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브랜드 확장에 있어서 소비자의 모 브랜드 기억인출 및 구매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조정변수에 대한 연구 = (A)study of the impact of moderating variables on memory retrieval and purchase intention of parent brand in brand extens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93175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漢陽大學校,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漢陽大學校 大學院 , 經營學科 , 2007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26.162 판사항(4)

      • DDC

        658.827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121장: 삽화; 26 cm

      • 일반주기명

        권말에 "설문지" 수록
        참고문헌: 장 102-11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rand is an important concept in the consumer market. Especially brand extension has been treated as a key issue in the brand management field for scores of year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help brand managers when they are considering extending ...

      Brand is an important concept in the consumer market. Especially brand extension has been treated as a key issue in the brand management field for scores of year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help brand managers when they are considering extending an existing brand to a new product category.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brand managers or companies want to extend an existing brand to a new product category by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dominant brand and non-dominant brand extension.
      To obtain this purpose, this research focused on studying of the impact of moderating variables on parents brand memory retrieval and purchase intention in brand extensions. Especially focusing on main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dominance, involvement and product type, this research represents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on memory retrieval process and purchase intention.
      71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computerized RT(Respond Time) method has been used to test the hypothe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dat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rand extension itself helps the categorization of the parent brand. If the consumer experiences the brand extension, recall speed of the brand is faster than before the brand extension.
      Second, the dominance affects the categorization of the parent brand when it is extended. The non-dominant brand is easier to categorize than the dominant brand, which means that the non-dominant brand is less likely to fail when it is extended to another product category.
      Third, when the parent brand is extended, the involvement situation affects the categorization of the parent brand. In a high involvement situation, it is easier to categorize than in a low involvement situation.
      Finally, when the parent brand is extended, the involvement situation affects the dominance. The dominance effect weakens in a high involvement situation.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lthough the dominance affects the categorization of the parent brand, brand managers should consider other moderating variables altogether when they want to extend an existing brand to another new product categ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브랜드 자산과 이의 활용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브랜드 확장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됨에 따라, 브랜드 확장 시 영향을 미치는 조정변수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

