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북 섬 관광 촉진을 위한 위도 파시(蝟島 波市) 개발방안 = The Development of WIDO PASI(Seasonal Fish Market) to Promote Tourism in Jeonbuk Is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56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배경은 낙후되고 소외되어 가는 섬 지역소멸 예방과 관광객이 공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섬 관광 상품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실질적인 위도 파시의...

      본 연구의 배경은 낙후되고 소외되어 가는 섬 지역소멸 예방과 관광객이 공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섬 관광 상품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실질적인 위도 파시의 섬 관광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장기적이고 전략적 접근을 하고자 한다.
      위도 파시의 역사는 조선 전기에서 시작되어 조선 후기에 본격적인 파시 형태가 갖추기 시작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청어 파시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1900년 부터는 조기 파시, 일제 강점기에는 조기 파시가 가장 활발하였다. 서해안의 조기 어획량 감소에 따라 뱃길과 어업의 변화의 영향으로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 초에는 서해안 지역의 조기 파시는 소멸된 상태이다.
      위도 파시가 서해안 지역의 대표적인 3대 파시였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가치의 복원 및 재현, 어업문화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위도 파시의 과거를 다시 복원 할 수는 없지만 당시의 위도 파시를 현대적으로 계승할 수 있는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위도 파시 복원을 위한 서해 황금어장 공동 복원 사업 추진이다. 둘째, 위도 파시 골목 재생사업 추진이다. 셋째, 서해 파시 해양 문화권(가칭) 설정을 통한 파시 해양 관광 루트 조성이다. 넷째, 위도 섬 발전계획 수립 및 활동가, 전문가, 주민 협력네트워크 구축이다. 다섯째, 국립파시 해양 문화 박물관 건립 및, 위도 생활사 건립이다. 여섯째, 낚시 관광형 다기능 어항으로서의 성장 추진이다.
      끝으로 지역주민의 거주 환경 조성이 더욱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위도 파시 개발 사업 등 세부적인 사업 추진이다. 또한 위도 지역주민 뿐 만 아니라 관광객, 전라북도, 중앙정부 등의 협력적인 동반성장을 이르는 현명한 정책집행 추진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o prevent the disappearance of underdeveloped islands and to suggest a practical plan for commercialization of island tourism that tourists can sympathize with. The specific purpose is to approach in a long-term and st...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o prevent the disappearance of underdeveloped islands and to suggest a practical plan for commercialization of island tourism that tourists can sympathize with. The specific purpose is to approach in a long-term and strategically to the island tourism content of WIDO PASI. The history of WIDO PASI bega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began to be formed in earnest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formed around herring PASI, and the PASI was the most active from 1900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ue to the decrease in the amount of early catch on the west coast, it had disappeared from the late 1960s to the early 1970s due to changes in ship routes and fishing. WIDO PASI was one of the three representative PASI on the west coast, but the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of historical values and re-examination of fishing culture have not been carried out. Therefore, this study cannot restore the past of WIDO PASI again, but we here to present a development plan that can modernly inherit WIDO PASI at the time.
      First, a joint restoration project for the West Sea golden fishing ground is promoted to restore WIDO PASI. Second, WIDO PASI alley regeneration project is promoted. Third, the PASI marine tourism route is creat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West PASI Ocean Cultural Area” (tentative name). Fourth, it is to establish a latitude development plan and establish a cooperative network for activists, experts, and residents. Fourth, it establishes a WIDO Island development plan and a network of cooperation between activists, experts, and residents. Fifth, the National PASI Maritime Culture Museum and WIDO will be built. Sixth, it is to promote growth as a fishing tourism complex.
      Fi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ng a residential environment for local residents, all means and methods that can be deposited to promote detailed projects such as WIDO PASI development projects are mobiliz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wise policy implementation, including cooperative growth, not only for residents of WIDO but also for tourists, Jeollabuk-do, and the central govern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양수산부"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김준, "파시의 해양문화사적 의미구조: 임자도 ‘타리파시’와 ‘재원파시’를 중심으로"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4 : 315-352, 2004

