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물복지의 동향과 인증제도의 정착을 위한 방안 모색(총설)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18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arm animal welfare means how a farm animal is living with the proper conditions. In modern society, farm animal welfare is essentia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humane production of livestock. The initial concept of animal welfare was started fr...

      Farm animal welfare means how a farm animal is living with the proper conditions. In modern society, farm animal welfare is essentia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humane production of livestock. The initial concept of animal welfare was started from England based on five freedoms, and the animal welfare guideline of OIE (Office International des Epizooties) had become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animal welfare. OIE’s guideline dealing with transportation, disease prevention and appropriate veterinary treatment, shelter, management and nutrition, humane handling and humane slaughter of farm animal. For the settlement of farm animal welfa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tandards considering domestic situation, based on the guidelines of OIE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firstly, evaluate global status of farm animal welfare and secondly, suggest several plans for settlement of farm animal welfare in South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동물복지의 국제 현황
      • 1. 영국의 동물복지
      • 2. 국제수역사무국(Office International des Epizooties, OIE)
      • ABSTRACT
      • Ⅰ. 서론
      • Ⅱ. 동물복지의 국제 현황
      • 1. 영국의 동물복지
      • 2. 국제수역사무국(Office International des Epizooties, OIE)
      • 3. EU
      • 4. 미국
      • 5. 호주
      • 6. 일본
      • 7. 한국
      • Ⅲ. 농장동물복지 인증제도의 정착을 위한 방안
      • 1. 국제 표준을 적용한 동물복지 인증기준의 도입
      • 2. 동물복지 인증제도와 기존 인증제도와의 조화 및 정책적인 지원의 필요성
      • 3. 동물복지형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전환의 필요성
      • 4. 동물복지를 통한 축산물의 품질향상 관련 연구의 필요성
      • Ⅳ. 요약
      • Ⅴ.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