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의 교사양성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해외 학교현장에서의 교육실습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며 어떤 배움을 얻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교지 학교 실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96887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2(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의 교사양성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해외 학교현장에서의 교육실습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며 어떤 배움을 얻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교지 학교 실습...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의 교사양성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해외 학교현장에서의 교육실습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며 어떤 배움을 얻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교지 학교 실습생 대상의 심층 면담과 실습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해외 실습은 실습생들의 교사 전문성을 키우고, 타문화 인식 및 문화적 다양성에 민감해지는 기회가 되었다. 또한, 해외 실습은 실습생들에게 미래교사로서 더 준비해야 할 영역을 확인하고 소명을 점검하게 하며, 하나님을 신뢰하는 영적인 면의 성장을 경험케 했다. 이러한 성장에는 선교지 학교 교사 공동체의 도움과 역할이 필수적이었다. 도전 영역은 선교지 학교의 설립목적을 반영하면서 어떻게 신앙과 가르침을 통합할 것인가의 질문이었다. 예비 기독교사의 성장을 돕는 선교지 교육실습이 되기 위해서는 실습 전 사전교육을 통해 선교지 국가와 학교의 특성을 소개하여 선교지 교육실습에 대한 기대와 실제 현장 경험 간의 간격을 줄이도록 해야 한다. 나아가 교사교육의 타 교과목에서도 해외 교육현장을 경험하거나 협력하여 미래 기독교사의 역량을 키우고 비전을 확장하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learning that students gain when they practice teaching in schools abroad. To this en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reviewed their portfolio essays to examine strengths and challe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learning that students gain when they practice teaching in schools abroad. To this en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reviewed their portfolio essays to examine strengths and challenges of the practicum abroad. The advantages of training practicum abroad for pre-service teachers are that they can develop teaching professionalism, increase cross-cultural awareness, and become sensitive to cultural diversity.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confirm their calling for the teaching profession, identify areas where they need to be further prepared as future teachers, and experience spiritual growth. For this growth, the teacher community at schools abroad played an important role. A challenging area for pre-service teachers is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teaching in mission field schools. The way in which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teaching is realized depends on the circumstances of the country and the purpose of the school in mission field. Therefore,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expectations and reality of overseas schools,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e-training prior to overseas practice. In addition, various support systems must be in place throughout the practice to ensure that students can smoothly adjust to schools abroad. In the future, subjects other than teaching practicum should also provid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mission field schools and help pre-teachers develop global competencies and understand their educational miss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필, "해외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연구" 25 (25): 511-531, 2014
2 류민정, "해외 교육봉사와 국내 학교현장실습(교생실습)을 통한 예비 체육교사의 역량 탐색" 한국체육학회 56 (56): 243-257, 2017
3 손화철, "한동대 입학전형의 사교육영향 평가 및 2차년도 종단연구를 통합 대입전형 개선연구" 한동대 2017
4 문상철, "한국교회의 교육선교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선교연구원 2014
5 김필성, "중등학교 예비교사의 실습 경험에 대한 내용 분석 -A대학교 중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0 (20): 51-78, 2014
6 조대훈, "중등학교 교육실습 운영 현황 분석 -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시사점 -" 교육문제연구소 57 : 151-173, 2013
7 문은경, "중등예비교사들의 교원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안암교육학회 22 (22): 183-209, 2016
8 박용호, "중등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299-320, 2012
9 정혜영, "예비교원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해외 현장경험 프로그램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475-499, 2012
10 김선영, "예비교사들의 ‘교사되기’ 의지에 영향을 미친 경험들 - 교육실습 경험을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23 (23): 145-165, 2017
1 박종필, "해외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연구" 25 (25): 511-531, 2014
2 류민정, "해외 교육봉사와 국내 학교현장실습(교생실습)을 통한 예비 체육교사의 역량 탐색" 한국체육학회 56 (56): 243-257, 2017
3 손화철, "한동대 입학전형의 사교육영향 평가 및 2차년도 종단연구를 통합 대입전형 개선연구" 한동대 2017
4 문상철, "한국교회의 교육선교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선교연구원 2014
5 김필성, "중등학교 예비교사의 실습 경험에 대한 내용 분석 -A대학교 중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0 (20): 51-78, 2014
6 조대훈, "중등학교 교육실습 운영 현황 분석 -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시사점 -" 교육문제연구소 57 : 151-173, 2013
7 문은경, "중등예비교사들의 교원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안암교육학회 22 (22): 183-209, 2016
8 박용호, "중등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299-320, 2012
9 정혜영, "예비교원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해외 현장경험 프로그램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475-499, 2012
10 김선영, "예비교사들의 ‘교사되기’ 의지에 영향을 미친 경험들 - 교육실습 경험을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23 (23): 145-165, 2017
11 이은실, "선교지 학교 교육실습 프로그램 구상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56) : 241-271, 2018
12 이은실,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 한국기독교교육학회 (63) : 183-219, 2020
13 이예다나, "국내 중등 예비교사 학교현장실습 연구 동향" 안암교육학회 21 (21): 63-88, 2015
14 정미재, "교육실습이 예비교사의 역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63-83, 2012
15 손민호, "교원양성기관 미래형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정책연구소 2012
16 정미경,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17 Cooper, L., "Work integrated learning : a guide to effective practice" Routledge 2010
18 Stachowski, L., "Thirty years and 2, 000 student teachers later : An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ject that is popular, successful, and replicable" 34 (34): 115-131, 2007
19 Pence, H., "The impact of an international field experience on preservice teachers" 24 : 14-25, 2008
20 Lang, C., "The global education practicum : Perspectives from accompanying academics" 45 (45): 145-161, 2017
21 Tessaro, M., "Teacher candidates’ perceptions of international practicum experiences" Higher Education Quality Council of Ontario 2014
22 Wyss, V., "Structuring effective practicum experiences for pre-service teachers" 132 (132): 600-606, 2012
23 Firmin, M., "Spiritual dynamics involved with overseas student teaching : A qualitative analysis" 8 : 132-155, 2009
24 Badiola-Uribe, N., "Research on training: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in the practicum" 22 (22): 23-32, 2015
25 Creswell, J.,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2007
26 Larsen, M., "International service learning and critical global citizenship" 63 : 196-205, 2017
27 Cantalini-Williams, M., "Innovation practicum models in teacher education: the benefits, challenges and implementation implication of peer mentorship, service learning and international practicum experiences" Higher Education Quality Council of Ontario 2014
28 Larsen, M.,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of teacher education: A comparative case study of Canada and Greater China" Teaching Education 2016
29 Ragawanti, D., "Cultivating pre-service teachers’ classroom management skills through teaching practicum : A reflective practice" 25 (25): 117-128, 2015
30 임종헌,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4 (44): 5-32, 2017
니콜라스 월터스토프와 미로슬라브 볼프의 공공신학의 함의 및 고찰: 정의와 샬롬 교육을 중심으로
기독대학생이 인식한 가족건강성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성의 매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9 | 0.655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