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신화가 한국사회에 끼친 영향-경북 고령과 「기기(記紀)」의 만남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355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bout the Gocheonwonje(高天原祭) in Goryeong. Goryeong was postulated as Imnailbonbu(任那日本府) during the Japan colonial period and also, several memorials were built by the Japan. As the descendants of the resplendent culture of the Gaya’s dynasty, it was a humiliating incident for the Goryeong people. In the way of recovering their pride, they used Japanese myth for the attacking theory. According to their theory, the location of the Gocheonwon is the Goryeong, therefore Japanese royal family is the descendants of the Goryeong. By theorizing and ritualizing, they wanted to advertise Goryeong as the national pride. In a bid to these movement Gocheonwon was built in the Gaya university and holding Gocheonwonje every spring. They are holding conference with Korean-Japanese co-ceremony during the Gocheonwonje. Therefore, Gochenwonje is the newly created tradition by the Goryeong residents. In addition, the fact that Goryeong continuously mentions connection between Japanese myth and Goryeong region, some parts of the myth settled local society. But, their statement of the Gocheonwon theory has little objectivity. And Gocheonwon movement has tendency on led by the one person. This is why we cannot predict how this movement changes. Therefore, we need to observe closely on the changes.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about the Gocheonwonje(高天原祭) in Goryeong. Goryeong was postulated as Imnailbonbu(任那日本府) during the Japan colonial period and also, several memorials were built by the Japan. As the descendants of the resplendent cultu...

      This article is about the Gocheonwonje(高天原祭) in Goryeong. Goryeong was postulated as Imnailbonbu(任那日本府) during the Japan colonial period and also, several memorials were built by the Japan. As the descendants of the resplendent culture of the Gaya’s dynasty, it was a humiliating incident for the Goryeong people. In the way of recovering their pride, they used Japanese myth for the attacking theory. According to their theory, the location of the Gocheonwon is the Goryeong, therefore Japanese royal family is the descendants of the Goryeong. By theorizing and ritualizing, they wanted to advertise Goryeong as the national pride. In a bid to these movement Gocheonwon was built in the Gaya university and holding Gocheonwonje every spring. They are holding conference with Korean-Japanese co-ceremony during the Gocheonwonje. Therefore, Gochenwonje is the newly created tradition by the Goryeong residents. In addition, the fact that Goryeong continuously mentions connection between Japanese myth and Goryeong region, some parts of the myth settled local society. But, their statement of the Gocheonwon theory has little objectivity. And Gocheonwon movement has tendency on led by the one person. This is why we cannot predict how this movement changes. Therefore, we need to observe closely on the chang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고령과 임나일본부의 만남
      • 3. 일본신화와 새로운 만남을 시도한고령인
      • 4. 고령에 이식되는 일본신화
      • 5. 마무리
      • 1. 머리말
      • 2. 고령과 임나일본부의 만남
      • 3. 일본신화와 새로운 만남을 시도한고령인
      • 4. 고령에 이식되는 일본신화
      • 5. 마무리
      • [參考文獻]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순, "한국구비문학<경북 고령군>" 박이정 291-296, 2006

      2 가야문화연구소, "제12회 고천원제 자료집" 가야대 가야문화연구소 20-21, 2010

      3 신종환, "일제강점기 고령지역의 고고학적 조사와 그 영향" 117-122, 2012

      4 이동진, "일본건국신화에 나타나 있는 천석굴 관련 신화의 발생 시기에 관한 천문학적 고증 –고천원고령비정설의 입장에서-" 가야대 가야문화연구소 12-, 2004

      5 이경희, "아마테라스오오미까미(天照大神)는 任那加羅 사람이었다" 가야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22-23, 2001

      6 강평원, "쌍어 속의 가야사" 생각하는 백성 422-, 2001

      7 이경희, "고천원의 유래" 가야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4-, 2006

      8 寺本克之, "고천원의 유래" 가야대학교가야문화연구소 9-10, 2001

      9 이경희, "고천원은 오늘날의 고령이었다는 과학적 증거" 가야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2-, 2003

      10 이경희, "고천원은 어디였는가" 가야대 가야문화연구소 23-, 2008

      1 김광순, "한국구비문학<경북 고령군>" 박이정 291-296, 2006

      2 가야문화연구소, "제12회 고천원제 자료집" 가야대 가야문화연구소 20-21, 2010

      3 신종환, "일제강점기 고령지역의 고고학적 조사와 그 영향" 117-122, 2012

      4 이동진, "일본건국신화에 나타나 있는 천석굴 관련 신화의 발생 시기에 관한 천문학적 고증 –고천원고령비정설의 입장에서-" 가야대 가야문화연구소 12-, 2004

      5 이경희, "아마테라스오오미까미(天照大神)는 任那加羅 사람이었다" 가야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22-23, 2001

      6 강평원, "쌍어 속의 가야사" 생각하는 백성 422-, 2001

      7 이경희, "고천원의 유래" 가야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4-, 2006

      8 寺本克之, "고천원의 유래" 가야대학교가야문화연구소 9-10, 2001

      9 이경희, "고천원은 오늘날의 고령이었다는 과학적 증거" 가야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2-, 2003

      10 이경희, "고천원은 어디였는가" 가야대 가야문화연구소 23-, 2008

      11 이경희, "고천원과 대가야 고령" 가야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9-, 2006

      12 水野俊平, "韓国人の日本偽史" 小学館 109-120, 2002

      13 井上光貞, "日本書紀(下)" 中央公論社 88-89, 1986

      14 井上光貞, "日本書紀(上)" 中央公論社 231-232, 1993

      15 上垣外憲一, "天孫降臨의 道" 筑摩書房 19-20, 1986

      16 馬淵和夫, "古代日本語の姿" 武蔵野書院 436-438,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일본언어문화학회 ->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영문명 : 미등록 -> Japanese Language & Culture Association of Korea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5 0.547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