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사론"의 개념과 역사 고찰 = A study on the concept and history of "narrative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803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서사’와 ‘서사론’에 관한 개념범주들을 고찰하고 이와 관련한 ‘서사론’의 역사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프린스에 의하면, ‘서사론’의 개념은, ‘서사론’을 ‘내러톨...

      이 글은 ‘서사’와 ‘서사론’에 관한 개념범주들을 고찰하고 이와 관련한 ‘서사론’의 역사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프린스에 의하면, ‘서사론’의 개념은, ‘서사론’을 ‘내러톨로지’로서 처음 명명한 토도로프의 구조주의적 관점, ‘서술론’을 ‘소설의 분석’과 관련하여 정밀, 체계화한 주네뜨계열 이론가의 관점, 그리고 최근 서사론자들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서사연구를 확장시키는 동향에 부합한 발(Bal)적 관점에서 범주화된다. 한편 코블리의 ‘서사론’의 개념은 프린스가 정의내린 것과 비교할 때 서사론의 텍스트를 ‘소설’, ‘신화’, ‘설화’ 등에 한정짓지 않은 포괄적인 것으로서 규정하고서, 1960년대 이후 번성한 구조주의적 서사론을 서사론의 특정 범주로서 다루고 있다. 서사론의 개념범주에 관한 이같은 입장 차이들은 서사론의 역사기술에 있어서도 반영되고 있다. 즉 서사론의 역사에 관해서 구조주의적 서사론을 중심으로 정리하면서 주네뜨, 슈탄젤 등의 이후를 서사론의 쇠퇴기로 보는 입장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구조주의 중심의 서사론이 구조와 형식에 치우친 측면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서사론의 범주를 확장한 ‘서사 전환’, 즉 현재의 융복합적 접근방식의 서사론을 중심에 두는 입장이 있다. 전자의 서사론의 역사를 정리한 기술로는, 후스터레이, 허만의 것을 들 수 있으며 후자의 것으로는 코블리, 플루더닉의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기존 서사론의 역사기술에서 역사주의적 관점이 결여된 점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맥헤일의 서사론의 역사 논의를 들 수 있다. 최근, 서사론의 개념들과 서사론의 역사기술들의 전개양상을 살펴볼 때 서사론의 서사 개념은 말로 된 것과 글로 된 것을 아우르고 있으며 소설중심의 허구적 서사를 넘어서서 논픽션, 법, 정신분석, 영화, 음악, 미디어 등 출현했거나 출현 가능한 서사들을 그 대상으로 삼고 있다. 서사론의 역사는 ‘서사’가 무엇을 의미하느냐를 너머, 누구를 위한 것이며 또한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와 관련하여 광범위한 영역으로까지 전개되어왔다. 즉 ‘서사론’의 분야와 연구방향도 ‘소설론’으로서의 내러톨로지(Narratology)로부터 포괄적 영역의 서사들을 아우르는 서사이론(Narrative Theory)으로 심화, 확장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narrative’, ‘narrative theory’ and the history of ‘narrative theory’. The concept of Prince`s ‘narrative theory’ can be explained by the arguments of Todorov who mentioned ‘narratology’ for the f...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narrative’, ‘narrative theory’ and the history of ‘narrative theory’. The concept of Prince`s ‘narrative theory’ can be explained by the arguments of Todorov who mentioned ‘narratology’ for the first time at the point of structural view, the arguments of Genette who systematized ‘narrative theory’ on the ‘analysis of novel’ at the point of a theorist, and Bal`s arguments, which accord with the trend of diverse and widening studies on ‘narrative theory’ by recent narrative theorists. Meanwhile, compared with Prince`s definition, Cobley defines comprehensively the text of ‘narrative theory’ as novels, myths and tales. He argued ‘narrative theory’ at the point of structuralism boomed after 1960s. These gaps of stance on the concept and category of ‘narrative theory’ can be found at the historiography of ‘narrative theory``. In other words, organizing the history of ‘narrative theory’ at the point of structuralism, the period after Stanzel is regarded as a decline phas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argument, the ‘narrative turn’, which extends the category of ‘Narrative theory’ and criticizes ‘Narrative theory’ focused on structuralism is biased to structures and forms. Arguments based on the ‘narrative turn’ is relevant to current’s ‘narrative theory’ that sets a high value on convergent and integrative approaches. Hoesterey and Herman arranged the history of ‘narrative theory’, which is argued at the point of structuralism. Cobley and Fludernik arranged the history of ‘narrative theory’, which is argued at the perspective of the ‘narrative turn’. There is also McHale`s argument that criticizes the absence of Historicism on the description of narrative theory’s history. Examining recent concepts of ‘narrative theory’ and developments of the description on the history of ‘narrative theory’, the concept of narrative on the ‘narrative theory’ encompasses all objects whether it is verbal or written. In addition, It encompasses nonfiction, law, psycho-analysis, cinema, music, media, exceeding the fictional narrative focused on novels. The history of ‘narrative theory’ has developed to extensive fields, from the concept of what is ``narrative`` to the concept that for whom it is and what influence it have. Namely, The field of ‘narrative theory’ and study of that also extends from narratology as a ``novel theory`` to ‘narrative theory’ that encompasses comprehensive fields of narrativ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제랄드 프랭스, "서사학이란 무엇인가" 예림기획 1999

