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과학기술단지의 조성 동향과 향후 정책추진 방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500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 연구를 토대로 과학기술단지의 개념을 총괄적으로 정리하여 과학기술단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국내외 과학기술단지의 조성 동향을 분석하고, 과학기술단...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 연구를 토대로 과학기술단지의 개념을 총괄적으로 정리하여 과학기술단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국내외 과학기술단지의 조성 동향을 분석하고, 과학기술단지의 유형 및 유형별 특정올 정리하였다.또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과학기술단지 조성의 대표적인 성공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과학기술단지 조성의 성공요인에 대하여 정성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단지의 조성 역사 및 최근의 동향을 정리하였고, 당면과제 및 향후 방향을 제시하였다.본 연구는 과학기술단지 조성과 관련하여 기존에 단편적으로 제시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려고 노력하였으나 논리적 구성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기본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이 분야의 기초연구로 볼 수 있고, 향후 심도있는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향후의 연구방향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을 들 수 있다.첫째, 현재 과학기술처, 통상산업부, 건설교통부, 보건사회부, 국방부, 지방자치단체 퉁 여러부처에서 첨단산업기술단지를 조성하는 정책에 관여하고 있는 반면에 그 효율성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여러부처에서 산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첨단산업기술단지 조성에 관한 정책 효율성올 추구하기 위한 정책조정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가 추진되어야 한다. 특히 지역별로 과학기술기반의 축적 정도 및 산업기반 구축의 정보가 다름으로 해서 지역별로 과학기술단지를 조성하는데 있어서 차별적인 접근방법이 제시되어야 하고, 지역의 정책의지를 차별화시킬 수 있는 정책대안들이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 실질적으로 진척되지 못하고 있는 첨단산업연구단지의 조성 지역에 있어서 세부적인 검토를 통하여 계획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도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둘째, 지역에서의 산학협동의 장올 조성하기 위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일본의 리서치코아(research core) 프로그램과 같이 중앙과 지방의 협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정책 메카니즘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통상산업부가 산업기술기반 조성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려고 하고 있으나,효과적인 정책메카니즘의 개발없이는 국가예산의 낭비를 초래 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과학기술처가 추진하고 있는 우수연구센터 (SRC!ERC) 그리고 지역협력센터 (RRC)를 확대발전시켜 협동연구단지화 시키는 방안 퉁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셋째, 선진외국의 과학기술단지 조성에 대한 피상적인 고찰연구를 보다 심도있게 진행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선진국의 경험을 깊이 있게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한 과학기술단지 개발모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과는 달리 토지비용이 비싸고, 국민 성향이 수도권 집중적인 특성올 지니고 있다. 또한 지역 산업부문도 선진국과는 달리 기술력이 취약하여 지역산업계의 기술수요가 첨단과학기술이라기 보다는 현장기술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또한 대학의 연구개발능력도 선진국들에 비하여 취약하고 특히 현장기술능력이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적 인식하에 우리나라의 지역기술혁신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연구단지모형개발이 필요하다.넷째, 현재 대학올 중심으로 붐을 이루고 있는 산학협동연구단지의 조성 이후 협동연구단지의 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지기 위한 방안 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아직 우리나라는 대학중심 산학협동연구단지가 건설단계에 있고, 향후 2~3년뒤에는 본격적인 운영체제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이에 대비한 사전적인 연구로 선진대학의 산학협동연구단지의 운영실태에 대한 조사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한 운영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다섯째, 최근 활성화되기 시작하고 있는 창업보육센터의 성공적 운영 조건의 탐색을 위한 연구를 통하여 창업보육기업이 성공적으로 성장독립할 수 있는 환경조성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이제 씨앗이 뿌려지고 있는 중소기업 창업 촉진시책이 조기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시범적인 성공사례 발굴 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창업보육센터 운영모델을 육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