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세계 12개국의 주요 사범대학들이 회원으로 참여하는 ‘세계선도사범대학회의(International Alliance for Leading Education Institute: IALEI)’에서 수행한 공동연구의 일부분이다. 지속가능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89415
2009
-
370.5
학술저널
65-98(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세계 12개국의 주요 사범대학들이 회원으로 참여하는 ‘세계선도사범대학회의(International Alliance for Leading Education Institute: IALEI)’에서 수행한 공동연구의 일부분이다. 지속가능발...
이 논문은 세계 12개국의 주요 사범대학들이 회원으로 참여하는 ‘세계선도사범대학회의(International Alliance for Leading Education Institute: IALEI)’에서 수행한 공동연구의 일부분이다. 지속가능발전과 기후변화와 관련한 교육계의 현황과 쟁점을 논의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된 연구에서 각 회원국은 자국에서 발행된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정책 문서나 연구문헌 등을 바탕으로 국가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중심으로 논의하면서 기후변화교육을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틀 안에서 포함하였고, 연구의 범위에 있어 기본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관련한 학교교육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진행된 이 논문은 크게 다섯 주제 영역으로 구성된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 및 정체성,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기후변화교육의 관계, 지속가능발전교육과 학교 교육과정,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육 실천방식. 이 논문은 이러한 주제 영역에 대한 문헌 분석과 함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연구자들의 해석을 포함하고, 국제비교연구를 바탕으로 제시된 지속가능발전과 기후변화교육을 위한 제언을 소개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PISA 2003에서 한국과 호주의 학생들이 나타낸 수학 성취도의 성차 분석
농업경영정보화 전문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