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허왕후와 가야불교` 연구에 대한 분석과 방향모색 = The Analysis and Direction of the Research on `Hwanghue-heo and Gaya Buddh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059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허왕후에 대한 기록은 『三國遺事』 「駕洛國記」와 「金官城 婆娑石塔」 조에서 언급된다. `허왕후`에 대한 존재성 그리고 가야문화와 함께 언급되는 가야 불교에 대한 내용은 역사와 설...

      허왕후에 대한 기록은 『三國遺事』 「駕洛國記」와 「金官城 婆娑石塔」 조에서 언급된다. `허왕후`에 대한 존재성 그리고 가야문화와 함께 언급되는 가야 불교에 대한 내용은 역사와 설화 또는 신화의 영역을 오가며 가치의 문제와 함께 진실공방으로 대두었다. 『三國遺事』에 기록된 허왕후에 대한 실존의 문제는 가야의 성립과 배경, 김해 김씨와 김해 허씨의 기원 그리고 인도불교의 남방전래설 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하겠다. 대부분의 설화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해서 성립되며 이것이 전승되는 과정에서 각색 및 윤색이 될 수 있다는 가정은, 항상 설화의 원형이 무엇일까에 대한 의문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학문의 방법이 다른 것에서 야기되는 문제는 또 다른 논란을 도출시킨다. 그래서 끊임없는 담론의 장에 대두 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른 학문적 배경과 다른 논리적 정당성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연구와 함께 허왕후와 가야불교에 대한 관심의 표출이 반영된 단행본과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본고는 허왕후와 가야불교에 대한 여러 종류의 연구를 분류하고 이때까지 진행되어 온 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앞으로 전개되어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역사에 대한 논증과 고증을 통해서 사실과 진실을 규명하고자 하는 방법은 중요하다. 하지만 사실이라고 여겨지는 것과 사실은 확연히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허왕후 도래 그리고 불교의 전래`와 같은 역사적인 사실이라고 여겨지거나 아니라고 부정할 수 있는 논쟁에 직면했을 때 역사주의자들의 담론에 갇혀버린 결과를 야기하기도 한다. 허왕후 출신지에 대해서는 기원전 3세기 인도의 갠지스강 중류지대에 있었다고 알려진 불교왕조 아요디아에서 왔다는 설이 있다. 이 내용은 『三國遺事』의 阿踰陀國의 허왕후 도래설과 일치한다. 그리고 허황옥과 불교 혹은 가락국 성립 초기의 불교전래 문화와 관련된 견해는 기원 1세기 초 인도에서 동남아시아를 거쳐 가락국 불교가 전래 및 유포되었다는 설, 허황옥의 불교 전래에도 불구하고 가락국에는 불교가 수용되지 않았다는 설, 허황옥의 도래와 불교 전래는 전혀 상관성이 없으며, 불교의 가락국 전래가 5세기경 인도 방면이나 백제 또는 남중국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허왕후`에 대한 연구는 `학술 및 학위논문`, `동향 연구보고서 및 정기간행물`, `역사적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 `신화나 설화적 관점의 자료`, `소설류`, `학생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저서`, `답사·취재·연재 및 수필 종류의 자료`, `여성학의 관점`, `언어적 고찰`, `성(性)의 역사`, `차 문화`, `철기문명` 등 다양한 층위에서 이루어졌다. 허왕후에 대한 이러한 관심은 다양한 방식과 종류의 결과물을 도출했다. 이러한 관심과 노력이 있었지만 더 완성에 가까운 연구물이 나오려면 융·복합적인 연구방향과 방법론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역사적 사실을 밝혀내고자 함에 있어서 특정 문헌에 대한 연구자의 연구방법론이나 입장만으로는 다른 견해와 방법론을 가진 연구자를 설득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신화와 설화 그리고 역사의 경계가 모호하게 넘나든다고 여겨지는 `허왕후`와 `가야불교`에 있어서는 융·복합적인 연구방법을 통해서 부족했던 부분을 상호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cords of Hwanghue-heo were mentioned in the “Samguk-yusa”. The existence of `Hwanghue-heo` and the contents of Gaya Buddhism mentioned together with Gaya culture have been argued with their values through the history, fables or myths. The pr...

