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아수학교육, 권영례, 어가, 서울: 정민사, , 2017
2. 유아수학교육, 이정욱, 정민사, 서울: 정민사, , 2006
3. 유아수학교육, 김숙령, 학지사, 서울: 학지사, , 2000
4. 유아수학교육, 유준호, 교육아카데미,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2014
5. 수학의 오솔길, 이정례, 경문사, 서울: 경문사, , 2007
6. 유아 수학교육, 황의명, 정민사, 서울: 창지사, , 2009
7. 초등수학교육론, 강완, 경문사, 서울: 경문사, , 2009
8. 수학교육학신 론, 황혜정, 문음사, 서울: 문 음사, , 2007
9. 「창의성의 발견」, 최인수, 서울: 쌤앤파커스, , 2011
10.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부, 서울: 교육부, , 2015
11. 개정 유아 수학교육, 한유미, 서울: 창지사, , 2013
12. 생명을 살리는 수학, 배종수, 서울: 김영사, , 2002
13. 문제발견연구의 탐색, 하주연,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9(4) , 917-932, , 2005
14.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 김성재, 현문사, 서울: 현문사, , 2000
15.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하종덕, 문정화, 서울: 학지사, , 2005
16. 유아그림수학능력 검사, 황해익, 양서원, 경기: 양서원, , 2007
17. 아동중심 유아 수학활동, 권영례, 서울: 양서원, , 1998
18. 영유아를 위한 수학교육, 홍혜경, 공동체, 서울: 공동체, , 2010
19. 지능과 창의성의 프레임, 김경은, 고운정, 김기명, 김소연, 홍종선, 최인혁, 이신동, 양서원, 서울: 양 서원, , 2015
20. 『구성주의와 교과교육』, 김판수, 학지사, 서울: 학지사, , 2003
21. 유아수학교육 이론과 실제, 나귀옥, 학지사, 서울: 학지사, , 2004
22. 이제는 창의인성 교육이다, 문용린, 한국과학창의재단 칼럼, , 2010
23. 창의성을 키우는 자녀교육, 김재은, 서울: 한국지역사회교육중앙협의회, , 1994
24. 유아 수학능력 발달과 교육, 홍혜경, 양서원, 서울: 양서원, , 2004
25. 창의성 교육 그 이론과 실제, 김춘일, 서울: 교육과학사, , 1999
26. 창의적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김상수, 김영천, 서울: 청람, , 2011
27. 유아 수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신은수, 진명희, 홍혜경, 이경우, 서울: 창지 사, , 1997
28. 유아용 창의적 특성검사 요강, 전경원, 서울: 학지사, , 2003
29. 영유아교육 아동 수,과학 지도, 이봉자, 문연심, 장혜순, 서울: 형설출판사, , 2006
30.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발표, 교육부, http://www.moe.go.kr에서 2016 년 12월 6일 인출, , 2016
31. 영유아 수학교육의 방향과 과제, 홍혜경, 유아교육학논집, 14(4 ), 29-51, , 2010
32. 유아를 위한 수학교육 활동자료,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 서울: 교육인적자 원부, , 2005
33. 창의적 문제해결의 교육적 이해, 박병기,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5(1) , 49-81, , 2000
34. 유아교사를 위한 논리,창의 교육, 엄은나, 지성애, 홍찬의, 김현주, 한진원, 김민정, 조형숙, 박찬옥, 서동미, 곽현주, 정민사, 경기: 정민사, , 2010
35. 사회적 구성주의 수학교육론 연구, 유연주, 서울大學校 師範大學 科學敎育硏究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 1999
36. 유아의 창의적 특성과 교육적 시사, 최인수,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 8(2) , 103-129, , 2001
37. John Dewey의 지성 개념과 창의성 교육, 박영근, 천정미, 한국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 , 189-204, , 2002
38. 수학교육에서 창의성 연구에 대하여, 김부윤,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이론과 실천, 10(2) , 399-411, , 2000
39. CPS 창의 프로그램과 창의적 문제해결, 김영채, 유원북스, 서울: 유원북스, , 2014
40. 수교육 교수 접근법에 따른 효과 연구, 김미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95
41.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 전문가 지침서, 전경원, 서울: 인싸이트, , 2014
42. 유치원 교사의 수학적 교수 전략 분석, 이금구, 이정욱, 덕성여자대학교, 덕성여대논문집, 38 , 49-68, , 2009
43.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교육의 실제, 남기원, 한국유아교육학회,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 대회논문집, 2014(2) , 43-71, , 2014
44. 누리과정과 효과적인 수학 교육의 방향, 이정욱, 한국유아교육학회, 서울: 중앙대학교.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년 워크숍 자료집 , 9-26, , 2014
45.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영유아 수학교육, 문연심, 양서원, 경기: 양서원, , 2009
46.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유아 창의성 교육, 전경원, 정민사, 경기: 정민사, , 2012
47. 인공지능시대와 지식전수형교육의 종말, 박형주, 한국육아지원학회,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년 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1-14. 전북: 원광대학교., , 2017
48.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최형숙,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 2008
49. 유아의 수세기 능력과 수세기에 대한 인식, 윤은미, 문주형, 서동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 육학논집, 9(2) , 168-198, , 2005
50. 유치원 교사의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서현아, 배지미,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 회지, 11(1) , 115-146, , 2004
51. 수학 영재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방향 모색, 한인기, 신현용, 韓國敎員大學校 數學敎育硏究所, 청람수학교육, 8 , 15-44, , 1999
52. 유아의 대수적 사고능력의 발달에 대한 분석, 차현화, 홍혜경,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 구, 25(5) , 31-53, , 2005
53. 유아의 통합적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송연자,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3
54. 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형성에 관한 연구, 김정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55. 유아의 수학학습잠재력 측정도구의 개발 연구, 황해익 ( Hae Ik Hwang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 구, 11(2) , 251-278, , 2006
56.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김영채, 서울: 교육과학사, , 2004
57. 3 세와 4 세 유아의 비형식적 수지식에 대한 연구, 이정욱, 안경숙, 김소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1(1) , 251-268, , 2001
58.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 이유나, 이상수,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 학연구, 23(2) , 135-159, , 2007
59. CPS 활동과 BS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연옥, 이은빈,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 린유아교육연구, 13(3) , 477-495, , 2008
60. 유치원 교사의 발화에 나타난 수학교육 내용 분석, 이정욱,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9(6 ), 281-300, , 2009
61. 사회수학 통합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박미자, 전남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2
62. 창의성 교육 :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 방법, 조연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2008
