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월간의 주 3회 규칙적인 운동이 저성장 아동의 신체구성과 신체기능 및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대한 소아과학회(2007)의 성장도표를 기준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2개월간의 주 3회 규칙적인 운동이 저성장 아동의 신체구성과 신체기능 및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대한 소아과학회(2007)의 성장도표를 기준으로 ...
12개월간의 주 3회 규칙적인 운동이 저성장 아동의 신체구성과 신체기능 및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대한 소아과학회(2007)의 성장도표를 기준으로 저성장 집단을 하위 3%, 10%, 25% 집단으로, 표준 성장 집단은 50% 집단으로 분류한 후 집단별 남녀 각각 24명 씩 총 192명(10.50±1.14세)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12개월간 주 3회 규칙적으로 유산소운동, 등속성 근기능 운동 및 유연성 운동을 실시하였고, 운동 전, 6개월후, 12개월 후에 신체구성(체중, 체지방률, 신체질량지수), 신체기능(유연성, 최대산소섭취량, 등속성 슬관절/요부관절 근기능) 및 성장률(신장, 성장률)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저성장 아동의 체중은 12개월간 규칙적인 운동 후 표준 성장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체중의 증가율은 저성장 아동에게서 더욱 높게 나타났고 체지방의 감소율을 저성장 집단과 표준 성장 집단이 유사했다. 12개월 간 운동 후 저성장 집단의 유연성과 최대산소섭취량의 증가가 유의하게 나타나 표준 성장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등속성 슬관절 굴곡 시 최대 근력은 12개월 운동 후 남아에게서 저성장 집단과 표준 성장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등속성 요부관절 신전과 굴곡 시 최대 근력은 12개월 운동 후 여아에게서만 저성장 집단과 표준 성장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저성장 집단의 신장의 증가율은 12개월간 규칙적인 운동에 의해 운동 후기 6개월에 표준 성장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12개월간의 규칙적인 운동이 저성장 아동 집단의 신체구성, 신체기능, 및 성장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