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The Early Revival Movement in Korea (1903-190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2279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첫 장에서는 이 논문의 작성 동기와 목적, 연구 방법과 연구 자료에 대한 분석을 다루었다. 한국 교회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은 그 급속한 성장에 쏠려있다. 한국 교회의 급속한 성장의 원인 분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20세기 초엽에 시작된 한국 교회의 부흥운동은 한국교회의 급속한 성장 분석에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논문은 한국교회 초기 부흥운동을 역사적인 면에서 기술하고 선교신학적인 접근 방법으로 조직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20세기 초엽에 일어났던 부흥운동이 한국 교회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증명할 것이다. 제2장에서는 초기 부흥운동의 정치적, 경제, 사회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부흥운동이 20세기 들어서서 정치적인 급속한 변혁과 소용돌이 속에서, 그리고 사회적인 혼란 속에서, 그리고 경제적인 악조건 속에서 일어났던 것이다. 조선조 말기 한국은 그 외교의 개방과 더불어 ‘은둔국’에서 ‘열강들의 각축장’으로 변모하고 있었다. 주위의 열강들, 일본과 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서구 열강들은 한국을 식민지화 하기 위해 주도권 쟁탈전을 벌이고 있었다. 결국 1910년에 한국은 일본에 강제 합병 당하고 만다. 이 장에서는 그 배경 속에서 종말론적인 분위기가 어떻게 한국 사회에 움트게 되었고 그것이 어떻게 기독교와 부흥운동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 보았다. 제3장에서는 한국 교회 초기 부흥운동의 종교적인 배경들을 취급하였다. 샤마니즘과 불교, 유교와 동학, 그리고 천주교와 개신교를 망라한 기독교를 다루었다. 더불어 부흥운동이 나타나기에 적절한 분위기를 형성해 주었던 한국 개신교 교인들의 좀 특이한 종교 생활을 덧 붙였다. 이 장에서 한국 교인들의 열심있는 기도생활, 성경 공부, 전도 생활이 부흥운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국 교회 초기 부흥운동을 역사적으로, 연대기적으로 취급하였다. 20세기 초엽에 일어났던 전 세계적인 부흥운동의 물결을 먼저 살펴 보았으며 그 후에 그 물결의 한 줄기로 한반도에 일어났던 부흥운동을 역사적으로 기술하였다. 부흥의 불길은 1903년 원산에서 있었던 한 조그만 성경공부 모임에서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급속하게 퍼져 나갔다. 그러던 중 1904년초에 한반도 북부와 인근 해역에서 러일전쟁이 터졌고 그 이듬해 일본은 한국인들의 의사와는 상관 없이 보호조약을 강제 체결하게 되었다. 이 사건은 한국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부흥운동에 적극 참여하게 만든 계기가 되었다. 부흥운동의 불길은 1905년 ‘개신교 선교 공의회’의 결의에 따른 대대적인 신년 부흥성회와 더불어 전국적으로 동시에 일어났다. 그 결과는 선교사들의 처음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가져왔다. 그 결의로 말미암아 부흥운동은 원산 지역을 벗어나 전국으로, 감리교회라는 한 교단을 벗어나 전 개신교로 확산되었다. 부흥운동은 1907년 정월 평양에서 그 절정에 이르게 되었다. 소위 ‘평양의 오순절’이라든가, ‘대 각성’이라든가, ‘오랫동안 기억될 날들’로 표현되는 부흥운동이 평양에서 일어났다. 평양의 부흥운동은 여러 선교사들과 한인 교우 지도자들이 잘 준비하고 조직하여 남성, 여성, 학생별로 집회를 가져 놀라운 결실을 가져왔다. 그 영향은 전국에 미쳐서 한국 교회를 새롭게 하는데 크게 일조하였다. 제5장에서는 한국교회 초기 부흥운동에 대하여 신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부흥운동에는 감정적인 변화가 크게 작용하였기에 종교-심리학적인 면에서 살펴 보았으며 그 다음으로 종말론적인 면을 분석하였다. 그 후에 성령론과 선교학적인 주제들을 논의하였다. 제6장에서는 한국 부흥운동의 결과들을 살펴 보았다. 부흥운동은 개신교에서 일어난 운동이었으나 그 영향은 교회 안에만 머물지 아니하고 사회에 영향을 미쳐 많은 순기능으로 작용하였다. 부흥운동으로 말미암아 화석화 돼가던 한국교회는 일순간에 생기를 되찾게 되었으며 급성장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더불어 평등사상과 교육 여건의 개선, 결혼 등 풍습의 개선 등에 많은 영향을 끼치었다. 마지막 제7장에서는 한국교회 초기 부흥운동을 여러 각도에서 평가하였다. 역사적인 면, 사회적인 면, 신학적인 면에서 각기 평가하였고 특별히 부흥운동을 위해 결정적으로 작용한 요소들을 끄집어 냈다.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을 내 놓으며 이 논문을 마쳤다.