      본 연구는 최근 브랜드 자산과 이의 활용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브랜드 확장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됨에 따라, 브랜드 확장 시 영향을 미치는 조정변수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동안 브랜드 확장에 대한 기존 연구는 모 브랜드와 브랜드 확장간의 관계에 있어 모 브랜드 자산이 강력하게 형성된 이후에 브랜드 확장 전략 차원에서 효과적인 브랜드 확장의 방향이나 모 브랜드 제품과 확장된 신제품과의 적합도 등에 많은 초점이 놓여져 있었고 브랜드 확장의 희석부분에 대한 연구도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브랜드의 확장이 모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고 그 변수들에 대한 관련성에 초점을 두고 그 영향관계를 분석 향후 전략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연구들이 단순히 브랜드 태도나 신념의 변화에 따른 브랜드 확장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의 인출과정에 초점을 둔 좀 더 객관적인 브랜드 확장의 평가의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브랜드 확장에 있어 매우 중시되는 조정변수인 지배력(Dominance), 지배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여상황, 그리고 상황에 따른 제품의 특성간의 관계와 이에 따른 인출속도 및 구매의향의 변화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실증분석은, 범주화 이론(Categorization Theory)에 근거한 소비자의 기억인출과정, 그리고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조정변수들의 관계에 대해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한 RT(Response Time) 측정기법을 도입하여 소비자의 반응속도를 통해 조정변수들의 관계를 측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기억 인출과정 및 구매의향에 영향을 주던 ‘지배력’이라는 조정변수가 ‘관여상황’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 관여상황의 영향력 또한 제품의 성격(Product Type)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특히 그 동안 매우 중요시 간주되던 지배력의 영향력이 관여상황이라는 변수에 따라 그 영향력이 무력해 진다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RT(Response Time) 측정을 통한 실증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이 논문에서 설정된 가설들이 지지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설 검증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 1의 모 브랜드의 확장 자체가 모 브랜드의 범주화(categorization)를 더 쉽게 이루게 해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단순노출 자체 만으로도 소비자의 회상속도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설 2에서 가정한 지배력의 경우(Dominance) 모 브랜드의 확장 시 모 브랜드의 범주화에 영향을 주는데, 확장의 경우 지배력이 없는 브랜드가 지배력이 있는 브랜드 보다 범주화가 더 쉬워질 것이라는 가설도 지지되고 있다. 가설 3-1의 모 브랜드 확장 시, 모 브랜드가 속한 카테고리에 대한 소비자의 관여상황에 따라 모 브랜드의 범주화가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가정도 지지되고 있으며, 가설 3-2에서 가정한 고관여 상황일수록 저관여 상황보다 모 브랜드의 범주화가 더 쉬워질 것이라는 가정도 지지되고 있다. 가설 4-1에서 가정한 모 브랜드의 확장 시, 카테고리에 대한 관여상황은 모 브랜드의 확장에 영향을 미치는 지배력에 영향을 주게 되며, 특히 고관여 상황일 때 저관여 상황에서 보다 모 브랜드에 영향을 주는 지배력의 영향이 감소될 것이라는 것도 지지되고 있다. 그러나 가설 4-2.에서 세운 상대적으로 지배력이 감소되는 고관여 상황의 경우에서도 이성 제품의 경우가 감성제품의 경우에서 보다 지배력의 영향력이 감소될 것이라는 가정은 기각되고 있다.
      그리고 가설 5에서 세운 현 시장에 존재하는 모 브랜드를 확장하면, 확장 그 자체가 모 브랜드에 대한 구매의향(purchase intention)을 더 쉽게 증대시킬 것이라는 가정도 지지되고 있다. 또한 모 브랜드의 지배력은 범주화에 영향을 주듯이 구매의향에도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지배력이 없는 브랜드의 경우가 구매의향이 더 쉽게 증대될 것이라는 가설 6도 지지되고 있다. 범주화와 마찬가지로 브랜드 확장 시 모 브랜드가 속한 카테고리에 대한 관여상황이 구매
      의향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고관여 상황일수록 구매의향이 상대적으로 더 쉽게 증대될 것이라는 가설 7-1도 지지되고 있으며, 또한 범주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브랜드 확장 시 고관여 이성제품의 경우에서 구매의향이 더 쉽게 증대될 것이라는 가설 7-2도 지지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단 가설 8-1에서 가정한 구매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지배력에 대한 관여도의 영향 정도는 범주화의 경우와 달리 저관여 상황에서 지배력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가설이 기각되고 있다. 반면 8-2에서 세운 고관여 상황에서, 고관여 이성제품일수록 감성제품보다 구매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모 브랜드의 지배력이 감소될 것이라는 가정은 지지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브랜드 확장에 있어서의 기존의 연구에서 명확히 규명되고 있지 않던 조정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기존에 명확히 수행되지 않았던 지배력 개념의 객관적 측정,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여상황, 제품의 특성 간의 관계 및 이에 따른 소비자의 기억인출 및 구매행동간의 영향 정도를 실증적으로 측정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이를 통해 앞으로 브랜드 확장에 있어서 기존의 확장의 성공 요건뿐만 아니라, 확장 시 모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및 이에 따른 마케팅 전략 개발에 좀 더 효율적인 의사결정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문제의 제기 =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 5
      • 제 3 절 연구의 범위 및 연구 방법 = 6
      • 제 4 절 연구의 구성 = 6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문제의 제기 =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 5
      • 제 3 절 연구의 범위 및 연구 방법 = 6
      • 제 4 절 연구의 구성 = 6
      • 제 5 절 연구의 유용성 = 7
      • 제 2 장 선행연구 고찰 = 9
      • 제 1 절 브랜드 확장에 대한 일반적 연구 = 9
      • 1. 브랜드 확장(Brand Extension)의 개념 = 9
      • 2. 브랜드 확장의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 = 10
      • 제 2 절 브랜드 연상 = 16
      • 1. 브랜드 인지 = 16
      • 2. 브랜드 태도 = 18
      • 3. 브랜드 이미지 = 20
      • 제 3 절 선행연구의 요약 및 문제 제기 = 22
      • 1. 브랜드 확장에 대한 선행연구 요약 = 22
      • 2. 선행연구에 대한 문제제기 = 24
      • 제 3 장 이론적 개념의 틀 = 27
      • 제 1 절 범주화 이론(Categorization Theory) = 27
      • 1. 범주화 이론과 브랜드 확장 = 27
      • 2. 기억-근거 접근 = 29
      • 제 2 절 조정 변수에 대한 이론적 고찰 = 30
      • 1. 지배력의 영향에 대한 선행 연구 = 30
      • 2. 관여도에 관한 선행 연구 = 34
      • 1) 관여도의 개념 = 34
      • 2) 브랜드 평가에 있어서의 관여도 = 36
      • 3) 조정변수로서의 관여도 = 37
      • 제 3 절 가설 설정 = 38
      • 1. 연구가설의 설정 = 38
      • 1) 가설 1에 대한 이론적 근거 = 38
      • 2) 가설 2에 대한 이론적 근거 = 39
      • 3) 가설 3,4에 대한 이론적 근거 = 40
      • 4) 가설 5에 대한 이론적 근거 = 43
      • 5) 가설 6에 대한 이론적 근거 = 44
      • 6) 가설 7,8에 대한 이론적 근거 = 44
      • 7) 전체 가설의 정리 = 47
      • 2. 연구 모형 = 49
      • 제 4 장 실증 연구 = 51
      • 제 1 절 측정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방법 = 51
      •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 51
      • 1) 브랜드 지배력 = 51
      • 2) 카테고리 관여도 = 51
      • 3) 범주화 속도 = 52
      • 4) 브랜드 구매의향 = 52
      • 2. 변수의 측정 = 52
      • 1) 브랜드 확장의 노출 = 53
      • 2) 브랜드 지배력의 측정 = 53
      • 3) 카테고리 관여도의 측정 = 53
      • 4) 범주화 속도의 측정 = 54
      • 5) 브랜드 구매의향 측정 = 54
      • 제 2 절 연구대상 브랜드와 카테고리의 선정을 위한 사전 실험 = 55
      • 1. 사전 실험의 개요 = 55
      • 1) 사전 실험대상자 및 기간 = 55
      • 2) 표본 구성 = 56
      • 2. 사전 실험에서의 측정 변수 = 56
      • 1) 관여도에 따른 카테고리 = 56
      • 2) 카테고리 내 브랜드 지배력에 따른 브랜드 = 57
      • 3) 모 브랜드의 카테고리 확장을 위한 확장 카테고리 = 58
      • 3. 사전 실험 결과 = 59
      • 1) 관여도에 따른 카테고리 선정 = 59
      • 2) 카테고리 내 브랜드 지배력에 따른 브랜드 선정 = 60
      • 3) 모 브랜드의 카테고리 확장을 위한 확장 카테고리 선정 = 61
      • 4) 사전 실험 결과를 통한 본 실험대상 카테고리 및 브랜드 선정 = 63
      • 제 3 절 본 연구에 대한 조사설계 및 자료의 수집 = 65
      • 1. 조사 방법 = 65
      • 1) 조사 대상 = 65
      • 2) 표본 구성 = 65
      • 3) 실험 방법 = 66
      • 4) 실험 장소 = 69
      • 제 4 절 가설 검증 = 70
      • 제 5 절 토의 = 91
      • 제 5 장 결론 = 93
      • 제 1 절 본 논문의 요약 및 결론 = 93
      • 제 2 절 결과의 마케팅적 의의 = 98
      • 제 3 절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 100
      • 참고문헌 = 102
      • Abstract = 111
      • 설문지 = 11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Ries, Al, "Bottom-up marketing", McGraw-Hill, 1989

