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탐구지도능력 향상을 위한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 =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an ‘Inquiry Mentoring’Program for the Promotion of their Inquiry Teaching 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240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들의 탐구지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들의 탐구지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측면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양성과정의 일부로 예비 과학교사들이 고등학생들의 탐구를 지도하는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은 2011년 9월부터 11월까지 약 2.5개월 동안 적용되었는데, 45명의 예비 과학교사가 참여하여 고등학생 44명의 탐구를 지도하였다. ‘탐구 멘토링’ 과정 동안 예비 과학교사들은 멘토 일지를 작성하였고, ‘탐구 멘토링’이 끝난 이후에 멘토링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또한 멘토링 과정 중과 멘토링이 모두 끝난 이후에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 멘토링’을 통하여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교사로서의 교육학적내용지식(PCK)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예비 과학교사들은 지도능력의 향상에 대하여 많이 언급하였다. 둘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학생들과 같이 탐구하고, 학생들을 지도하는 경험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고등학생들을 이해하고 교사로서의 자신의 역량을 이해하게 되었다. 넷째, 예비과학교사들은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추게 되었고, 멘토링에 대한 책임감과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이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진로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an ‘inquiry mentoring’ program and analyzed the positive aspects of this program. An ‘inquiry mentoring’ program was developed in which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aught ...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an ‘inquiry mentoring’ program and analyzed the positive aspects of this program. An ‘inquiry mentoring’ program was developed in which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aught high school students. From August to November 2011, the participating 45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sed an ‘inquiry mentoring’ program in the teaching of 44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e ‘inquiry mentoring’ program kept ‘mentor diaries’; and, at the end of program, wrote ‘mentoring reports’. They were also interview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lated that their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science teachers increased. In particular, many of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escribed an increase in their teaching ability. Second,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ived positively their experiences of inquiry with students and their teaching. Third,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better able to understan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level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were better able to understand their own capabilities as teachers. Fourth,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evelop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In addition,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and self-confidence toward mentoring increa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II. 연구 내용 및 방법
      • 1. 연구 과정
      • 2.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의 과정
      • 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II. 연구 내용 및 방법
      • 1. 연구 과정
      • 2.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의 과정
      • 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 III. 연구 결과
      • 1. PCK 신장과 관련된 예비 과학교사들의 '탐구 멘토링'에 대한 인식
      • 2. '경험의 기회'와 관련된 예비 과학교사들의 '탐구 멘토링'에 대한 인식
      • 3. '이해'와 관련된 예비 과학교사들의 '탐구 멘토링'에 대한 인식
      • 4. '정의적 능력' 및 진로와 관련된 예비 과학교사들의 '탐구 멘토링'에 대한 인식
      • I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민, "한국, 미국, 영국의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 분석" 48 (48): 33-58, 2009

      2 곽영순, "초임 과학교사 지원을 위한 멘토링의 효율성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1-13, 2011

      3 이경학,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소 49 (49): 71-87, 2010

      4 박재용, "중학교 과학 자유 탐구 수행 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교과교육연구소 15 (15): 603-632, 2011

      5 박종호,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20 (20): 271-280, 2001

      6 변선미, "자유 탐구 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210-224, 2011

      7 박현주, "수업에 대한 멘토링이 초임화학교사의 교수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1055-1076, 2011

      8 김종희, "사범대학 지구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지구과학회 27 (27): 390-400, 2006

      9 이송연, "멘토링을 통한 예비화학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621-640, 2011

      10 조희형, "과학교직관과 과학교사상에 대한 문헌 연구 및 실태 조사" 13 (13): 377-388, 1993

      1 김영민, "한국, 미국, 영국의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 분석" 48 (48): 33-58, 2009

      2 곽영순, "초임 과학교사 지원을 위한 멘토링의 효율성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1-13, 2011

      3 이경학,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소 49 (49): 71-87, 2010

      4 박재용, "중학교 과학 자유 탐구 수행 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교과교육연구소 15 (15): 603-632, 2011

      5 박종호,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20 (20): 271-280, 2001

      6 변선미, "자유 탐구 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210-224, 2011

      7 박현주, "수업에 대한 멘토링이 초임화학교사의 교수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1055-1076, 2011

      8 김종희, "사범대학 지구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지구과학회 27 (27): 390-400, 2006

      9 이송연, "멘토링을 통한 예비화학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621-640, 2011

      10 조희형, "과학교직관과 과학교사상에 대한 문헌 연구 및 실태 조사" 13 (13): 377-388, 1993

      11 진순희, "과학 탐구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지도 경험"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181-191, 2007

      12 Abd-El-Khalick, F.,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 Making the unnatural" 82 : 417-436, 1998

      13 Ingersoll, R., "The impact of mentoring on teacher retention: what the research says" Education Commission of the States 2004

      14 Guskey, T. R., "Results-oriented professional development : In search of an optimal mix of effective practices" 15 : 42-50, 1995

      15 Inoue, N., "Rehearsing to teach : content-specific deconstruction of instructional explanations i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35 (35): 47-60, 2009

      16 Anderson, R. D., "Reforming science teaching : what research says about inquiry" 13 (13): 1-12, 2002

      17 Mule, L., "Preservice teachers’ inquiry in a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 context : implications for the practicum" 22 (22): 208-215, 2006

      18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1996

      19 Ganser, T., "Mentor roles : Views of participants in a state-mandated program" 9 (9): 15-20, 1992

      20 Crawford, B. A., "Learning to teach science as inquiry in the rough tumble of practice" 44 (44): 613-642, 2007

      21 Shulman, L., "Knowledge and teaching :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57 (57): 1-22, 1987

      22 Crawford, B. A., "Is it realistic to expect preservice teacher to create an inquiry-based classroom?" 10 : 175-194, 1999

      23 Windschitl, M., "Inquiry projects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 what can investigative experiences reveal about teacher thinking and eventual classroom practice?" 87 (87): 112-143, 2003

      24 Welch, W. W., "Inquiry in school science, In Project synthesis, What research says, Vol 3" NSTA 1981

      25 Tamir, P., "Inquiry and the science teacher" 67 : 657-672, 1983

      26 National Research Council,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2000

      27 In V. Richardson,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AERA 259-297,

      28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Project 2061"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29 Windschitl, M.,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pen inquiry experiences" 2000

      30 Porter, A. C., "Advances in teacher assessments and their uses"

      31 Fishman, B., "A design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 Linking teacher and student learning in systemic reform" 19 : 643-658, 2003

      32 성삼제, "2012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교육과학기술부 2012

      33 심재호,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의 실행에 관한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140-156, 2010

      34 김희경,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자유탐구’에 대한 중등과학교사의 인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8 (58): 213-235,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