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실과교과의 기술영역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 대상의 로봇 활용 교육 과정안 개발 = Developments of Education Program for Technology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Using by Robot Craft Class for Preliminary-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56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d of this paper is developing an efficient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based on robot craft class. A humanoid-type robot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using the concepts of engineering processes...

      The purposed of this paper is developing an efficient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based on robot craft class. A humanoid-type robot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using the concepts of engineering processes, bill of materials(BOM) table and tree, free-hand sketch technique and problem solving methods.Proposed education program was successful at getting undergraduate students to participate in robot design, craft and problem solving activities.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oposed robotics education program make it possible to teach preliminary-teachers the design and mechatronics techn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로 공작 수업을 기반으로 하여 실과 교과의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제안하였다. 특히 인간 형태의 2족 보행 로봇을 만드는 과정에서 스케치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로 공작 수업을 기반으로 하여 실과 교과의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제안하였다. 특히 인간 형태의 2족 보행 로봇을 만드는 과정에서 스케치 기법과 BOM의 개념을 이용하여 만들는 공학적 프로세스를 이용하였다.본 교육 과정을 적용한 예비 교사들은 로봇의 설계, 제작, 평가 과정을 통하여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로봇을 제작하는 활동에 모두 참여하였으며, 제안된 교육 과정에 의해 대상 예비 교사들에게 로봇의 원하는 동작을 위한 기계, 전기적 메카니즘을 학습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PL EDUCATION GATEWAY,

      2 WIKIPEDIA,

      3 강종표, "초등학교에서의 제도교육 효율화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및 모형 개발" 18 (18): 102-223, 2005

      4 강종표, "초등학교에서의 로봇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97-113, 2003

      5 김용익, "초등학교 학생들의 기술적 교양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중심학습 모형 구안" 한국실과교육학회 20 (20): 165-186, 2007

      6 김동연, "초등학교 저학년과 미취학 아동을 위한 로봇활용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20 (20): 237-255, 2007

      7 김용익, "초등생활기술" 교육과학사 2002

      8 김용익, "초등교사 교육을 위한 실과교육 프로그램 개발" 695-820, 2004

      9 장수웅,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체험활동 중심 웹 기반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19 (19): 143-162, 2006

      10 박광렬, "예비교사를 위한 창작 로봇 활용한 기술 교육 사례" 한국실과교육학회 2007

      1 JPL EDUCATION GATEWAY,

      2 WIKIPEDIA,

      3 강종표, "초등학교에서의 제도교육 효율화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및 모형 개발" 18 (18): 102-223, 2005

      4 강종표, "초등학교에서의 로봇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97-113, 2003

      5 김용익, "초등학교 학생들의 기술적 교양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중심학습 모형 구안" 한국실과교육학회 20 (20): 165-186, 2007

      6 김동연, "초등학교 저학년과 미취학 아동을 위한 로봇활용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20 (20): 237-255, 2007

      7 김용익, "초등생활기술" 교육과학사 2002

      8 김용익, "초등교사 교육을 위한 실과교육 프로그램 개발" 695-820, 2004

      9 장수웅,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체험활동 중심 웹 기반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19 (19): 143-162, 2006

      10 박광렬, "예비교사를 위한 창작 로봇 활용한 기술 교육 사례" 한국실과교육학회 2007

      11 박광렬, "손놀림과 논리 사고력 학습이 포함된 초등학교의 로봇 교육 도구의 개발에 관한 연구" 18 (18): 15-27, 2005

      12 이좌택, "문제기반 학습에 터한 로봇 제어 프로그래밍 수업이 중학생의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 2002

      13 최유현, "로봇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75-90, 2003

      14 김성민, "다관절 팔을 이용한 교육용로봇의 개발과 적용방안" 18 (18): 129-150, 2005

      15 유영길, "다관절 팔을 이용한 교육용로봇의 개발과 적용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4-4, 2005

      16 이춘식, "기술교육 수업에서의 프로젝트 학습의 절차" 교육과학연구학회 36 (36): 231-252, 2007

      17 오인경,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법론" 학지사 2005

      18 Jerry B. Weinberg, "The Impact of Robot Projects on Girl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Engineering" 2007

      19 Joel D. Weingraten, "Robotics as the Delivery Vehicle:A Contexualized, social, selg paced, engineering education for life-long learners" 2007

      20 이철수, "CAD/CAM 형상모델링에서 NC가공까지" 터보테크출판부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7 1.367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