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태극문양을 응용한 공예문화상품 개발 -장신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using taegeuk pattern -Focusing on Jewel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390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태극문양은 고대로부터 우리 선조의 세계관과 종교관, 정치적 통치이념, 벽사와 길상의 상징문양으로, 또한 조선시대 이후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공식 도안으로 우리 문화 역사에 깊게 자리 ...

      태극문양은 고대로부터 우리 선조의 세계관과 종교관, 정치적 통치이념, 벽사와 길상의 상징문양으로, 또한 조선시대 이후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공식 도안으로 우리 문화 역사에 깊게 자리 잡고 있다. 태극문양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양임에도 불구하고 태극의 형이상학적인 개념과 강한 상징적 이미지로 인해 공예문화상품에 있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예를 찾기 어렵다. 그러나 태극문양은 우리 민족의 고유한 가치를 전달할 수 있는 상징이므로 태극의 의미와 조형적 특징을 이해하여 이를 현대인의 생활과 감각에 맞게 적용한 공예문화상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태극의 의미와 태극문양의 상징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유물·유적에 새겨진 태극문양을 응용하여 장신구를 중심으로 한 공예문화상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장신구들은 평면적인 태극문양의 입체적 변형 과정을 통해 제작되었는데, 원과 곡선으로 구성된 태극문양의 방사대칭과 회전하는 듯한 운동감은 태극의 상생과 순환의 개념을 더욱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ancient time, teageuk pattern has represented our ancestor`s view of the world, religion, ruling principle and a symbol of amulet and has been used as an official design for Teageukki, the national flag of Korea. In spite of teageuk pattern`s nat...

      From ancient time, teageuk pattern has represented our ancestor`s view of the world, religion, ruling principle and a symbol of amulet and has been used as an official design for Teageukki, the national flag of Korea. In spite of teageuk pattern`s national reputation, its pattern is not abundantly represented in various cultural product because of its metaphysical symbolism and emphatic image. However, since teageuk pattern is a symbol of transmitting our indigenous culture and valu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ltural product that engages not only the traditional idea and aesthetic characteristic behind the pattern but combined with contemporary people’s needs and taste. O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fundamental idea and origin behind teageuk, then develop cultural product jewelry based on teageuk patterned relic and artifacts. The series of jewelry is designed through the process of changing teageuk patter from 2-dimension to 3-dimension. Actinomorphic and revolving image of Teageuk pattern composed of circle and curve present idea of circulation, the essential principle of teageu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상수, "한국전통문양집 5-태극무늬" 안그라픽스 1991

      2 남재경,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디자인개발연구" 한국조형학회 2004

      3 한국문화재보호협회, "한국의 무늬"

      4 한국문화상징사전편집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1" 동아출판 1996

      5 李銀淑, "태극의 순환성을 바탕으로한 생명이미지 표현 :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6 조인수, "태극문양의 역사와 태극도의 형성에 대하여" 동아시아문화학회 1 : 2004

      7 김영희, "태극문양의 상품화를 위한 기초패턴연구" 우리마당 터 2005

      8 방일경, "태극무늬를 이용한 통일엽서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6 (16): 3-34, 2003

      9 유한태, "태극도형의 지각적 분석" 디자인하우스: 월간디자인 1983

      10 임순혁, "태극 공간의 반복 구성에 관한 연구" 11 : 2007

      1 안상수, "한국전통문양집 5-태극무늬" 안그라픽스 1991

      2 남재경,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디자인개발연구" 한국조형학회 2004

      3 한국문화재보호협회, "한국의 무늬"

      4 한국문화상징사전편집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1" 동아출판 1996

      5 李銀淑, "태극의 순환성을 바탕으로한 생명이미지 표현 :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6 조인수, "태극문양의 역사와 태극도의 형성에 대하여" 동아시아문화학회 1 : 2004

      7 김영희, "태극문양의 상품화를 위한 기초패턴연구" 우리마당 터 2005

      8 방일경, "태극무늬를 이용한 통일엽서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6 (16): 3-34, 2003

      9 유한태, "태극도형의 지각적 분석" 디자인하우스: 월간디자인 1983

      10 임순혁, "태극 공간의 반복 구성에 관한 연구" 11 : 2007

      11 이동희, "태극" 1998

      12 최해숙, "태극" 동양철학학회 (12) : 2000

      13 우실하, "최초의 태극 관념은 음양태극이 아니라 삼태극/삼원태극이었다" 동양사회사상학회 8 : 5-38, 2003

      14 임영주, "전통자료문양집" 미진사 1996

      15 안창호, "전통문양에 나타난 음양태극과 상태극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0) : 61-74, 2004

      16 전창선, "음양이 뭐지?" 도서출판 세기 2001

      17 이어령, "우리문화박물지" 디자인하우스 2007

      18 신희경, "우리나라 공예문화상품의 특성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1 (11): 96-108, 2005

      19 허균, "빛깔있는 책들 165 전통문양" 대원사 1995

      20 김은경, "만물의 조화, 태극" 디자인하우스: 월간디자인 1983

      21 강명기, "디자인의 DNA 태극" 히어나우시스템 2011

      22 김교빈, "동양철학에세이" 동녘 2006

      23 국립중앙박물관, "대한의 상징, 태극기"

      24 신영복, "강의" 돌베개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