      The records of Hwanghue-heo were mentioned in the “Samguk-yusa”. The existence of `Hwanghue-heo` and the contents of Gaya Buddhism mentioned together with Gaya culture have been argued with their values through the history, fables or myths. The problem of the existence of `Hwanghue-heo` recorded in the “Samguk-yusa”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and background of Gaya, the origins of Gimhae Kim and Gimhae Heo, and the southern civilization of Buddhism in India. Most of fables are based on historical facts and the assumption that they has been transformed and embellished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can always lead to questions about what the prototype of fables is. There have been also various books and studies based on different academic backgrounds and different logical justifications, as well as monographs and research on `Hwanghue-heo` and `Gaya Buddhism`. The problems that arise from the way in which academic methods are different, lead to another controversy, which motivates us form a place of continuous discourse. In this article, we attempt to provide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various kinds of previous studies on `Hwanghue-heo` and `Gaya Buddhism` and propose a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It is important to try to identify facts and truths through demonstration and confirmation of history. But the facts and facts that are treated as facts are different. Nonetheless, we are confined to the discourse of historians when confronted with a debate that can deny or consider historical facts such as “the coming of imperialism and the coming of Buddhism”. The current study on `Hwanghue-heo` is based on `scholarship and thesis`, `trend research report and periodicals`, `research approach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materials from myths or narrative viewpoints`, `novels`, `History of Women`, `History of Sex`, `Tea Culture`, and `Iron Civilization`. This interests in `Hwanghue-heo` have brought into various ways and kinds of results so far, however, the research direction and the methodology could not be combined in order to investigate it in a comprehensive way.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persuade a researcher with a different point of view and methodology on a specific document in attempting to reveal historical facts. The analysis and proposal a direction of the research on `Hwanghue-heo and Gaya Buddhism` will make it possible to complement such deficiencies through `fusion` and `complex` research methods on `Hwangwanghui` and `Gaya Buddhism`, which are considered to be blurred by the boundaries between myth, narrative and histo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역사인물 편찬위원회, "황금알 왕국 김수로왕" 역사디딤돌 2009

      2 이창식, "허황옥전승의 비교민속학적 가치" 비교민속학회 (49) : 11-43, 2012

      3 손병철, "허황옥이 가락국에 온 까닭" 풀잎문학 1995

      4 김정, "허황옥, 가야를 품다" 푸른책들 2010

      5 김병모, "허황옥 루트 인도에서 가야까지" 2008

      6 청아출판사, "한권으로 정리한 이야기 한국고대사" 청아출판사 2000

      7 Mohan, Pankaj, "한국학연구원 학술총서"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8 김진영, "한국의 신화" 시인사 2012

      9 김준기, "한국의 신모신화" 서강대학교출판부 2016

      10 김원회, "한국성사 (한국인의 성, 거의 모든 것의 역사)" 북랩 2015

      1 역사인물 편찬위원회, "황금알 왕국 김수로왕" 역사디딤돌 2009

      2 이창식, "허황옥전승의 비교민속학적 가치" 비교민속학회 (49) : 11-43, 2012

      3 손병철, "허황옥이 가락국에 온 까닭" 풀잎문학 1995

      4 김정, "허황옥, 가야를 품다" 푸른책들 2010

      5 김병모, "허황옥 루트 인도에서 가야까지" 2008

      6 청아출판사, "한권으로 정리한 이야기 한국고대사" 청아출판사 2000

      7 Mohan, Pankaj, "한국학연구원 학술총서"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8 김진영, "한국의 신화" 시인사 2012

      9 김준기, "한국의 신모신화" 서강대학교출판부 2016

      10 김원회, "한국성사 (한국인의 성, 거의 모든 것의 역사)" 북랩 2015

      11 편집부, "한국사연구 102호" 경인문화사 1998

      12 황원갑, "한국사를 바꾼 여인들" 책이있는마을 2002

      13 황원갑, "한국사 여걸열전" 바움 2015

      14 배한철, "한국사 스크랩" 서해문집 2015

      15 이희근, "한국사 그 끝나지 않는 의문" 다우 2001

      16 김병모, "한국문화 분석" 통천문화사 2009

      17 김창겸,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한국학 주제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18 김경복, "한국 신화" 청아출판사 2014

      19 정수일, "한국 속의 세계 상" 창비 2005

      20 한국역사연구회고대사분과, "한국 고대사 산책" 역사비평사 1994

      21 이옥려, "한·중 허황옥에 관한 문화관광콘텐츠 비교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11