      번역하기

      첫 장에서는 이 논문의 작성 동기와 목적, 연구 방법과 연구 자료에 대한 분석을 다루었다. 한국 교회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은 그 급속한 성장에 쏠려있다. 한국 교회의 급속한 성장의 원인 ...

      첫 장에서는 이 논문의 작성 동기와 목적, 연구 방법과 연구 자료에 대한 분석을 다루었다. 한국 교회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은 그 급속한 성장에 쏠려있다. 한국 교회의 급속한 성장의 원인 분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20세기 초엽에 시작된 한국 교회의 부흥운동은 한국교회의 급속한 성장 분석에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논문은 한국교회 초기 부흥운동을 역사적인 면에서 기술하고 선교신학적인 접근 방법으로 조직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20세기 초엽에 일어났던 부흥운동이 한국 교회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증명할 것이다. 제2장에서는 초기 부흥운동의 정치적, 경제, 사회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부흥운동이 20세기 들어서서 정치적인 급속한 변혁과 소용돌이 속에서, 그리고 사회적인 혼란 속에서, 그리고 경제적인 악조건 속에서 일어났던 것이다. 조선조 말기 한국은 그 외교의 개방과 더불어 ‘은둔국’에서 ‘열강들의 각축장’으로 변모하고 있었다. 주위의 열강들, 일본과 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서구 열강들은 한국을 식민지화 하기 위해 주도권 쟁탈전을 벌이고 있었다. 결국 1910년에 한국은 일본에 강제 합병 당하고 만다. 이 장에서는 그 배경 속에서 종말론적인 분위기가 어떻게 한국 사회에 움트게 되었고 그것이 어떻게 기독교와 부흥운동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 보았다. 제3장에서는 한국 교회 초기 부흥운동의 종교적인 배경들을 취급하였다. 샤마니즘과 불교, 유교와 동학, 그리고 천주교와 개신교를 망라한 기독교를 다루었다. 더불어 부흥운동이 나타나기에 적절한 분위기를 형성해 주었던 한국 개신교 교인들의 좀 특이한 종교 생활을 덧 붙였다. 이 장에서 한국 교인들의 열심있는 기도생활, 성경 공부, 전도 생활이 부흥운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국 교회 초기 부흥운동을 역사적으로, 연대기적으로 취급하였다. 20세기 초엽에 일어났던 전 세계적인 부흥운동의 물결을 먼저 살펴 보았으며 그 후에 그 물결의 한 줄기로 한반도에 일어났던 부흥운동을 역사적으로 기술하였다. 부흥의 불길은 1903년 원산에서 있었던 한 조그만 성경공부 모임에서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급속하게 퍼져 나갔다. 그러던 중 1904년초에 한반도 북부와 인근 해역에서 러일전쟁이 터졌고 그 이듬해 일본은 한국인들의 의사와는 상관 없이 보호조약을 강제 체결하게 되었다. 이 사건은 한국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부흥운동에 적극 참여하게 만든 계기가 되었다. 부흥운동의 불길은 1905년 ‘개신교 선교 공의회’의 결의에 따른 대대적인 신년 부흥성회와 더불어 전국적으로 동시에 일어났다. 그 결과는 선교사들의 처음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가져왔다. 그 결의로 말미암아 부흥운동은 원산 지역을 벗어나 전국으로, 감리교회라는 한 교단을 벗어나 전 개신교로 확산되었다. 부흥운동은 1907년 정월 평양에서 그 절정에 이르게 되었다. 소위 ‘평양의 오순절’이라든가, ‘대 각성’이라든가, ‘오랫동안 기억될 날들’로 표현되는 부흥운동이 평양에서 일어났다. 평양의 부흥운동은 여러 선교사들과 한인 교우 지도자들이 잘 준비하고 조직하여 남성, 여성, 학생별로 집회를 가져 놀라운 결실을 가져왔다. 그 영향은 전국에 미쳐서 한국 교회를 새롭게 하는데 크게 일조하였다. 제5장에서는 한국교회 초기 부흥운동에 대하여 신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부흥운동에는 감정적인 변화가 크게 작용하였기에 종교-심리학적인 면에서 살펴 보았으며 그 다음으로 종말론적인 면을 분석하였다. 그 후에 성령론과 선교학적인 주제들을 논의하였다. 제6장에서는 한국 부흥운동의 결과들을 살펴 보았다. 부흥운동은 개신교에서 일어난 운동이었으나 그 영향은 교회 안에만 머물지 아니하고 사회에 영향을 미쳐 많은 순기능으로 작용하였다. 부흥운동으로 말미암아 화석화 돼가던 한국교회는 일순간에 생기를 되찾게 되었으며 급성장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더불어 평등사상과 교육 여건의 개선, 결혼 등 풍습의 개선 등에 많은 영향을 끼치었다. 마지막 제7장에서는 한국교회 초기 부흥운동을 여러 각도에서 평가하였다. 역사적인 면, 사회적인 면, 신학적인 면에서 각기 평가하였고 특별히 부흥운동을 위해 결정적으로 작용한 요소들을 끄집어 냈다.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을 내 놓으며 이 논문을 마쳤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 13
      • 1.1. Stating the problem = 13
      • 1.2. Purpose of study = 17
      • 1.3. Structure of study = 18
      •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 13
      • 1.1. Stating the problem = 13
      • 1.2. Purpose of study = 17
      • 1.3. Structure of study = 18
      • 1.4. Terminology = 19
      • 1.5. Methodology = 20
      • 1.6. Sources = 21
      • 1.6.1. Primary sources = 21
      • 1.6.2. Secondary sources = 22
      • 1.6.3. General literature = 22
