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멀티미디어 환경과 기독교교육의 대처방안 연구 = A Study on Multimedia Environment and the Countermeasures of Christian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32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ek some countermeasures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multimedia era that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in our everyday life. This study is being requested because typical multimedia devices such as internet and smart phone are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passing on all sorts of Information by means of hearing, seeing, and feeling. Multimedia environment promoted freedom from the limitations of space and time, a customized education suited to consumers, and participatory learning of various ages resulting in clos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The sharing and spread of information through multimedia boosted an egalitarian learning society.
      Idea, knowledge, and power that was exclusive to a few professionals in the past are extended to general civilian population. Nevertheless,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still tends to remain traditional ways of teaching and nurturing people without any striking improvements. These educational surroundings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bring about negative reactions and hostile feedbacks especially among children and youth.
      In this sense, this article explored how Christian Education can perform an active role in the multimedia era and suggested some alternatives by classifying into two areas in relation with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area and practical area. Due to the nature of multimedia, however, a distorted phenomenon that is caused by the illusion of unrealistic image and the excessive contact of information proposed as a follow-up task because they are required continuous and in-depth stud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ek some countermeasures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multimedia era that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in our everyday life. This study is being requested because typical multimedia devices such as internet and 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ek some countermeasures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multimedia era that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in our everyday life. This study is being requested because typical multimedia devices such as internet and smart phone are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passing on all sorts of Information by means of hearing, seeing, and feeling. Multimedia environment promoted freedom from the limitations of space and time, a customized education suited to consumers, and participatory learning of various ages resulting in clos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The sharing and spread of information through multimedia boosted an egalitarian learning society.
      Idea, knowledge, and power that was exclusive to a few professionals in the past are extended to general civilian population. Nevertheless,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still tends to remain traditional ways of teaching and nurturing people without any striking improvements. These educational surroundings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bring about negative reactions and hostile feedbacks especially among children and youth.
      In this sense, this article explored how Christian Education can perform an active role in the multimedia era and suggested some alternatives by classifying into two areas in relation with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area and practical area. Due to the nature of multimedia, however, a distorted phenomenon that is caused by the illusion of unrealistic image and the excessive contact of information proposed as a follow-up task because they are required continuous and in-depth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일상생활에 보편화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환경 속에서의 기독교교육의 역할과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연구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가 요청되는 것은 멀티미디어의 대표 기기인 인터넷과 스마트 폰 등에 의하여 전달되는 각종 정보들이 듣고, 보고,느낄 수 있도록 하여 생활 및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교육의 시ㆍ공간제한성으로 부터의 자유, 수요자 중심의 눈높이 맞춤형 교육, 다양한 연령층의 참여적 학습, 이로 인한 긴밀한 상호소통 등을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또한 멀티미디어의 정보의 공유와 확산으로 평등의식이 보편화되고 소수가 지배 및 소유하던 사상, 권력과 지식의 영향력이 일반 계층으로 확대되어 긴밀한 상호 의사소통으로 삶의 다양성이 대중적 생활양식으로 표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교육의 신앙교육 현장에서는여전히 개선 없는 전통적 신앙지도가 지속됨으로 인하여 이러한 상황과 환경에 적응하지못하거나 신앙교육의 동기가 부여되지 못하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부정적 반응을 보임으로 한국 기독교의 또 다른 위기 현상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시대 환경변화에 기독교교육이 능동적으로 수행해야할 역할과 이를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요인들을 전공 영역과 신앙교육 현장 영역으로 구분하여 그 대안점들을 모색해 보았다. 그러나 멀티미디어의 특성상 이미지 과잉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비현실적이고 상징적인 봄(seekng)의 허상과 정보 과잉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시대적 소음 현상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지속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요청되어 후속 과제로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일상생활에 보편화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환경 속에서의 기독교교육의 역할과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연구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가 요청되는 것은 멀티미디어의 대표 ...

