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아동인권 인식과 이행실천수준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about children's rights among workers of Community Children Cen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634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아동인권인식과 이행실천수준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전 지 영 지도교수 : 공 계 순 지역아동센터는 ...

      〔국문초록〕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아동인권인식과 이행실천수준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전 지 영
      지도교수 : 공 계 순

      지역아동센터는 현재 취약계층 아동들의 권리를 보장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시설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아동권리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정도와 실제로 아동의 권리를 이행하는 정도를 알아보며, 또한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정도와 실제 아동권리 이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아동권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이 아동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실제로 이행하는 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아동권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실제이행에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변인(성별, 연령, 학력, 경력 등)에 따른 종사자의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 및 아동권리 이행정도는 어떠한가? 다섯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근무하는 환경(지역아동센터 설립주체, 아동 수, 근무일)에 따른 종사자의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 및 아동권리 이행정도는 어떠한가? 여섯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과 아동권리 이행정도와 관련이 있는가? 일곱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과 아동권리 이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방법은 충청남도 천안 및 아산지역의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시설장, 생활복지사)를 대상으로 총 180명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아동권리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권리의 4영역별로 보면, 보호권에 대한 인식 평균이 가장 높으며, 참여권이 가장 낮았다.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정도에 대한 영역별 설문에서 평균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아동에 대한 안전한 급식과 방임된 아이들의 정서적, 신체적 보호였다. 참여권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연령이 50대 이상일수록 평균 점수가 낮았다.
      둘째, 아동권리 실제이행 정도는 ‘대체로 잘 이행하고 있다’ 로 나타났다. 아동권리의 영역별로 보면,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과 동일하게, 보호권 이행정도가 가장 높으며, 참여권 이행이 가장 낮았다. 보호권에서는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처럼 안전한 급식과 아동의 방임으로부터 신체적, 정신적 보호가 높았다. 전체 42개 항목 중 평균 점수가 가장 낮은 항목은 생존권에서 특히 ‘나만의 공부할 장소를 갖는 것’과 ‘속옷과 의복이 깨끗하도록 충분히 갈아입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 이었다.
      셋째, 대체적으로 아동권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보다 실제 이행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사자변인(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직급, 경력 및 근무기간)은 아동권리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권리 이행에서는 학력이 높은 대학원 졸업자가 보호권 이행정도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근무기간이 1년 이상 2년 미만인 종사자의 아동권리 이행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다른 근무기간 종사자와 비교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아동센터 변인(설립주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수, 근무일)은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 및 이행정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무스트레스와 아동권리 이행정도는 약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와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에 대해서는 회귀식 자체가 모두 성립하지 않았으며, 아동권리 이행에 있어서는 참여권에 대한 이행에 있어서 직급과 직무스트레스가 아동권리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제언하자면, 종사자들의 아동권리의 중요성 인식이나 행동의 기준점을 분명화하기 위한 대상아동에게 정기적인 설문과 상담을 통하여 지속적인 지침개발 및 교육 필요성이 대두된다. 직급이 낮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이는 실제 아동권리이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종사자들에게 경력, 연령, 학력, 직급에 따라 인권에 대한 교육 및 프로그램이 달라져야 하며, 시설장과 생활복지사간의 역할 분담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균형 있는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더불어 시설장은 생활복지사 및 기타 종사자들의 어려움 및 고충을 해결해주기 위하여 노력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이 논문의 한계점은 국내에 있는 전 지역아동센터의 아동권리인식의 중요성과 실제 아동권리 이행정도를 파악하기엔 미흡하다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about children's rights among workers of Community Children Center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te School Hoseo University Cheonan,, Korea (Supervised by ...

      ABSTRACT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about children's rights among workers of Community Children Center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te School
      Hoseo University
      Cheon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Gye Soon, Kong )

      Community child centers are currently taking the responsibility of a greatly important role in guaranteeing the rights of children, a vulnerable social group. By targeting workers in these community children centers, the study is looking into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and seeing if, in reality, the degree of which the child rights are being fulfilled.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re ar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degree of awareness of importance on child rights and the degree of fulfilling the child rights.

      This study will be carried out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kind of perception do workers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have on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Second, to what degree do the workers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guarantee the child rights in order to actually fulfil the rights? Third,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and the actual fulfillment? Fourth, what factors (gender, age, qualification, career, etc.) of the workers effect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and actual fulfillment of those rights? Fifth, whether the environment (community children centers subject of foundation, the number of children, working days) of the workplace for workers have an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n child rights and actual fulfillment of those rights? Sixth, is work stres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workers on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and actual fulfillment of those rights? Seventh, what factors effect the perception of the workers on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and actual fulfillment of those rights?

      The method of study was done by collecting data from carrying out a survey. The total of 180 workers were surveyed as the sampling target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in the area of Chungnam-do, Cheonan and Asan.

