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봉암의 평화통일론 재검토 = Review of Cho Bong­am’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269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거는 현재와 만나면서 끊임없이 재해석된다. 조봉암의 평화통일론 또한 평화통일론에 하나의 원형을 제시한 모델로서 뿐만 아니라 현재와 만나면서 끊임없이 재해석되어야 한다.
      조봉암의 평화통일론은 이승만의 북진통일론이 통일론을 전유하는 상황에서 평화통일론의 원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의 평화통일론은 분단을 온몸으로 막아내고 통일정부를 수립하고자 했던 해방후 중간파의 통일정부수립론을 계승하여 평화통일문제가 단지 통일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한반도에 국제적 긴장완화를 실현하고 사회의 민주화와 자주화, 그 결정체로서 통일을 실현하는 문제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그는 좌우파 정치세력에게 이상적 이념형으로 존재해온 미국의 자본주의, 소련의 사회주의를 비판적으로 사유함으로써 통일을 주체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조봉암의 평화통일론은 이러한 의미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중대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첫째, 그는 통일의 주체를 남북의 민족 구성원 전체로 설정하지 않고, 남한 중심, 남한 민주세력 중심의 통일론을 주장했다. 냉전적 사고가 일정하게 투영되어 있었던 것이다. 둘째, 통일문제를 접근하는데 있어서 남북관계의 제약성을 이해하지 못했다. 이는 남북한 정권을 미국과 소련에 종속된 존재로서만 이해한 결과였다.
      따라서 조봉암의 평화통일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보다도 먼저 남북의 정권을 비롯한 민족 구성원 모두를 통일문제 해결의 주체로 인정하고, 통일의 원칙과 방안에 대한 민족적 합의를 이루는 것이다. 또한 하루빨리 한반도 긴장의 주역인 북한과 미국, 통일의 주역인 남한과 북한, 반공동맹을 형성하고 있는 남한과 미국의 관계를 재정립함으로써 평화로운 통일의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통일에 대한 전민족적 합의를 이루어내고, 한반도 긴장의 주역인 남한과 북한, 미국이 합의하여 평화체제를 수립하는 것, 그것이 진정 미래의 한반도를 평화와 통일로 인도할 수 있는 길이다.
      번역하기

      과거는 현재와 만나면서 끊임없이 재해석된다. 조봉암의 평화통일론 또한 평화통일론에 하나의 원형을 제시한 모델로서 뿐만 아니라 현재와 만나면서 끊임없이 재해석되어야 한다. 조봉암...

      과거는 현재와 만나면서 끊임없이 재해석된다. 조봉암의 평화통일론 또한 평화통일론에 하나의 원형을 제시한 모델로서 뿐만 아니라 현재와 만나면서 끊임없이 재해석되어야 한다.
      조봉암의 평화통일론은 이승만의 북진통일론이 통일론을 전유하는 상황에서 평화통일론의 원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의 평화통일론은 분단을 온몸으로 막아내고 통일정부를 수립하고자 했던 해방후 중간파의 통일정부수립론을 계승하여 평화통일문제가 단지 통일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한반도에 국제적 긴장완화를 실현하고 사회의 민주화와 자주화, 그 결정체로서 통일을 실현하는 문제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그는 좌우파 정치세력에게 이상적 이념형으로 존재해온 미국의 자본주의, 소련의 사회주의를 비판적으로 사유함으로써 통일을 주체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조봉암의 평화통일론은 이러한 의미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중대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첫째, 그는 통일의 주체를 남북의 민족 구성원 전체로 설정하지 않고, 남한 중심, 남한 민주세력 중심의 통일론을 주장했다. 냉전적 사고가 일정하게 투영되어 있었던 것이다. 둘째, 통일문제를 접근하는데 있어서 남북관계의 제약성을 이해하지 못했다. 이는 남북한 정권을 미국과 소련에 종속된 존재로서만 이해한 결과였다.
      따라서 조봉암의 평화통일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보다도 먼저 남북의 정권을 비롯한 민족 구성원 모두를 통일문제 해결의 주체로 인정하고, 통일의 원칙과 방안에 대한 민족적 합의를 이루는 것이다. 또한 하루빨리 한반도 긴장의 주역인 북한과 미국, 통일의 주역인 남한과 북한, 반공동맹을 형성하고 있는 남한과 미국의 관계를 재정립함으로써 평화로운 통일의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통일에 대한 전민족적 합의를 이루어내고, 한반도 긴장의 주역인 남한과 북한, 미국이 합의하여 평화체제를 수립하는 것, 그것이 진정 미래의 한반도를 평화와 통일로 인도할 수 있는 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st is reinterpreted unceasingly as it meets the present. Cho Bong­am’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should also be reinterpreted continuously not only as a model that suggested a prototype for theories of peaceful reunification but also as a past idea encountered today.
      Cho Bong­am’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has a critical meaning to us in that it provided a prototype for theories of peaceful reunification in the situation that Rhee Syng­man’s theory of reunification through marching north was dominating debates over reunification. Inheriting the middle­ofthe­ roader’s theory of united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which aime to prevent the division of the country by throwing the body and to establish a united government, hi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demonstrated that peaceful reunification was not limited to the issue of reunification but was for easing international tensio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achieving the democratization and independence of the society. Moreover, the theory opened a way for the subjective speculation on reunification by critically discussing the capitalism of the U.S. and the socialism of the U.S.S.R., which had been ideal ideologies for the left and right political groups.
      Although having these significances, Cho Bong­am’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has a number of serious limitations. First, it did not include all the people of South and North Korea as the subject of reunification, but insisted on reunification led by South Korea and democratic powers in South Korea. This suggests that his idea reflects the cold­war thought. Second, he did not understand restrictions coming from the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approaching the issue of reunification. It was because he regarded the South and North Korean regimes as subordinate to the U.S. and the U.S.S.R.,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tasks we should do while reflecting on Cho Bong­am’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critically are acknowledging all national members including the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s as the subject of reunification and reaching a national agreement on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reunification. Moreover, we need to foster environment for peaceful reunification by reestablishing the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as the main actors of tensio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s the parties to be unified, and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as anti­communist allies.
      Achieving a national agreement on reunification and establishing a peace system agreed upon by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U.S. that guarantees the national agreement, this is the only way to the peace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ast is reinterpreted unceasingly as it meets the present. Cho Bong­am’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should also be reinterpreted continuously not only as a model that suggested a prototype for theories of peaceful reunification but also a...

