는 전제 하에, 「기이」의 구성적 특성과 <성덕왕>에서 언급한 성덕...

      본고는 『삼국유사』가 서사적 성격이 강한 역사서라는 전제 하에, 그리고 전후 이야기가 긴밀한 상관성을 갖고 있다는 전제 하에, 「기이」의 구성적 특성과 <성덕왕>에서 언급한 성덕왕대에 대한 인식을 분석틀로 삼아 <수로부인>에 접근했다. 「기이」는 국가별·왕조별 신이한 체험을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록들이 대개는 국가적 차원의 문제와 관련이 되어 있다. 이러한 면에서 성덕왕 시절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수로부인> 또한 그 신이한 요소가 국가적 차원의 문제와 닿아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어서 <성덕왕>을 통해 단서를 추출했다. <성덕왕>에는 백성들에 대한 구휼의 기록과 함께, 국가적 위기를 해결하고 왕권을 강화하려 했던 성덕왕의 업적이 부각되어 있다. 이렇게 볼 때 <성덕왕>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수로부인>도 국경 지역의 위기 상황을 타개하고 중앙 집권을 강화하기 위한 서사로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수로부인>에서는 공통의 적대 세력에 의해 중앙 권력과 토착 세력이 화합하는 양상이 드러났다. 그 과정에서 수로부인은 유력한 존재이며 신이한 존재인 자신의 면모를 발휘하면서 화합과 갈등 해결에 기여한다. 결국 『삼국유사』의 편찬자는 <수로부인>을 <성덕왕> 기사에 이어 배치함으로써, 수로부인의 면모를 성덕왕대의 유력한 인물의 행적으로 부각하고 싶었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focused on the organization and formation of chapter 「Kiyi(紀異)」,『Samgukyusa(三國遺事)』. And then paid attention to meaning and concerning between the clause <Seongdukwang(聖德王)> and the clause <Surobuin(水路夫人)>, because these two clauses are based on the same period, the 33th King of Silla(新羅), Seongduk-wang. As a result, there were clues in <Seongdukwang> which can guess the meaning of <Surobuin>. Clues could be found in the three points. First, clause <Seongdukwang> commemorate the memory of the 29th King of Silla, Muyeol-wang(武烈王), was named Kim Chunchu(金春秋). It means that clause <Seongdukwang> wanted to describe Seongduk-wang strengthen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king, like Muyeol-wang. Second, clause <Seongdukwang> emphasized that Seongduk-wang was held the Buddhist religious rituals for resolving conflicts thereamong marginal states. It means that clause <Seongdukwang> wanted to describe Seongduk-wang tried his best to stabilize the Silla. Third, clause <Seongdukwang> mentioned that Seongduk-wang made a highest public position Sijung(侍中), even though it is different from the truth. It also means that clause <Seongdukwang> wanted to describe Seongduk-wang strengthen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king, because Sijung symbolized the power of king. So, by going through clause <Seongdukwang>, this thesis arrived at a conclusion that clause <Seongdukwang> was written for describing Seongduk-wang as a powerful king and Sills as a safe country. Therefore <Surobuin> s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vein.
      번역하기

      This thesis focused on the organization and formation of chapter 「Kiyi(紀異)」,『Samgukyusa(三國遺事)』. And then paid attention to meaning and concerning between the clause <Seongdukwang(聖德王)> and the clause <Surobuin(水路...

      This thesis focused on the organization and formation of chapter 「Kiyi(紀異)」,『Samgukyusa(三國遺事)』. And then paid attention to meaning and concerning between the clause <Seongdukwang(聖德王)> and the clause <Surobuin(水路夫人)>, because these two clauses are based on the same period, the 33th King of Silla(新羅), Seongduk-wang. As a result, there were clues in <Seongdukwang> which can guess the meaning of <Surobuin>. Clues could be found in the three points. First, clause <Seongdukwang> commemorate the memory of the 29th King of Silla, Muyeol-wang(武烈王), was named Kim Chunchu(金春秋). It means that clause <Seongdukwang> wanted to describe Seongduk-wang strengthen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king, like Muyeol-wang. Second, clause <Seongdukwang> emphasized that Seongduk-wang was held the Buddhist religious rituals for resolving conflicts thereamong marginal states. It means that clause <Seongdukwang> wanted to describe Seongduk-wang tried his best to stabilize the Silla. Third, clause <Seongdukwang> mentioned that Seongduk-wang made a highest public position Sijung(侍中), even though it is different from the truth. It also means that clause <Seongdukwang> wanted to describe Seongduk-wang strengthen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king, because Sijung symbolized the power of king. So, by going through clause <Seongdukwang>, this thesis arrived at a conclusion that clause <Seongdukwang> was written for describing Seongduk-wang as a powerful king and Sills as a safe country. Therefore <Surobuin> s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vei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