      2 P.H.Farquhar, "Managing Brand Equity", 1989

      3 Keller, Kevin Lane, "Branding and brand equity", Marketing Science Institute, 2002

      4 홍성태, "소비자 심리의 이해", 나남, 1997

      5 Kassarjian, "Low involvement:asecond look", 1981

      6 Anderson, John R, "The architecture of cogn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3

      7 Zzichowsky,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1985

      8 Medin, "Categorization and Concept Formation", 1984

      9 Cohen, "Involvement and You: 1000 Great ideas", 1983

      10 David A.Aaker, Robert Jacobson, "The Strategic Role of Product Quality", 1987

      1 Ries, Al, "Bottom-up marketing", McGraw-Hill, 1989

      2 P.H.Farquhar, "Managing Brand Equity", 1989

      3 Keller, Kevin Lane, "Branding and brand equity", Marketing Science Institute, 2002

      4 홍성태, "소비자 심리의 이해", 나남, 1997

      5 Kassarjian, "Low involvement:asecond look", 1981

      6 Anderson, John R, "The architecture of cogn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3

      7 Zzichowsky,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1985

      8 Medin, "Categorization and Concept Formation", 1984

      9 Cohen, "Involvement and You: 1000 Great ideas", 1983

      10 David A.Aaker, Robert Jacobson, "The Strategic Role of Product Quality", 1987

      11 Ries, Al, "Positioning : the battle for your mind", McGraw-Hill, 1986

      12 Aaker, "ConsumerEvaluations of Brand Extensions", Consumer Evaluations of Brand Extensions, 1990

      13 Park, Maclnnis, Jaworski, "Strategic brand concept-image management", 1986

      14 Alba, Amitava Chattopadhyay, Howard Marmorstein, "Howard Marmorstein, and Amitava Chattopadhyay", "Howard Marmorstein, 1992