      The past is reinterpreted unceasingly as it meets the present. Cho Bong­am’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should also be reinterpreted continuously not only as a model that suggested a prototype for theories of peaceful reunification but also as a past idea encountered today.
      Cho Bong­am’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has a critical meaning to us in that it provided a prototype for theories of peaceful reunification in the situation that Rhee Syng­man’s theory of reunification through marching north was dominating debates over reunification. Inheriting the middle­ofthe­ roader’s theory of united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which aime to prevent the division of the country by throwing the body and to establish a united government, hi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demonstrated that peaceful reunification was not limited to the issue of reunification but was for easing international tensio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achieving the democratization and independence of the society. Moreover, the theory opened a way for the subjective speculation on reunification by critically discussing the capitalism of the U.S. and the socialism of the U.S.S.R., which had been ideal ideologies for the left and right political groups.
      Although having these significances, Cho Bong­am’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has a number of serious limitations. First, it did not include all the people of South and North Korea as the subject of reunification, but insisted on reunification led by South Korea and democratic powers in South Korea. This suggests that his idea reflects the cold­war thought. Second, he did not understand restrictions coming from the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approaching the issue of reunification. It was because he regarded the South and North Korean regimes as subordinate to the U.S. and the U.S.S.R.,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tasks we should do while reflecting on Cho Bong­am’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critically are acknowledging all national members including the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s as the subject of reunification and reaching a national agreement on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reunification. Moreover, we need to foster environment for peaceful reunification by reestablishing the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as the main actors of tensio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s the parties to be unified, and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as anti­communist allies.
      Achieving a national agreement on reunification and establishing a peace system agreed upon by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U.S. that guarantees the national agreement, this is the only way to the peace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해방 후 각 정치세력의 분단인식과 정부수립론
      • 3. 조봉암의 평화통일론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해방 후 각 정치세력의 분단인식과 정부수립론
      • 3. 조봉암의 평화통일론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국태, "해방 3년과 미국" 돌베개 1-412, 1984

      2 "한국일보"

      3 김무진, "한국사의 길잡이" 혜안 1-508, 1995

      4 홍석률, "통일문제와 정치․사회적 갈등 : 1953~1961)" 서울대학교출판부 1-390, 2001

      5 안지홍, "진정민주주의론" 일한도서출판사 1949

      6 조봉암, "죽산 조봉암 전집 1" 세명서관 1-528, 1999

      7 이현주, "조봉암의 평화통일노선에 대한 검토" 한국근현대사학회 18 : 195-223, 2001

      8 이현주, "조봉암의 평화통일노선에 대한 검토" 한국근현대사학회 18 : 195-223쪽, 2001

      9 정태영, "조봉암과 진보당" 후마니타스 1-656, 2006

      10 서중석, "조봉암과 1950년대 (상)" 역사비평사 1-530, 1999

      1 김국태, "해방 3년과 미국" 돌베개 1-412, 1984

      2 "한국일보"

      3 김무진, "한국사의 길잡이" 혜안 1-508, 1995

      4 홍석률, "통일문제와 정치․사회적 갈등 : 1953~1961)" 서울대학교출판부 1-390, 2001

      5 안지홍, "진정민주주의론" 일한도서출판사 1949

      6 조봉암, "죽산 조봉암 전집 1" 세명서관 1-528, 1999

      7 이현주, "조봉암의 평화통일노선에 대한 검토" 한국근현대사학회 18 : 195-223, 2001

      8 이현주, "조봉암의 평화통일노선에 대한 검토" 한국근현대사학회 18 : 195-223쪽, 2001

      9 정태영, "조봉암과 진보당" 후마니타스 1-656, 2006

      10 서중석, "조봉암과 1950년대 (상)" 역사비평사 1-530, 1999

      11 윤상현, "조봉암(1899~1959)의 정치활동과 사회민주주의사상" 52 : 129-183, 2006

      12 도진순, "분단의 내일, 통일의 역사" 당대 1-364, 2001

      13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관계사료집 1" 1981

      14 이윤영, "백사 이윤영 회고록" 사초 1984

      15 조소앙, "나의 출마이유와 그리고 정견. in: 소앙선생 문집" 횃불사 1979

      16 안재홍, "기로에 나선 민족 성패. in: 민세 안재홍 선집 2" 지식산업사 1983

      17 도진순, "1946~48년 우익의 동향과 민족통일정부 수립운동" 서울대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9 1.22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