      4 이경엽, "파시의 파노라마적 풍경과 파시 주체의 욕망" 한국민속학회 65 : 195-236, 2017

      5 부안독립신문, "파시의 전설, 위도의 과거 그리고 지금"

      6 서종원, "파시로 인한 지역사회의 문화 변화양상 고찰: 일제강점기 위도 지역의 조기파시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 12 : 137-166, 2007

      7 김준, "칠산어장과 조기파시에 대한 연구" 도서문화연구원 (34) : 176-200, 2009

      8 이동신, "지심도 관광개발의 배경과 관광개발 가치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4 (24): 1-26, 2012

      9 김승, "조선시대(朝鮮時代) 전래(傳來)의 파시(波市)와 어업근거지(漁業根據地) 파시(波市)의 비교연구(比較硏究) -타리파시(台耳波市)의 실태조사(實態調査)를 통해본-" 한국수산경영기술연구원 22 : 67-83, 2005

      10 서종원, "조기 어로민속을 통해 본 서해안의 문화적 특징"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5 : 117-146, 2012

      1 "해양수산부"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김준, "파시의 해양문화사적 의미구조: 임자도 ‘타리파시’와 ‘재원파시’를 중심으로"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4 : 315-352, 2004

      4 이경엽, "파시의 파노라마적 풍경과 파시 주체의 욕망" 한국민속학회 65 : 195-236, 2017

      5 부안독립신문, "파시의 전설, 위도의 과거 그리고 지금"

      6 서종원, "파시로 인한 지역사회의 문화 변화양상 고찰: 일제강점기 위도 지역의 조기파시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 12 : 137-166, 2007

      7 김준, "칠산어장과 조기파시에 대한 연구" 도서문화연구원 (34) : 176-200, 2009

      8 이동신, "지심도 관광개발의 배경과 관광개발 가치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4 (24): 1-26, 2012

      9 김승, "조선시대(朝鮮時代) 전래(傳來)의 파시(波市)와 어업근거지(漁業根據地) 파시(波市)의 비교연구(比較硏究) -타리파시(台耳波市)의 실태조사(實態調査)를 통해본-" 한국수산경영기술연구원 22 : 67-83, 2005

      10 서종원, "조기 어로민속을 통해 본 서해안의 문화적 특징"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5 : 117-146, 2012

      11 김준, "저기~요, 그 많던 조기는 다 어디갔나요, 『김준의 섬섬옥수 위도』"

      12 서종원, "위도띠뱃놀이 「願堂重修記」(1900년) 연구" 도서문화연구원 (37) : 189-216, 2011

      13 박광순, "위도(蝟島)의 조기 파시(波市)에 관한 일고찰" 한국도서(섬)학회 11 (11): 9-30, 2000

      14 박광순, "역사적으로 본 거제도와 일본 -지세포의 역사공원화를 중심으로-" 한국도서(섬)학회 24 (24): 3-4, 2013

      15 홍순일, "서해 도서지역의 구비전승물과 해양정서: 조기를 중심으로"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8 : 519-567, 2006

      16 정재철, "부안이야기, 『부안21』, 제13호"

      17 이동기, "바다의 황금시대 '위도파시(蝟島波市)' 재현의 의미와 추진방향" 전북연구원 1-16, 2018

      18 김일기, "곰소만의 어업과 어촌연구" 서울대학교 1993

      19 조숙정, "곰소만 어촌의 어로활동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1970년대 이후 어업의 변화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소 23 (23): 105-143, 2017

      20 김수관, "거제 어촌체험마을의 실태와 발전방안" 한국도서(섬)학회 24 (24): 27-38, 2012

      21 吉田敬市, "波市坪考" 4 (4): 379-391, 195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