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蓄血證과 蓄水證의 病理에 關한 文獻的 考察 = A Philological Study on the Pathology of Syndromes of Stagnated Blood & Wa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325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 축혈증과 축수증은 태양표증이 풀리지 않아 邪熱이 안으로 들어가 형성된 양대병증으로 이들의 부위 및 병리에 대한 설명이 명확치 못한 점이 많다. 이에 축혈증과 축수증의 본...

      연구배경 : 축혈증과 축수증은 태양표증이 풀리지 않아 邪熱이 안으로 들어가 형성된 양대병증으로 이들의 부위 및 병리에 대한 설명이 명확치 못한 점이 많다. 이에 축혈증과 축수증의 본래 의미를 검토하고 그것의 병리에 대해서 부위, 증상, 개체별 차이 및 측수ㆍ축혈증의 실질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함.
      연구방법 : 축혈증과 축수증에 관련된 조문 및 유사증에 관한 조문들을 가려서 역대 주가들의 주를 참고로 연구하였다. 축수ㆍ축혈의 실질에 관해서는 처방을 중심으로 사용된 약재들의 현대적 약리작용을 통해 연구하였다.
      결과 : 축혈증은 하초소복부의 혈액순환계통의 질환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수증은 방광자체의 문제이기 보다는 기화분리로 인한 수액대사 장애와 관련된 병증으로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 the philological study on syndrome of stagnated blood & syndrome of stagnated water,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ing; 1. It is resonable to understand that the location of Syndrome of Stagnated Blood(蓄血證) is the lower abdomen and...

      Through the philological study on syndrome of stagnated blood & syndrome of stagnated water,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ing;
      1. It is resonable to understand that the location of Syndrome of Stagnated Blood(蓄血證) is the lower abdomen and Syndrome of Stagnated Waste (蓄水證) is not exactly the disorder of Gall Bladder itself, but the disturbance of waterbolism derived from the disturbance of Qi (氣) transformation.
      2. Syndrome of Stagnated Blood is that, being uncured Taiyang Channel Syndrom (太陽病), pathogen enters inside and pathogenic heat combines with blood at the lower abdomen; its main signs are spasmatic distention or muscular rigidity of the lower abdomen, mental derangement and normal urination.
      3. Syndrome of Stagnated Water is that, being uncured Taiyang Channel Syndrom, pathogenic heat enters inside and combines with water and leads to disturbance of waterbolism; its main signs are thirsty, dysphoria, and difficulty in urination.
      4. In the view of Western Medicine, Syndrome of Stagnated Blood is related with the disease of the blood circulation-especially in microcirculation- of the lower abdomen; Syndrome of Stagnated Water is similar to the disease which is related with the abnomal state of osmotic density derived from the unblance of electrolytes.
      5. Lee Je-Ma regared the Syndrome of Stagnated Blood as SinSooYeolPyoYeolByung(腎受熱表熱病) of ShaoYin-Ren (少陰人), so explained it as the disease derived from the lower abdominal accumulation of Yang-Qi (陽氣) which coudn't have ascended; and regarded the Syndrome of Stagnated Water as PiSooHanPyoHanByung (脾受寒表寒病) of ShaoYang-Ren (少陽人), so explained it as the disease derived from the accumulation of internal heat because of discending disturbance of Yin-Qi (陰氣).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