      15 Leavitt, Greenwald, "Audience Involvement in Advertising: Fourlevels“", 1984

      16 Alice Tybout, Myers-Levy, "Schema congruity as a basis for product evaluation", 1989

      17 Bush, "A Process-Tracing Study of Brand Extension Evaluation", 1991

      18 Wright, "Factors Affecting Cognitive Resistance to Advertising", 1975

      19 안광호, 하영원, 이학신, "소비자 행동 ? 마케팅 전략적 접근 제3판", 2002

      20 안광호, 한상만, 전성률, "전략적 브랜드 관리 - 이론과 응용 제2판", 2003

      21 Herr, P.H.Farquhar, R.H.Fazio, "Impact of Dominance and Relatedness on Brand Extension", 1996

      22 Mittal, Yoon, "ATheoryofInvolvementinConsumerBehavior:ProblemsandIssues", 2002

      23 McGuire, "Psychological Motives and Communication Gratification“", 1974

      24 Fiske, "Schema-Triggered Affect: Applications to Social Perception", 1982

      25 Smith, Klink, "Threats to the External Validity ofBrand Extension Research", 2001

      26 Bettman, "An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of Consumer Choice, Read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of Consumer Choice, 1979

      27 Na, "Brand power revisited: measuring brand equity in cyber-space", 2005

      28 Tauber.E.M, "Brand Leverage : Strategy for Growth in a CostControlled World", 1988

      29 Reddy, Susan L.Holak, "To Extend or Not to Extend Success Determinants of Line Extensions", 1994

      30 John, Christopher Joiner, "The Negative Impact of Extensions: Can Flagship Products Be Deluted?", 1998

      31 Loken, John, "Diluting Brand Beliefs. when Do Brand Extensions Have a Negative Impact?", 1993

      32 Michael T.Ewing, Peter W.Reed, "How Advertising Works: Alternative Situational and attitudinal explanation", 2004

      33 Smith, "Brand Extension and Advertising Efficiency: What Can and Cannot Be Expected", 1992

      34 Lutz, "A Functional Theory Framework for Designing and Pre-testing Advertising Themes", 1979

      35 Holbrook,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1982

      36 Smith, C.Whan Park,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Shared Brand Names on Marketing Costs and Sales", 1990

      37 Harish Sujan, Susan, "Effects of Consumer Expectations on Information Processing in Selling Encounters", 1986

      38 Mitchell, "Are Product Attribute Beliefs the Only Mediator of Advertising on Brand Attitudes", 1981

      39 Susan, "Consumer Knowledge: Effects on Evaluation Strategies Mediating Consumer Judgments", 1985

      40 Ajzen, Fishbei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Belief, 1975

      41 Morrin, "The Impact of Brand Extensions on Parent BrandMemory Structures and Retrieval Processes", 1999

      42 Nedungad, "Recalland ConsumerConsideration Sets:InfluencingChoice withoutAltering Brand Evaluations", 1990

      43 Dacin, Daniel C.Smith, "The Effect of Brand Portfolio Characteristics on Consumer Evaluations of Brand Extension", 1994

      44 Cohen, "The Role of Affect in Categorizations: Towards a Re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Attitude", 1982

      45 Petty,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1983

      46 D.Schumann, John T.Caccioppo, Petty, "Issue Involvement as a Moderator of the Effects on Attitude of Advertising Content and Contest", 1981

      47 양윤주, "브랜드 확장 시 브랜드 희석효과를 조절하는 변수들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마케팅연구, 2003

      48 Robert Lawson, Park C.W, "Evaluation of BrandExtension: The Role of Product Feature Similarity and BrandConcept Consistency", 1985

      49 Fiske, "Category-Based Versus Piecemeal-Based Affective Responses: Developments in Schema-Triggered Affect", 1986

      50 Young, Park, "Consumerresponsetotelevisioncommercials:Theimpactofinvolvementandbackgroundmusiconbrandattitudeformation", 1986

      51 김기석, 최인혁, 박주영,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 및 관여유형이 일치/불일치 확장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 및 관여유형이 일치, 2005

      52 C.Whan Park, Michael S.McCarthy, Millberg, "Managing negative feedback effects associated with brand extensions: the impact of alternative branding strategies",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