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담화표지의 형태와 운율 특성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우리가 일상 대화에서 사용하는 부사에서 기원한 담화표지를 대상으로, 부사와의 비교를 통해 담화표지의 형태적 특성과 운율 특성을 살핀 것이다. 이 연구는 담화표지의 형태와 ...

      이 연구는 우리가 일상 대화에서 사용하는 부사에서 기원한 담화표지를 대상으로, 부사와의 비교를 통해 담화표지의 형태적 특성과 운율 특성을 살핀 것이다. 이 연구는 담화표지의 형태와 운율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음성 말뭉치 자료에 나타난 {그냥}, {그러니까}, {아무튼}, {어쨌든}, {막}, {왜}, {이렇게}, {이제}, {인제}, {정말}, {좀}, {진짜}, {하여튼}과 같은 부사에서 기원한 담화표지 1,442개와 부사 717개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분석한 결과로, 담화표지와 부사는 단어에 따라 음소 변화형, 음절 변화형과 같은 다양한 변이형이 나타나는데, 변화형의 실현 비율이 거의 대부분 담화표지에서 높게 나타난다. 특히 {그냥}, {그러니까}, {이렇게}의 경우 ‘걍/냥/양’, ‘까’ ‘케/께/게’와 같은 형태는 주로 담화표지에서 나타난다. 이처럼 부사보다 담화표지에서 음운론적인 형태의 축소가 더 많이 나타나는 현상은 담화표지가 부사에서 의미와 문법적 기능의 변화를 겪으며 담화표지로 기능이 바뀐 문법화된 요소라는 것과 관련이 있다. 다음으로 담화표지와 부사는 ‘운율 경계’, ‘휴지’, ‘음높이 유형’, ‘길이’에서 서로 다른 운율 특성이 나타난다. 담화표지는 주로 선행 요소와 밀접하게 실현되고 여러 운율 경계가 고른 분포를 보이며 나타난다. 또한 저조의 음높이 유형이 주로 실현되고 다양한 음높이 유형이 나타난다. 휴지가 자주 발생하고,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실현된다. 반면에 부사는 주로 후행 요소와 밀접하게 실현되고, 고조의 음높이 유형이 자주 발생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실현된다. 이와 같은 운율이 나타나는 현상은 화자가 담화표지를 사용하여 자신의 발화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담화표지의 기능과 관련이 있고, 뒷말을 수식하는 부사 본연의 기능과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and prosodic feature of discourse markers derived from adverbs in spoken language corpus. Discourse markers a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spoken language with its own discourse functions. So 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and prosodic feature of discourse markers derived from adverbs in spoken language corpus. Discourse markers a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spoken language with its own discourse functions. So discourse markers were analysed focused on grammatical,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discourse functions in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morphological and prosodic features of discourse markers such as {geunyang}, {geureonikka}, {amuteun}, {eojjaetteun}, {mak}, {wae}, {ireoke}, {ije}, {jeongmal}, {jom}, {jinjja}, {hayeoteon}. As a result, A variety of allophones appear in discourse markers rather than adverbs. Especially syllable reductions such as ‘gyang/nyang/yang’, ‘gga’, ‘ke/kke/ge’ are mainly appeared in discourse markers. Discourse markers have salient prosodic features related to their functions, but adverbs just modify the following words. So discourse markers and adverbs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prosodic featur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