      The findings of the study, first, showed that child rights were being significantly perceived. Looking at the child rights in four different areas, the average of perception on the protection rights was the highest, whereas the participation rights was the lowest. The highest points that were shown on the survey in different areas of the importance of the degree of awareness on child rights were on safe meals and children's emotional and physical protection for those who were neglected.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in terms of participation rights showed that those over the age of 50 had a low average point.

      Second, child rights and actual fulfillment degree was shown as 'generally, fulfilling well'. By looking at the child rights in terms of age, the degree of fulfillment of protection rights was the highest, equally with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the fulfillment of the participation rights were the lowest. From the protection rights, just lik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the protection on safe meals and physical and emotion protection for neglected children was high. From the total of 42 questions, the section with the lowest points were on rights to live, especially, 'having my own space to study' and 'giving enough underwear and clothes to stay clean'.

      Third, statistically it showed that the actual degree of fulfillment was lower than the overall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n child rights.

      Fourth, the factors of the workers (gender, age, marital status, qualification, career, experience and period of work) did not statistically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child rights. However, in terms of fulfilling the child rights, the higher the academic ability of the postgraduate the degree of fulfillment on protection rights was higher. Furthermore, the degree of fulfillment in child rights in workers who worked in these centers for more than a year but less than two statistically were lower compared to workers with different periods of work.

      Fifth, the factors of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s (subject of foundation, the number of children using the center, the working days) did not statistically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n child rights and degree of fulfillment.

      Sixth,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light correlative relation with the work stress and fulfillment of child rights.

      Seventh, in terms of the social workers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the recurrent method was not established itself, and in terms of fulfilling the child rights, rank and work stress in fulfilling the child rights put on an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rights.

      In accordance with the study, the need for continuous guide development and education should be on the rise, in order to make clear of the awareness of the workers on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and the fixed standard of action, through regular surveys and advice towards the target children. As the lower the rank of the worker the higher the work stress and because it gives a negative effect on the actual fulfillment of the child rights,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and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experience, age, qualification and rank of the worker. The delegation of roles of the facility manager and residential social worker should be specified clearly in order to conduct the duties with balance. Furthermore, facility managers should be in the position to solve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of the residential social worker and other workers.

      The limitation to this thesis is that there is insufficient data in order to grasp the importance of the awareness of child rights and the actual degree of fulfillment of the child rights in all commu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Ⅱ. 이론적 배경 5
      • 1. 아동인권 5
      • 가. 유엔아동권리협약 8
      • 나. 우리나라 아동의 권리 13
      • 다. 우리나라 아동권리의 문제점 14
      • 2. 지역아동센터의 이해 18
      • 가. 지역아동센터의 정의 및 역사 18
      • 나. 지역아동센터의 특성 및 기능 21
      • 다. 지역아동센터의 시설현황 및 설치기준 22
      • 라. 지역아동센터의 운영기준 26
      • 마. 지역아동센터의 아동인권 32
      • 3. 직무스트레스와 인권인식 34
      • 4. 선행연구 고찰 37
      • Ⅲ. 연구방법 45
      • 1. 조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45
      • 2. 조사 도구 45
      • 가. 아동권리 45
      • 나. 직무스트레스 52
      • 3. 자료 분석 방법 53
      • Ⅳ. 연구결과 및 분석 54
      • 1. 응답자 및 지역아동센터의 일반적인 특성 54
      • 2. 주요변수에 대한 기술 통계 분석 57
      • 가. 아동권리 교육 여부 및 교육 희망 정도에 대한 분석 57
      • 나. 지역아동센터 평가에서 아동권리보장 평가에 대한 의견 58
      • 다. 아동권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실태 59
      • 라. 아동권리에 대한 실제 이행 실태 63
      • 마.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67
      • 3.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 및 실제 이행정도에 대한 비교 67
      • 4.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에 대한 비교 분석 68
      • 가.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비교 68
      • 나. 응답자의 직급 및 경력에 따른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비교 70
      • 다. 지역아동센터의 특성에 따른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비교 72
      • 5. 아동권리 이행정도에 대한 비교 73
      • 가. 응답자의 인구학적인 특성에 따른 아동권리 이행정도 비교 73
      • 나. 직급 및 경력에 따른 아동권리 이행 비교 75
      • 다. 지역아동센터의 특성에 따른 아동권리이행 비교 77
      • 라.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 및 이행정도
      • 상관관계 분석 78
      • 마. 지역아동센터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 및 아동권리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9
      • Ⅴ. 결론 및 제언 81
      • 1. 연구 결과 및 함의 81
      • 2. 제언 85
      • 참고문헌 89
      • ABSTRACT 93
      • 부록: 1. 동의서 98
      • 2. 설문지 1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