      • 2. THE POLITICAL AND SOCIO-ECONOMIC CONTEXT OF THE EARLY KOREAN REVIVAL MOVEMENT = 24
      • 2.1. Introduction = 24
      • 2.2. Political context = 24
      • 2.2.1. The diplomatic opening of Choso˘n Korea in 1876 = 25
      • 2.2.2. The permission of Christian mission in Korea in 1884 = 26
      • 2.2.3. The Coup d’e´tat (kapsin cho˘ngbyo˘n) in 1884 = 27
      • 2.2.4. The Tonghak movement and the Sino-Japanese War in 1894 = 28
      • 2.2.5. The reform of Korea (Kabo kyo˘ngjang) in 1894 = 30
      • 2.2.6. The assassination of Myo˘ng-so˘ng, the Queen in 1895 = 30
      • 2.2.7. The Russo-Japanese War in 1904-1905 = 31
      • 2.2.8. The Protectorate Treaty of Japan with Choso˘n Korea in 1905 = 31
      • 2.3. Socio-economic context = 31
      • 2.3.1. Peasants and agriculture = 32
      • 2.3.2. Social classes = 33
      • 2.3.3. Social systems = 35
      • 2.3.3.1. Farmland system = 35
      • 2.3.3.2. Taxation system = 36
      • 2.3.3.3. Military system = 36
      • 2.3.4. Social instability caused by partisan rebellions = 37
      • 2.4. Conclusion = 38
      • 3. THE RELIGIOUS CONTEXT OF THE EARLY KOREAN REVIVAL MOVEMENT = 41
      • 3.1. Introduction = 41
      • 3.2. The religions of Korea = 41
      • 3.2.1. Shamanism = 41
      • 3.2.2. Buddhism = 43
      • 3.2.3. Confucianism = 45
      • 3.2.4. Tonghak (東學) = 47
      • 3.3. Christianity = 49
      • 3.3.1. Roman Catholicism = 49
      • 3.3.2. Protestantism = 51
      • 3.4. The life-style of Korean Protestant Christians = 54
      • 3.4.1. Fervent prayer = 54
      • 3.4.2. Bible study = 56
      • 3.4.3. The propagation of the Gospel = 58
      • 3.4.3.1. Colporteurs and Bible women = 58
      • 3.4.3.2. Sarangbang propagation = 59
      • 3.5. The dilemma of the Korean church = 59
      • 3.5.1. The dilemma of foreign missionaries = 59
      • 3.5.2. The dilemma of Korean Christians = 61
      • 3.5.3. Tensions between foreign missionaries and Korean Christians = 63
      • 3.6. Conclusion = 66
      • 4. THE HISTORY OF THE EARLY KOREAN REVIVAL MOVEMENT OF 1903-1907 = 68
      • 4.1. Introduction = 68
      • 4.2. The revival movements outside of Korea in the early 1900s = 69
      • 4.3. The origins of the revival movement in 1903-1907 = 73
      • 4.4. The beginning of the revival movement at Wo˘nsan (August 1903) = 74
      • 4.4.1. Preparation = 75
      • 4.4.2. Birth and growth = 76
      • 4.4.3. Impact and expansion = 79
      • 4.5. The spread of the revival mov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of 1904-1906 = 80
      • 4.5.1. Preparation = 81
      • 4.5.2. Birth and growth = 82
      • 4.5.3. Impact and expansion = 84
      • 4.5.3.1. The revival movement in 1904 = 85
      • 4.5.3.2. The revival movement in 1905 = 88
      • 4.5.3.3. The revival movement in 1906 = 94
      • 4.6. The apex of the revival movement at Pyongyang (1907) = 100
      • 4.6.1. Preparation = 101
      • 4.6.2. Birth and growth = 102
      • 4.6.2.1. Men’s meetings = 103
      • 4.6.2.2. Women’s meetings = 106
      • 4.6.2.3. Students’ meetings = 107
      • 4.6.3. Impanct and expansion = 108
      • 4.7. The Aftermath of the Korean revival movement = 110
      • 4.8. The spread of the revival movement outside the peninsula = 112
      • 4.8.1. Manchuria (China) = 112
      • 4.8.2. Japan = 117
      • 4.9. Conclusion = 118
      • 5. THE THEOLOGY OF THE EARLY KOREAN REVIVAL MOVEMENT = 121