63. 수학적 사고를 통한 창의력 계발 프로그램의 개념화, 송인섭, 정미경, 영재 와 영재교육, 1(2) , 5-28, , 2002
64.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수학활동 비교 분석, 남기원, 이은형,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 린이문학교육연구, 14(4) , 747-772, , 2013
65. 문제 해결에 기초한 유아 기하활동 구성 및 적용효과, 김은정, 덕성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66. 유아의 수 표상능력 발달에 대한 분석과 교육적 활용, 홍혜경,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 구, 19(2) , 95-118, , 1999
67. 유아의 포괄적 공간능력 증진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이혜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7
68. 일상적 경험에 기초한 유아 수교육 활동의 적용 효과, 김갑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9
69.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 장영희, 교육과학기술부,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2011
70. 정신의 도구: 비고츠키 유아교육 (김억환, 박 은혜 역), Bodrova, E., Leong, D. J., 이화여대출판부, , 1996
71. 통합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태주, 신나리, 한국보육지원학회, 한 국보육지원학회지, 9(6) , 289-307, , 2013
72. 유아 수학학습과 언어학습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연구, 김유정, 이정아, 대한사고개발학회, 사고개발, 9(1) , 177-195, , 2013
73. 자연친화적 수학놀이 구성하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정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74. 탐구중심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한종화, 중앙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3
75. 통합적 미술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효숙,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76. 유아 수학교육내용 및 방법에 관한 문화 심리학적 고찰, 이지현, 유아교육 연구, 19(1) , 111-131, , 1999
77.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구성요인과 교수설계원리의 탐색, 송해덕(Hae-Deok Song),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 구, 15(3) , 55-73, , 2007
78.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조사, 정미숙, 순천향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7
79. 탐구중심 수 활동에 의한 유아의 수학적 성향 변화 탐구, 김 만,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80. 브레인스토밍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강연미, 카톨릭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4
81. 수학을 기반으로 하는 STEAM 아웃리치 프로그램 개발 연구, 손정숙, 최성자, 유경훈, 김남준, 황선욱, 이갑정, 송원희, 한국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할술지, 2016(3) , 420-422, , 2016
82. 미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김남연, 중앙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2
83. 유아의 쌓기 놀이 활동을 통한 기하학습에 관한 기초연구, 홍혜경, 한국수학교육학회, 수학교 육논문집, 12 , 21-32, , 2001
84.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장금, 전남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0
85. 창의,인성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초등 과학 프로그램 개발, 이해인, 한국교 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86. 통합창의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 는 효과, 박춘성, 김진희, 이경화,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창의력교육연구, 13(2) , 29-42, , 2013
87. 광고를 활용한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이예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4
88. 유아과학교육과 수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기초연구, 홍혜경, 유아교 육연구, 9(4) , 153-169, , 2006
89.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조소현, 인천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90. 미술감상을 통한 유아 수학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김정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1
91. 2005년 유치원교원 직무연수: 수학으로 생각하고 이야기하기, 조형숙, 부산 유치원 연합회, , 2005
92.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평가가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변은진, 한국수학교육학회,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1
93. 명화감상을 연계한 Abps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 실행연구, 이혜정, 대한사고개발학회, 사 고개발, 9(1) , 27-48, , 2013
94. 유아 수학 능력 검사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조사 연 구, 김숙자, 김현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 199-218, , 2006
95. 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 지식(MKT)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홍혜경 ( Hae Kyung H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 아교육연구, 34(1) , 157-175, , 2014
96. 미래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영유아 교사의 역할: 인식과 실천, 최명희, 전북: 원광대학교. 한국 육아지원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17-51, , 2017
97.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문병환 ( Byunf Hwan Mun ), 홍혜경 ( Hae Kyung H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전남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98. 유아교사변인과 가정환경변인이 유아 수개념에 미치는 영향, 최효정, 경북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99. 유치원 생활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경험 변화와 교육적 의미, 서동미 ( Dong Mi Seo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 교육학논집, 11(3) , 71-101, , 2007
100. 간식시간을 통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효선, 성균 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5
101. 역할놀이를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이은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0
102. 유치원 삶 속에서 유아들이 겪는 수학경험에 대한 질적 연 구, 염지숙, 서동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 237-266, , 2006
103. 만5세 해바라기반 유아들의 간식시간과 관련된 수학교육 활동, 이소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 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104. 유아 대수적 사고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효과, 정주희, 경 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105. 유아 수학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협력적 실행과정과 의미, 김정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2
