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생아에 B형 간염 예방접종 이후 항체가 변화에 관한 연구 = (The) Change of Anti-HBs Titer After Hepatitis B Vaccination in Newbor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491514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 1990. 2

      • 발행연도

        199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16.96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 28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9-26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용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B형 간염은 세계전역에서 발생하는 질환이며 특히 우리나라는 B형 간염 유행지역으로 성인은 5∼13%, 소아는 4∼10%의 높은 보균율을 보이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안전하고 효과적인 B형...

      B형 간염은 세계전역에서 발생하는 질환이며 특히 우리나라는 B형 간염 유행지역으로 성인은 5∼13%, 소아는 4∼10%의 높은 보균율을 보이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안전하고 효과적인 B형 간염백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각종 혈장백신에 의한 항체생성률은 90∼95%이상으로 보고 되고 있다. 그러나 생성된 항체가 언제까지 최소방어치 (Minimum protective level)이상을 유지하는지에 대한 보고가 드물어 이에 대한 조사 및 추가접종의 적절한 시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저자는 1984년 7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이화대학병원에서 HBsAg음성산모에서 출생한 소아 102명과, HBsAg 양성산모에서 태어난 소아 52명을 대상으로 3차 예방접종일과 항체검사일과의 기간에 따라 항체양성률과, 최소방어율 및 항체역가치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간염항원 양성인 산모는 3%였다.
      2. 항체역가의 평균치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예방접종후 기간과 항체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기간이 길수록 항체가는 감소되었다.
      3. 항체양성률과 최소방어율에 있어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1∼12개월에 전체 항체양성률은 98.4%, 실패율은 61명중 1명으로 1.6%였다. 항체양성률과 최소방어율은 1∼12개월에 98.4%, 85.2%이던 것이 37∼48개월에 68.4%, 47.4%, 49개월 이상시 54.5%, 45.5%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patitis B vaccination is an accepted preventive measure for all newborn as well as the high risk group. However, there is some uncertainty about the persistence of anti-HBs and the timing of booster vaccination. We studied anti-HBs titer, positive ...

      Hepatitis B vaccination is an accepted preventive measure for all newborn as well as the high risk group. However, there is some uncertainty about the persistence of anti-HBs and the timing of booster vaccination.
      We studied anti-HBs titer, positive rate and minimum protective rate in relation to time interval after the third vaccination in 102 infants born to HBsAg negative mother (Group Ⅰ) and 52 infants. born to HBsAg positive mother (Group Ⅱ) from July, 1984 to December 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BsAg was positive in 3% of 9,392 pregnant woman.
      2. The titer of anti-HBs decreased significantly in relation to time interval after the third vaccination. (P < 0.05)
      3.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anti-HBs titer, positive rate and minimum protective rate in relation to time interval between two groups suggested no effect of maternal HBsAg on the antibody response of offsprings.
      4. Anti-HBs positive rate and minimum protective rate were 98.4% and 85.2%, respectively in 1-12 months, but decreased rapidly after 37 months, to 68.4% and 47.4% in 37-48 month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ⅲ
      • 논문개요 = ⅴ
      • Ⅰ. 서론 = 1
      •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 2
      • Ⅲ. 연구결과 = 3
      • 목차 = ⅲ
      • 논문개요 = ⅴ
      • Ⅰ. 서론 = 1
      •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 2
      • Ⅲ. 연구결과 = 3
      • A. 간염항원 양성 산모의 빈도 = 3
      • B. 대상군의 성별과 기간 = 3
      • C. 항체역가의 평균치 및 변화 = 3
      • D. 항체양성률과 최소방어율 = 4
      • Ⅳ. 고찰 = 13
      • Ⅴ. 결론 = 18
      • 참고문헌 = 19
      • 〓ABSTRACT〓 = 2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