      2 임병권, "서사문학의 본질" 예림기획 2007

      3 Lanser, S, "보는 이의 “나”: 애매모호한 결합과 구조주의 서술론의 한계" 은행나무 (겨울) : 2013

      4 Phelan, J., "Understanding Narrative"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994

      5 Cohn, D., "The Encirclement of Narrative: On Franz Stanzel's Theorie des Erzählens" 2 (2): 157-182, 1981

      6 Cohn, D., "The Distinction of Fic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8-19, 1999

      7 Fludernik, M, "The Diachronization of Narratology" 11 (11): 331-348, 2003

      8 Lubbock, P., "The Craft of Fiction" Jonathan Cape 1921

      9 Chambers, R, "Story and Situation: Narrative Seduction and the Power of Fic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4

      10 Chatman, S, "Story and Discourse :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Cornell University Press 1978

      1 제랄드 프랭스, "서사학이란 무엇인가" 예림기획 1999

      2 임병권, "서사문학의 본질" 예림기획 2007

      3 Lanser, S, "보는 이의 “나”: 애매모호한 결합과 구조주의 서술론의 한계" 은행나무 (겨울) : 2013

      4 Phelan, J., "Understanding Narrative"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994

      5 Cohn, D., "The Encirclement of Narrative: On Franz Stanzel's Theorie des Erzählens" 2 (2): 157-182, 1981

      6 Cohn, D., "The Distinction of Fic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8-19, 1999

      7 Fludernik, M, "The Diachronization of Narratology" 11 (11): 331-348, 2003

      8 Lubbock, P., "The Craft of Fiction" Jonathan Cape 1921

      9 Chambers, R, "Story and Situation: Narrative Seduction and the Power of Fic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4

      10 Chatman, S, "Story and Discourse :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Cornell University Press 1978

      11 Schafer, R., "Retelling a Life: Narration and Dialogue in Psychoanalysis" Basic Books 1992

      12 Doležel, L, "Possible Worlds of Fiction and History" 29 : 785-810, 1998

      13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4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5 Hoesterey, Ingeborg, "Neverending Stories: Towards a Critical Narratolog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4, 1992

      16 Pince, G., "Narratology : The Form and Functioning of Narrative" Mouton 1982

      17 Herman, D., "Narratologies: New Perspectives on Narrative Analysis. Theory and Interpretation of Narrative Series"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999

      18 Cobley, P, "Narrative: The New Critical Idiom" Routledge 236-237, 2001

      19 Fludernik, M, "Narrative Theory" Blackwell 36-59, 2005

      20 Robyn R. Wahol, "Narrative Theory" Blackwell 2005

      21 Phelan, J., "Narrative Theory" 1-16, 2005

      22 Rimmon-Kenan, S., "Narrative Fiction: Contemporary Poetics" Routledge 2002

      23 Genette, G., "Narrative Discourse: An Essay in Method" Cornell University Press 68-79, 1980

      24 White, H., "Metahistory: The Historical Imagination in Nineteenth-Century Europ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3

      25 Eagleton, T, "Marxist Literary Theory: A Reader" Blackwell 1996

      26 Jack C, Richards, "Longman Dictionary of Language Teaching & Applied linguistics" Pearson Education 2010

      27 "Longman Dictionary of Language Teaching & Applied linguistics" Pearson Education 2010

      28 "Longman Advanced American Dictionary" Pearson Education 2007

      29 Herman, David, "Histories of Narrative Theory(I): A Genealogy of Early Developments, Narrative Theory" Blackwell 19-35, 2005

      30 Nünning, A, "Grenzüberschreitungen: Narratologie im Kontext/ Transcending Boundaries: Narratology in Context" Narr 1999

      31 McHale, B, "Ghosts and Monsters: On the (Im)Possibility of Narrating the History of Narrative Theory" Blackwell 60-71, 2005

      32 McHale, B, "Free Indirect Discourse: A Survey of Recent Accounts" 3 : 249-287, 1978

      33 Pince, G, "Dictionary of Narratology"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56-, 2003

      34 Rabinowitz, P. J., "Authorizing Readers: Resistance and Respct in the Teaching of Literature" Teachers College Press 1998

      35 Stanzel, F. K, "A Theory of Narra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36 Booth, W. C., "A Rhetoric of Fi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1

      37 헤이든 화이트, "19세기 유럽의 역사적 상상력-메타 역사" 문학과지성사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3 0.62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