106.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을 위한 브레인스토밍 활동의 효과, 박정옥, 동 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7
107. 현장학습과 연계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황인주, 성 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5
108. 또래 간 토의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서현아(Seo Hyun Ah), 조은진(Cho Eun-Ji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학논총, 12(2) , 113-134, , 2007
109. 수학・음악 통합 활동이 유아의 패턴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지연, 덕성여자대학교 열린교육연구소, 덕 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2
110.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유아수학교육 관련 내용분석, 강인설(Kang In-Seol), 서현아(Seo Hyun-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71 , 101-120, , 2012
111. 수학개념이 포함되는 신체활동이 유아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유정,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한 국유아교육연구, 15(1) , 165-187, , 2013
112. 수학과 수학교육학의 학문학적 비교연구: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태성이, 대한수학교육학회, 이 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9
113. 스토리텔링 수학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남정민, 숭 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6
114. 역할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유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 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115. 3,4,5세 유아의 수세기와 더하기, 빼기 능력 및 전략에 관한 연 구, 강대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116. 5세 유아를 위한 유-초 연계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형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20(1) , 241-264, , 2016
117.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수학교육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재경,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118. 유아 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에 따른 수학수업실제에 관한 연구, 정정희, 한국아동학회, 아 동학회지, 22(4) , 57-83, , 2001
119. 의사소통 중심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홍선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9
120.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과학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채제숙, 구성혜, 성진숙, 조연순,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 307-328, , 2000
121. NCTM의 수학교육 내용기준에 근거한 유아수학능력 평가도구 개 발, 김지영,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4
122.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유아 수학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홍혜경, 김세루, 한국유아교육학회,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0
123. 수학영재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MG-CPS)모형에 따른 프로그램 개 발, 남흥숙,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124. 수학적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수학적 태도 에 미치는 영향, 고경미, 문병환, 정효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 199-217, , 2015
125.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지식 비교, 박민서, 전소영, 최인수, 김선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47-249, , 2013
126. 유아의 통계적 사고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연구, 박태학, 신라대학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 277-304, , 2004
127.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험분석, 박권생, 전헌선, 김영채,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40(1) , 129-158, , 2002
128. 통합창의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김진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129. 창의적 수학 학습 프로그램이 수학적 성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허 진,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학위논문, , 2006
130. 초롱반 만 5세 유아들의 수학적 문제 해결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 구, 최수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7
131. 스토리텔링에 기반 한 유아 과학음악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 과, 김명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5
132. 유치원 생활에서 발생하는 유아의 수학적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 미, 서동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7
133. “3세 유아를 위한 감각놀이 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경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6
134. 소집단 수학토의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태도에 미치는 영 향, 전유정,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135.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분석: 창의성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 로, 조연순, 한국영재학회, 영재교육연구, 22(2 ), 333-352, , 2012
136. 동화를 활용한 수학화 활동중심의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효 과, 조미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6
137.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 향, 최보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재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138. 신체활동을 통한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 발달에 미치는 효과, 안연경, 류승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 135-152, , 2006
139. 역할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 향, 이은영, 유아교육학논집, 14(2) , 193-215, , 2010
140. 자연물을 활용한 실외 수학 활동에서 나타나는 만 3세의 수학적 경 험, 박숙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6
141. 환상 그림책의 토의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상상력에 미치는 영 향, 김윤숙,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9