      • 5.1. Introduction = 121
      • 5.2. Religious-psychological analysis = 121
      • 5.2.1. Crisis consciousness = 122
      • 5.2.2. Mass escapism = 122
      • 5.2.3. Psychological catharsis = 123
      • 5.3. Religious and theological influences = 123
      • 5.3.1. Asian religions = 124
      • 5.3.2. Korean religions: apocalypse and eschatology = 126
      • 5.3.2.1. Buddhism: Miru˘k faith = 127
      • 5.3.2.2. Korean apocalyptic: Cho˘nggamnok = 127
      • 5.3.2.3. Tonghak = 128
      • 5.3.2.4. Comparison with the apocalyptic/eschatological teachings of Christianity = 129
      • 5.3.3. Christianity = 130
      • 5.3.3.1. Puritanism = 130
      • 5.3.3.2. Holiness movement = 132
      • 5.3.3.3. Missionary movement: Premillennialism = 134
      • 5.4. The pneumatological discussions about the early Korean revival movement = 135
      • 5.4.1. The Cleansing Fire and sins = 135
      • 5.4.1.1. Great fear in the Presence of God = 135
      • 5.4.1.2. Confession and forgiveness of sins = 137
      • 5.4.2. The Intermediary Spirit of reconciliation, peace and exultation = 140
      • 5.4.3. The Healing Spirit = 142
      • 5.4.4. The Spirit of holiness and liberty = 144
      • 5.4.5. The One Spirit and ecumenism = 145
      • 5.4.6. The gifts and fruits of the Holy Spirit = 148
      • 5.5. The missiological aspects of the Korean revival movement = 149
      • 5.5.1. Mission and inculturation = 149
      • 5.5.2. Mission and politics = 150
      • 5.5.3. Mission and social justice = 151
      • 5.6. Conclusion = 152
      • 6. THE EFFECTS OF THE KOREAN REVIVAL MOVEMENT OF 1903-1907 = 155
      • 6.1. Introduction = 155
      • 6.2. New understanding of the church = 156
      • 6.2.1. The independence of the Korean church = 156
      • 6.2.2.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 158
      • 6.2.3. The Million Movement = 162
      • 6.2.4. The consolidation of Korean Christianity during Japanese persecution = 164
      • 6.2.5. The sending of Korean missionaries = 166
      • 6.3. The new life style of Korean Christians = 167
      • 6.3.1. Day-Offerings (nalyo˘nbo 날捐補) = 167
      • 6.3.2. The Lord’s Pot ( so˘ngmi, 聖米) = 168
      • 6.3.3. Early Morning Prayer (saebyo˘kkido, 새벽祈禱) and Unison Prayer (t’ongso˘nggido, 通聲祈禱) = 169
      • 6.3.4. Keeping the Sabbath = 170
      • 6.4. The new civic standards of Korean Christianity = 170
      • 6.4.1. Access to education = 171
      • 6.4.2. The increase of equality = 172
      • 6.4.3. Moral enlightenment = 174
      • 6.4.4. Purging concubines = 174
      • 6.4.5. The improvement of betrothal and marriage = 176
      • 6.4.6. The improvement of women’s conditions = 177
      • 6.5. Conclusion = 178
      • 7. FINAL OBSERVATIONS = 180
      • 7.1. The main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revival movement of 1903-1907 = 180
      • 7.1.1. The eschatological/apocalyptic context = 180
      • 7.1.2. The strong conviction of the leaders = 181
      • 7.1.3. The typical life-style of the Korean Christians = 182
      • 7.2.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revival movement of 1903-1907 = 183
      • 7.2.1. Historical evaluation = 183
      • 7.2.2. Sociological evaluation = 184
      • 7.2.3. Theological/missiological evaluation = 184
      • 7.3. Perspectives and challenges = 1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