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언어문화교육에서의사회적 상호작용 고찰 - 참여자 인식과 대인 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55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어 수업을 의사소통의 관계적 목적에서 고찰한 것이다. 실제 수업 장면을 관찰하여 학습자가 교실 안에서 경험할 사회적 의사소통을 살폈는데, 이를 참여자 인식과 대인 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이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우선, 실 수업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에 대한 청자로서의 인식이 있었다. 청자에 대한 개인적 관련성, 청자 요구, 사전지식, 지적 수준을 고려하여 학습자와 사회적 의사소통을 수행하고 있었다. 교수자 대부분은 청자와의 개인적 관련성에 관심이 컸으나 청자의 기존 입장에 대해서는 무관심하였다. 한편 교수자는 학습자에 대한 화자 인식이 약하였다. 학습 목표로 화자의 발화 목적을 구체적으로 설정하지 않았음은 물론, 담화 유형도 분명히 하지 않았다. 언어 교실에서 교수자가 학습자를 청자로서, 화자로서 명확히 인식한다면, 교실 수업뿐만이 아닌 학습자의 실제 사회적 상호작용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다음으로, 대인 관계 형성을 위한 자아노출이 한국어 수업에서 활용되는 양상을 살핀 결과, 한국어 수업에서 자아노출이 계획 하에 쓰이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습자 개인의 사적 정보와 기호, 의견, 믿음과 판단에 이르기까지 수업 진행을 위해 임의적으로 쓰이고 있었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 언어문화에 대한 왜곡을 부르고, 그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잠재적 학습으로 강화될 수 있어 부적절하다고 본다. 한편 학습자의 자아개념에 대한 사례는 많지 않았으나, 주로 그것이 학생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는 사례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해 수업 협력자로서의 역할이 학습자에게 강화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주장하고, 이러한 방향의 언어 사용이 적절함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어 수업을 의사소통의 관계적 목적에서 고찰한 것이다. 실제 수업 장면을 관찰하여 학습자가 교실 안에서 경험할 사회적 의사소통을 살폈는데, 이를 참여자 인식과 대인 관계 형...

      본고는 한국어 수업을 의사소통의 관계적 목적에서 고찰한 것이다. 실제 수업 장면을 관찰하여 학습자가 교실 안에서 경험할 사회적 의사소통을 살폈는데, 이를 참여자 인식과 대인 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이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우선, 실 수업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에 대한 청자로서의 인식이 있었다. 청자에 대한 개인적 관련성, 청자 요구, 사전지식, 지적 수준을 고려하여 학습자와 사회적 의사소통을 수행하고 있었다. 교수자 대부분은 청자와의 개인적 관련성에 관심이 컸으나 청자의 기존 입장에 대해서는 무관심하였다. 한편 교수자는 학습자에 대한 화자 인식이 약하였다. 학습 목표로 화자의 발화 목적을 구체적으로 설정하지 않았음은 물론, 담화 유형도 분명히 하지 않았다. 언어 교실에서 교수자가 학습자를 청자로서, 화자로서 명확히 인식한다면, 교실 수업뿐만이 아닌 학습자의 실제 사회적 상호작용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다음으로, 대인 관계 형성을 위한 자아노출이 한국어 수업에서 활용되는 양상을 살핀 결과, 한국어 수업에서 자아노출이 계획 하에 쓰이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습자 개인의 사적 정보와 기호, 의견, 믿음과 판단에 이르기까지 수업 진행을 위해 임의적으로 쓰이고 있었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 언어문화에 대한 왜곡을 부르고, 그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잠재적 학습으로 강화될 수 있어 부적절하다고 본다. 한편 학습자의 자아개념에 대한 사례는 많지 않았으나, 주로 그것이 학생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는 사례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해 수업 협력자로서의 역할이 학습자에게 강화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주장하고, 이러한 방향의 언어 사용이 적절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rk is investigated on korean leanguage course in the relational purpose of communication. I have seen the aspect reflected on the social communication of leaners in class and discussed it focused on the awareness of participant and the formation of personal relations. Finally I can get some information as below. First, a teacher recognizes learners as listeners and mostly have much concern on the personal relation to listeners and schema. However, they disintersted on the original situation of listeners. Further, a teaching person was not strong to recognize the leaners as leanguage speakers and this affects on the actual condition of interaction in class. Additionally, this study was examined with the recognition of the relation of listeners -speakers in leaners-teacher and leaner-leaner.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 and leaners determines the polite and the way of speaking as power and solidarity. Finall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eacher approaches randomly for the self-disclosure and the self-conception of leaners.
      번역하기

      This work is investigated on korean leanguage course in the relational purpose of communication. I have seen the aspect reflected on the social communication of leaners in class and discussed it focused on the awareness of participant and the formatio...

      This work is investigated on korean leanguage course in the relational purpose of communication. I have seen the aspect reflected on the social communication of leaners in class and discussed it focused on the awareness of participant and the formation of personal relations. Finally I can get some information as below. First, a teacher recognizes learners as listeners and mostly have much concern on the personal relation to listeners and schema. However, they disintersted on the original situation of listeners. Further, a teaching person was not strong to recognize the leaners as leanguage speakers and this affects on the actual condition of interaction in class. Additionally, this study was examined with the recognition of the relation of listeners -speakers in leaners-teacher and leaner-leaner.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 and leaners determines the polite and the way of speaking as power and solidarity. Finall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eacher approaches randomly for the self-disclosure and the self-conception of lean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언어의 관계적 목적에서 본 한국어교육
      • 2.1. 한국어교육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의의
      • 2.2. 교실 언어문화와 학습자 언어 수행의 관계
      • Abstract
      • 1. 서론
      • 2. 언어의 관계적 목적에서 본 한국어교육
      • 2.1. 한국어교육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의의
      • 2.2. 교실 언어문화와 학습자 언어 수행의 관계
      • 3.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본 한국어 수업의 실제
      • 3.1. 참여자로서의 인식 측면
      • 3.2. 대인 관계 형성 측면
      • 4.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