142. 3, 4, 5세 유아의 합리적인 수세기, 더하기, 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신은수, 김소향, 김은정,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14(1) , 23-37, , 1993
143. 일상생활속에서의 수학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 는 영향, 손은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144.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 모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영재 프 로그램 개발, 남흥숙, 박문환,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2) , 203-225, , 2011
145. 구성주의적 수학교수,학습모형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 개 발, 백경미,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146. 그림책을 활용한 수 표상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임정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147. 동화의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주제접근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이윤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2(2), 215-236., , 2008
148. 유아의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선진,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5
149. 프로젝트 스펙트럼에 근거한 유아미술평가척도 개 발을 위한 기초연구, 황해익, 이미라, 부산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논총, 14(1) , 101-128, , 2005
150. 유 아의 창의적 사고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Williams 모형을 중 심으로, 김효진,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151.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CPS)을 활용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 램의 효과 분석, 박민희, 최병연,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16(2) , 1-28, , 2004
152.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델의 초등학교 수학교과 적용 가 능성 탐색 연구, 강충열, 이용애, 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학연구, 8(2 ), 1-23, , 2001
153.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김정효, 권오남,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11 , 213-237, , 1997
154. STSC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및 창의적문제해결력에 미치 는 효과, 강정숙,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2
155. 다층자료 분석을 활용한 유아의 창의성에 관련된 교사와 유아 변인 탐색, 김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7
156. 수학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게임이 유아의 수학 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윤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6
157. 통합적 요리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곽효경, 충남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5
158. 수학적 추론 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 능력과 수학적 태도 에 미치는 영향, 김선영, 최혜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 221-247, , 2011
159.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적 수학영역 중심 교육 프로그램 개 발 및 적용효과, 이은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2
160.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에 미치는 영향, 류혜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161. CPS 활용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조형미술 표현력에 미 치는 효과, 김윤미,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162. CPS적용 과학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과학적 지식 향상에 미 치는 효과, 임경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163. SCAMPER기법 활용 스토리텔링 수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황지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7
164. 동화를 활용한 구체물 조작활동이 유아의 수연산 문제해결에 미치 는 효과, 이공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7
165. 발상법을 통한 그림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그림표현에 미치 는 영향, 김은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2
166. 탐구중심 교수방법의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 는 영향, 권희정,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167. 그림책을 활용한 수 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성취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화,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168. 사회적 구성주의 유아 수학활동이 측정능력 및 수학적 태 도에 미치는 영향, 김경희, 나귀옥,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 245-273, , 2007
169.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 한 연구, 조현복,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4
170. SCAMPER 기법을 이용한 교사의 질문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표현 에 미치는 영향, 장순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2
171.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 는 영향, 박수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172.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수학개념 형성 에 미치는 영향., 이인원, 김숙자,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 305-329, , 2006
173. 주제 중심 통합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 치는 영향, 박선영,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174. CPS모델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성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박윤미, 초등교육학회,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5
175. 유아 수학교육 관련 부모교육이 수학교육인식 및 교수효능감에 미 치는 영향, 허영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176. 일상생활 속 구체물 조작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김혜영,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177. 지도 그리기 및 관련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 치는 영향, 김정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178. 다양한 주사위를 활용한 판게임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창의성에 미 치는 효과, 박미정,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179.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가능한가: 전문분야 창의성에 대한 학습과정 모형 접근, 최일호(Il Ho Choi), 최인수(In Soo Choe),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2) , 409-428, , 2001
