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존의 의학대학생 선발 과정이 의학전문원 체제로 바뀌면서 이에 적합한 교육과정으로 개편되면서 새로운 교과과정으로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한 과목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593487
2010
-
37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85-109(25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기존의 의학대학생 선발 과정이 의학전문원 체제로 바뀌면서 이에 적합한 교육과정으로 개편되면서 새로운 교과과정으로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한 과목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의...
본 연구는 기존의 의학대학생 선발 과정이 의학전문원 체제로 바뀌면서 이에 적합한 교육과정으로 개편되면서 새로운 교과과정으로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한 과목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의과대학생과 훈련받은 모의환자와의 의사소통기술 능력을 평가하는데 적합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관련 도구 분석을 통해 진로성숙 구인을 개념화 하고 이에 근거하여 의사소통기술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캘거리 - 캠브릿지대 모형을 근거로 본 연구의 의사소통기술 연구 모형을 개발하고 관련 연구들을 토대로 형성된 모형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여 의사소통기술 척도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상호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고유값이 모두 1.0 이상, 요인적재량은 0.5, 누적분산설명력은 60% 이상, 신뢰도 계수는 0.8 이상, 상호상관계수는 0.8 이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평가도구들의 단점을 보완하여 의사소통기술 구인을 개념화하고 이에 근거한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경험적으로 타당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모두 의과대학생들이며 이들을 분석해 본 결과 현재 우리사회의 선발기능으로 인해 영재아들로 인식되고 있는 특목고를 졸업한 학생들이 15% 이상되었다. 적용적 측면에서 의과대학생의 선발과정에서 기존의 학업성적 뿐만이 아니라 의사소통능력과 관련한 수업장면을 비롯한 다양한 측면에서 합리적으로 적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나아가 의사소통에 대한 기본구조로 능력 차원을 기초로 하여 창의적 능력을 척도로 개발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Communication Ability Scale for elucidate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Korean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2) test construct valida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Communication Ability Scale for elucidate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Korean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2) test construct validation throug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n oder to answer these purposes, we first reviewed related documents and inventories, as to research the constructed factors which to develop a Communication Ability Scale, then defined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the theological constructive model. They were included in 6 components and in 20 sub-components. Based on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90 items were selected to final test items. Second, to examine the best fit construct model for Communication Ability, we assumed conceptual model for Communication Ability, base on Calgary-Cambridge model(2007) and proposed base on related studies that included the other components for Communication Ability. As a result of covariance structue analysis, we confirmed Communication Ability model include 6 components. Communication Ability scale of this study developed and examed can be applied future study for the general stu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지, "호스피스총론" 한국호스피스협회 2001
2 "한국의료커뮤니케이션 심포지움 개최"
3 허재윤, "철학적 인간학" 가톨릭 2007
4 이순묵, "창의성의 영역일반성과 영역특수성 연구에서의 문제 및 대안으로서의 잠재변수모형"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155-176, 2004
5 김양희, "진료실습전 훈련 방법과 기간에 따른 의학과 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의 향상" 한국의학교육학회 21 (21): 3-16, 2009
6 유수현, "인간관계론" 양서원 2009
7 정진선, "인간관계 심리의 이론과 실제" (주)시그마프레스 2005
8 이영미, "의학과 학생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 시행 경험" 한국의학교육학회 19 (19): 171-175, 2007
9 한국의학교육연수원, "의사소통기술 및 의사" 2003
10 의학교육합동학술대회, "의사소통교육 워크숍 자료"
1 김수지, "호스피스총론" 한국호스피스협회 2001
2 "한국의료커뮤니케이션 심포지움 개최"
3 허재윤, "철학적 인간학" 가톨릭 2007
4 이순묵, "창의성의 영역일반성과 영역특수성 연구에서의 문제 및 대안으로서의 잠재변수모형"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155-176, 2004
5 김양희, "진료실습전 훈련 방법과 기간에 따른 의학과 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의 향상" 한국의학교육학회 21 (21): 3-16, 2009
6 유수현, "인간관계론" 양서원 2009
7 정진선, "인간관계 심리의 이론과 실제" (주)시그마프레스 2005
8 이영미, "의학과 학생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 시행 경험" 한국의학교육학회 19 (19): 171-175, 2007
9 한국의학교육연수원, "의사소통기술 및 의사" 2003
10 의학교육합동학술대회, "의사소통교육 워크숍 자료"
11 한국의학교육학회, "의사소통 평가 도구" 2006
12 이동익, "의료윤리" 가톨릭출판사 2006