      본 논문은 일상생활에 보편화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환경 속에서의 기독교교육의 역할과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연구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가 요청되는 것은 멀티미디어의 대표 기기인 인터넷과 스마트 폰 등에 의하여 전달되는 각종 정보들이 듣고, 보고,느낄 수 있도록 하여 생활 및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교육의 시ㆍ공간제한성으로 부터의 자유, 수요자 중심의 눈높이 맞춤형 교육, 다양한 연령층의 참여적 학습, 이로 인한 긴밀한 상호소통 등을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또한 멀티미디어의 정보의 공유와 확산으로 평등의식이 보편화되고 소수가 지배 및 소유하던 사상, 권력과 지식의 영향력이 일반 계층으로 확대되어 긴밀한 상호 의사소통으로 삶의 다양성이 대중적 생활양식으로 표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교육의 신앙교육 현장에서는여전히 개선 없는 전통적 신앙지도가 지속됨으로 인하여 이러한 상황과 환경에 적응하지못하거나 신앙교육의 동기가 부여되지 못하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부정적 반응을 보임으로 한국 기독교의 또 다른 위기 현상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시대 환경변화에 기독교교육이 능동적으로 수행해야할 역할과 이를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요인들을 전공 영역과 신앙교육 현장 영역으로 구분하여 그 대안점들을 모색해 보았다. 그러나 멀티미디어의 특성상 이미지 과잉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비현실적이고 상징적인 봄(seekng)의 허상과 정보 과잉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시대적 소음 현상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지속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요청되어 후속 과제로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석민, "한국사회 소통의 위기와 미디어" 나남출판사 2011

      2 박상진,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미래전망과 과제" 43 : 2011

      3 한미준, "한국교회 미래 리포트" 두란노 2005

      4 고용수, "하나님 나라와 교육목회" 장로회신학대학교 2009

      5 조성국, "주5일 근무제에 대한 교회교육의 대처방안, In 주5일 시대와 교육목회 전략"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원 55-62, 2007

      6 이원규, "종교사회학의 이해" 나남출판사 2003

      7 김희자, "정보화 사회와 기독교교육" 총신대학교출판부 1996

      8 이문식, "이문식의 문화읽기" 두란노 아카데미 2011

      9 남은경, "시각 이미지의 힘"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3

      10 홍삼열, "쇼셜 네트위크의 목회 적용기" 두란노 69 : 2011

      1 윤석민, "한국사회 소통의 위기와 미디어" 나남출판사 2011

      2 박상진,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미래전망과 과제" 43 : 2011

      3 한미준, "한국교회 미래 리포트" 두란노 2005

      4 고용수, "하나님 나라와 교육목회" 장로회신학대학교 2009

      5 조성국, "주5일 근무제에 대한 교회교육의 대처방안, In 주5일 시대와 교육목회 전략"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원 55-62, 2007

      6 이원규, "종교사회학의 이해" 나남출판사 2003

      7 김희자, "정보화 사회와 기독교교육" 총신대학교출판부 1996

      8 이문식, "이문식의 문화읽기" 두란노 아카데미 2011

      9 남은경, "시각 이미지의 힘"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3

      10 홍삼열, "쇼셜 네트위크의 목회 적용기" 두란노 69 : 2011

      11 김영순, "미디어와 문화교육" 한국문화사 2006

      12 김기태, "미디어교육의 이해와 활용"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

      13 이강형, "미디어 효과이론" 나남 출판 2010

      14 강준만, "미디어 문화와 사회" 일진사 2009

      15 데이비드 버킹엄, "미디어 교육-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Jinbook 2004

      16 문용성, "뉴미디어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21 : 2011

      17 박상진, "기독교학교교육론" 예영 커뮤니케이션 2006

      18 Onq, Walter J., "Transformation of the Word, in the Preseuce of the Word, Some Prolegomena for Cultural and Religious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1967

      19 Halsall, Fred, "Multimedia Communication. Addison-Wesley, In Introdution to Educational Technology(3rd.ed)" Sterling Publisher Pvt. Ltd 1990

      20 Sogaars, Viggo, "Media in Church and Mission Communicating the Gospel. Pasadena" William Carey Library 1993

      21 Devereux, Eoin, "Media Studies. Key Issues and Debates" Sage Publications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
      2014-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6-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87 1.10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