180. 자연에서 실시된 수학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수학적 탐색과 수학과정기술, 김정주(Kim Jung-Ju), 장정애(Jang Jung-A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59 , 177-199, , 2009
181. 창의적 문제해결수업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녹색식생활교육 프로그 램 개발, 김수정, 제주대학교,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182. 토의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 및 수학능력에 미 치는 영향, 곽현주, 이예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7(5 ), 117-136, , 2013
183. 과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진화 수업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김성하, 이길재, 조연실, 주희영, 김희백, 한국생물교육학회, 생물교육, 36(1) , 1-10, , 2008
184. CPS 디자인 프로젝트가 유아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공자영,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185. 과학영재의 뇌 활용 성향과 다중지능,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 의 관계 분석, 권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186. 만 2세 영아의 어린이집에서의 일상적 수학 경험과 수학개념 이해 에 관한 탐색, 임은화,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7
187. 신체활동을 통한 수학교육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습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188. 유치원 점심시간을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진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189. 창의적 디자인 사고체계의 교육모형 개발: CPS(Creative Problem Solving)모형 중심으로, 하은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4
190. 지리수업에서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용한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 에 대한 연구, 유은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191. 유아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과학 동화 활용 CPS 프로그램의 효과, 이경화,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 방법연구, 17(2) , 265-282, , 2005
192.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영양 단원 주제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우수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193. 초등 과학과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조근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194. CPS:창의적 문제해 결[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ation ]. (김영채 역). 서울: 박 영사, Isaksen, S. G., Treffinger, D. J., Dorval, K. B., (원본발간일 2000년), , 2004
195. 일상적 경험과 연계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송지선,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196.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에 미치는 효과, 김윤정,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197. 학습주기와 놀이가 연계된 유아 수학·과학 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안경숙(Ahn Gyoung-Su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42, 99-133, , 2005
198. CPS모형을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과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이정희, 최혜진,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54(3) , 431-446, , 2015
199.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및 자기효능감 에 미치는 영향, 정단비, 김지은,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 151-175, , 2015
200. 수학교육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환경가치관의 함양을 위한 프로 젝트 수업 연구, 이용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201. 유아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수학교수효능감,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의 관계, 김세루 ( Se Ru Kim ), 홍지명, 김권일, 홍혜경,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8(5) , 141-158, , 2008
202. 자연물을 활용한 협동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금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21(3 ), 193-213, , 2017
203.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유아 예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최혜진 ( Hye Jin Choi ), 권유선 ( Yu Seon Kwon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7(3) , 55-78, , 2013
204.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러닝 지원시스템 설계원리 개발연구:CPS 모형을 중심으로, 홍미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2
205. 방과후학교 수학 프로그램이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 도에 미치는 효과, 이정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206. 지리개념에 기초한 구성놀이가 유아의 공간능력과 창의적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신리행, 이정애, 김영옥,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015(1 ), 517-517, , 2015
207. 수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델(MG-CPS)을 일반학생의 수학 학습에 적용한 사례연구, 김수경, 한혜숙, 김은진, 권혁진, 한국수학교육학회, 한국수학교육학회, 2012(2) , 85-98, , 2012
208. 수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델(MG-CPS)을 일반학생의 수학 학습에 적용한 사례연구, 김수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209. ‘소조’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만 5세 유아의 기하개 념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실, 장은홍, 곽경화,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21(2), 213-234, , 2016
210. 순환학습 모형을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들의 창의성과 수학개념 습득에 미치는 효과, 김호년(Kim Ho-Nyun), 김수영(Kim Soo-Young), 최효정(Choi Hyo-Jung), 정정희(Chung Ch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47 , 263-283, , 2006
211. 창의적 문제해결수업이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적 인지능력 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최은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212. 동화를 활용한 토의 미술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 의 언어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지성애, 채영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4(3 ), 317-336, , 2010