13 이영미, "의료대화 수업의 실기시험과 임상진료시험에서 환자-의사관계 점수의 연관성" 한국의학교육학회 20 (20): 313-320, 2008
14 김선, "의료 커뮤니케이션" 아카데미프레스 2008
15 이혜성, "다섯명의 치료자와 한 명의 내담자"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7
16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09
17 배병렬, "구조방정식모델 : 이해와 활용" 도서출판 청람 2005
18 의료대화 워크숍 개최, "고려대의대 워크숍 자료"
19 Sasson VA, "“Teach 1, do 1... better”: superior communication skills in senior medical students serving as standardized patient-examiners for their junior peers" 74 : 932-937, 1999
20 Rosenbaum ME, "Using patient-generated cases to teach students skills in responding to patients' emotions" 28 : 180-182, 2006
21 Zraick RI, "The use of standardized patients to teach and test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with students in speech-language pathology" 8 : 237-248, 2003
22 Pfeiffer C, "The rise and fall of students’ skill in obtaining a medical history" 32 : 283-288, 1998
23 Wenburg, "The personal communication process" Willey 1973
24 Pfeiffer CA, "The impact of a curriculum renewal project on students’ performances on a fourth-year clinical skills assessment" 76 : 173-175, 2001
25 Colletti L, "Teaching students to break bad news" 182 : 20-23, 2001
26 Quirk M, "Teaching communication skills to first year medical students" 61 : 603-5, 1986
27 Aspegren K.,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in medicine-a review ith quality grading of articles" 21 : 563-570, 1999
28 Van Dalen J, "Teaching and assessing communication skills Maastricht: the first twenty years" 23 : 245-251, 2001
29 Stillman PL, "Teaching and assessing clinical skills: a competency-based program in China" 131 : 33-40, 1997
30 Levinson W, "Physician.patient communication: the relationship with malpractice claims among primary care physicians and surgeons" 277 : 553-559, 1997
31 Bartholome, W.G, "Paul Ramsey and Evolution of Pediatric Medical Ethis. in: he effectiveness of the structured clinical instruction module" 77 : 189-198, 1998
32 Rees C, "Medical students' views and experiences of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54 : 119-21, 2004
33 Anvik T, "Medical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attitudes towards learning and using communication skills: a nationwide cross-sectional study" 30 : 272-279, 2008
34 Kurtz S, "Marrying content and process in clinical method teaching: enhancing the Calgary-Cambridge guides" 78 : 802-809, 2003
35 O'Brien M, "Freemantle N, Oxman A,Wolf F, Davis D, Herrin J.(2001). Continuing education meetings and workshops: effects on professional practice and health care outcomes (review)" 2 : 2001
36 Gardner, H., "Frames of mind :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Basic Books 1983
37 Littlefield JH, "Evaluation of a role-play learning exercise in an ambulatory clinic setting" 4 : 167-73, 1999
38 Stewart MA, "Effective physician.patient communication and health outcomes: a review" 152 : 1423-1433, 1995
39 Yedidia MJ, "Effect of communications training on medical student performance" 290 : 1157-1165, 2005
40 Haist SA, "Domestic violence: Increasing knowledge and improving skills with a four-hour workshop using standardized patients" 78 : 24-26, 2003
41 Madan AK, "Comparison of simulated patient and didactic methods of teaching HIV risk assessment to medical residents" 15 : 114-119, 1998
42 Burchard KW, "Clerkship enhancement of interpersonal skills" 189 : 643-6, 2005
43 Prislin MD, "Assessing the acquisition of core clinical skills through the use of serial standardized patient assessments" 75 : 480-483, 2000
44 Rider EA, "A model for communication skills assessment across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28 : 127-134, 2006
45 Eagles JM, "A comparison of real patients, simulated patients and videotaped interview in teaching medical students about alcohol misuse" 23 : 490-3, 2001
서울 지역 고등학생들의 성격유형 및 창의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유아의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글로벌리더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생활창의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 2014-09-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Creativity Education Association ->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1.65 | 1.65 | 1.61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1.66 | 1.64 | 2.057 | 0.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