213.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 기하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과정에 나타난 유아의 변화, 안진경 ( Jin Kyeong Ahn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7(5) , 185-209, , 2007
214.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진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215. 수학적 의사소통과 표상을 강조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은영 ( Eun Young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1(3) , 101-122, , 2011
216. 일상 생활 자료를 활용한 수학적 탐구 활동이 유아의 수학 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백소영,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5
217. 유아를 위한 수학교육 활동. 한국유아교육협회 제38회 유아교육 교 사연수 자료집 . 27-43, 조형숙, 서울: 정민사, , 2002
218. 방과후학교 수학영재학급 참여 경험이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영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2
219. 자연물을 이용한 한 줌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량 어림하기와 수세 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220. 통합적 예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공감능력 및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은경 ( Lee Eun-ky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8(2) , 387-415, , 2017
221. CPS모형 기반 과학통합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민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222. 수업유형, 집단구성 및 성별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 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최미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3
223. 전래동요를 통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과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김희선,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224. 수학과 관련된 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정주선, 최미숙, 아동교육, 15(4) , 110-147, , 2006
225. 시각적 사고를 통한 아이디어 발상교육에 관한 연구: 타이포 일러 스트레이션을 중심으로, 최정화,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7
226.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 적용이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능 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오상진,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 2011
227. 창의적 문제해결력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인수, 강정하,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0(3) , 679-701, , 2006
228. 개방형 학습자료를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의 창의적인 수학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김병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4
229.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 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개 념 및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황옥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230. 대수적 사고 증진 수학활동이 유아의 대수적 사고 능력 및 수학적 과정 기술에 미치는 영향, 백경미, 정주희, 정정희,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 1-22, , 2009
231.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시각적 사고전략에 기초한 초등영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서재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232. 기술교과 창의적인 문제해결 수업에서 협동학습이 창의적 인 무네 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복로, 장수웅, 한국기술교육학회지, 4(1), 3-12, , 2004
233.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의 효과 : 창의적 사고, 문제해결 수행능력을 중심으로, 정대련, 김수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4(5) , 291-311, , 2004
234. 생활경험 중심의 수학적 문제 해결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 해결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형,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235. 창의성의 즐거움[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 (노혜숙 역). 서울: 북로드, Csikszentmihalyi, M., (원전 1997년 출판), , 2003
236. 만화,애니메이션 활용 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이경화, 박미리,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창의력교육연구, 9(1 ), 49-73, , 2009
237. 수학동화책의 반복적 읽기방법이 유아의 수학화 과정과 수학태도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홍혜경 ( Hae Yung H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1(3) , 5-30, , 2011
238. 초등학생 과학수업에서 창의적 문제해결학습의 과학흥미, 과학탐구 능력 및 과학성취도 비교, 표지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239. 수개념 발달에서의 한국적 특성: 한국 아동의 수개념 발달에 영향 을 주는 문화 심리학적 요인, 신은수, 인간발달연구, 7(1 ), 27-47, , 2000
240. 쌓기놀이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감각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이순복,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0(1) , 95-120, , 2010
241. 자연물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자 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송미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6
242.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이야기 구성 능력 증진을 위한 동화 활용 창 의적 문 해결 프로그램 개발, 이재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243.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 및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수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3
244. 수학 스토리텔링을 통한 환경보전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태도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장지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7
245.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하기 및 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권유선(Kwon Yoo-Seon), 최혜진(Choi Hye-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 63-84, , 2010
246. 개념기반 창의적 과학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창의 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김성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9
247. 미술활동 중심의 STEM교육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권희경, 조여울, 아동과 권리, 20(1) , 49-71, , 2016
248. 숲 체험 활동을 통한 수학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 문제해결력과 수학 접근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영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249. 수학 게임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지식, 수학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에 대한 평가 도구 개발 연구, 홍혜경, 김세루,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4
250. 초등 정보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CT-CPS 프레임워크 기반 수업 콘텐츠 개발 및 적용, 김태영, 구재훈, 전용주, 한국초등교육, 27(2) , 339-357, , 2016
251. 고등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법과학 기 반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이길재, 이동순,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논문집, 21(2 ), 43-58, , 2015
252. 수학동화를 활용한 유치원과 가정에서의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오경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 2013
253. Osborn과 Parnes의 창의적문제해결 수업모형이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적 인지능력과 성향에 미치는 효과, 한화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2002
254. 도덕적 갈등상황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 훈련이 유아의 기본생활습 관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박정숙,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0
255. 중학교 디자인 수업에서 CPS모형 적용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reffinger의 CPS모형 6.1을 중심으로, 임주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256. 창의적 문제해결(CPS)모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미혼 모의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김미희,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2
257. 사전설계, 사진,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블록놀이가 유아의 추론능력, 수학적 능력,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홍혜경, 김세루,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69 , 191-211, , 2011
258. 수학교육철학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 (이중권, 강문봉, 백석윤, 장혜윤, 황우형 역). 서울: 경문사, Ernest, P., (원본발간일 1991년), , 2006
259. 육색사고모자기법을 활용한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언어표 현력 및 미술 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류은주,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260.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디자인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전문계 고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남화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2011
261.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 성취, 수학 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전순한,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0
262. 통합적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적 사고 및 초등학교 적응,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이영미, 아동교육, 21(2) , 213-232, , 2012
263. 어린이 수학자: 유치원 교 실의 수학탐구 이야기 [Math stories from a kindergarten classroom ]. (한종화 역). 경기: 정민사, Andrews, A. H., Trafton, P. R., Angela, G., (원전 2002년 출판), , 2016
264. 창의적 문제해결(CPS)을 활용 과학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 성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선영,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 2006
265. 유아수학교육의 효과적 지도: 구체물 조작에 의한 활동 중심과 학 습자에 의한 교사 중심 교수방법의 비교 연구, 황정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 1996
266. 동반자적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의한 활동중심 학습이 유치원과 초등 학교 1학년 아동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창복,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 1998
267.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미술활동이 영재와 일반아동의 창의력, 공간능력, 도 형유추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인혁,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 2009
268. 개방형 학습 자료를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의 창의적인 수학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윤다히,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 2007
269. 창의적인 사람은 무엇이 다를까 [The psychology of creativity and discovery: Scientists and their work ]. (임선하 역). 서울: 도서출판 하우, Busse, T. V., Mansfield, R. S., (원전 1981년 출판), , 1993
270. 순환학습모형에 따른 유치원 수학활동의 교육과정 수정이 통합된 장애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박나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1
271. 구 성주의 유아교육교수법[Developing constructivist early childhook curriculum; Practical principles and activities ]. 곽향림, 허미화, 김선 영(역), Edmiaston, R., Zan, B., Sales, C., Devries, R., Hildebrandt, C., 서울: 창지사, , 2007
272. 사회적 자본이 경쟁력이 된다 . 국제미래학회,한국교육학술 정보원 (편), 제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보고서(pp. 71-77), 김선태, 주형근, 서울: 광문각, , 2017
273. 동화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창의적 문제해결려과 어휘력 및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채원, 권요한,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8(3) , 197-224, , 2017
274.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중학생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학 진로지향도 및 STEAM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유미현(Mi-Hyun Yoo), 양윤정(Yun-Jung Yang), 한국영재학회, 아 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