      22 김준권, "학생을 위한 역사" 이담북스 2010

      23 방인수, "태양의 제국 (수로왕과 허왕후 편)" MBC라이프 2004

      24 김호경, "철의 제왕 김수로" 이레 2010

      25 배상열, "철의 제국 가야의 첫사랑 아효" 수북 2010

      26 김종성, "철의 제국 가야, 잊혀진 왕국 가야의 실체" 역사의 아침 2010

      27 김경민, "철의 아들 김수로" 눈과 마음 2010

      28 전용훈, "천문대 가는 길" 도서출판 이음 2008

      29 김대성, "차문화 유적답사기(상)" 불교영상 1999

      30 신현배, "쩔렁쩔렁 엽전귀신" 가문비어린이 2010

      31 지리산권문화연구단, "지리산권 불교설화" 선인 2016

      32 유안진, "지란지교를 꿈꾸며" 아침책상 2014

      33 박영수, "지도 없이 떠나는 101일간의 한국의 왕" 영교출판 2010

      34 올티에, "지구가 품은 비밀 1" 책과 나무 2014

      35 최강현, "젊은이가 읽을 한국중고문학사" 지식과 교양 2013

      36 강평원, "임나가야" 뿌리출판사 2005

      37 이창식, "인문학적 상상력과 융합콘텐츠" 글누림 2015

      38 최경섭, "인도에서 직접 전래된 가야불교" 세계평화교수협의회 (174) : 1988

      39 이광수, "인도사에서 종교와 역사 만들기" 산지니 2006

      40 김정호, "이야기문학과 여성연구" 민속원 2005

      41 김경복, "이야기 가야사" 청아출판사 2010

      42 김용덕, "우리불교 우리문화" 밀알출판사 2005

      43 김용덕, "우리불교 우리문화" 밀알 2005

      44 김용만, "우리나라의 건국신화 (세상의 탄생)" 청솔 2004

      45 서안정, "우리공주 박물관" 초록아이 2010

      46 박기현, "우리 역사를 바꾼 귀화 성씨 우리 땅을 선택한 귀화인들의 발자취" 역사의아침 2007

      47 최광식, "우리 고대사의 성문을 열다" 한길사 2004

      48 금현진,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2" 사회평론 2016

      49 이이화, "왕의 나라 신하의 나라(누가 왕이고 누가 신하인가)" 김영사 2008

      50 김의박, "옛말산책" 비봉출판사 2014

      51 감돌역사문화연구회, "역사야 2 (삼국시대, 이야기로 인물로 문화재로 몸으로 역사를 느껴요)" 감돌역사 2012

      52 이이화, "역사는 스스로 말하지 않는다" 산처럼 2004

      53 이진경, "알기 쉽게 통으로 읽는 한국사 1" 시공주니어 2014

      54 강평원, "아리랑 시원지를 찾아서" 청어 2004

      55 강평원, "아리랑" 학고방 2013

      56 강평원, "쌍어 속의 가야사" 생각하는 백성 2001

      57 표정옥, "신화적 상상력에 비쳐진 한국 문학" 삼인 2014

      58 안진태, "신화의 이론" 열린 책들 2001

      59 이봉일, "신화와 역사의 간극에 대한 한 연구-김수로왕 신화의 역사적 이해" 국제한인문학회 1 (1): 171-202, 2014

      60 김문태, "신화교육과 국어교과교육의 현장" 보고사 2004

      61 김용호, "신화 전사를 만들다" 휴머니스트 2009

      62 박영규, "신라사 이야기 1" 주니어김영사 2006

      63 한국역사연구회고대사분과, "신라 천년의 자취 소리" 역사비평사 1994

      64 부산·경남역사연구소 고대사연구부, "시민을 위한 가야사" 집문당 1996

      65 손연숙, "손연숙의 차문화 기행(현장에서 쓴 우리 차의 역사와 문화)" 이른 아침 2008

      66 현무, "세계화를 이끈 신라사람" 랜덤하우스코리아 2005

      67 이익, "성호사설" 동서문화사 2015

      68 김은석, "선생님이 궁금해 하는 한국 고대사의 비밀" 살림터 2011

      69 이정범, "서프라이즈 한국사" 풀빛 2009

      70 이희근, "색다른 우리 역사" 거름 2006

      71 김효신, "상고연구 자료집" 새남 1992

      72 신종원, "삼국의 불교 初傳者와 초기불교의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44) : 59-91, 2006

      73 정천구, "삼국유사 바다를 만나다 민중의 바다 이야기의 바다" 산지니 2013

      74 모난 돌 역사논술모임, "살아있는 역사 재미있는 논술 1" 성안당 2007

      75 박창희, "살아있는 가야사 이야기" 이른아침 2005

      76 N. 빠르따사라띠, "비단황후" 여백미디어 2007

      77 윤석효, "본가야의 사적 연구" 한성대학교 9 : 1985

      78 강희정, "보드가야의 불교유적과 구법승"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4) : 88-127, 2005

      79 정형진, "바람타고 흐른 고대문화의 비밀" 소나무 2011

      80 임재해, "민족 신화와 건국영웅들" 민속원 2006

      81 천소영, "물의 전설" 창해 2000

      82 민도안, "문화다원론적 관점에서 살펴본 구비설화의 교육적 가치 : '수로왕과 허황옥의 결혼', '선녀와 나무꾼'형 설화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3 정수일, "문명교류사 연구" 사계절 2009

      84 최은미, "람세율" 꿈꾸는 아침 2008

      85 남기환, "두 마리 물고기 사랑" 성하books 2014

      86 김문태, "되새겨 보는 우리 건국신화" 보고사 2006

      87 이주형, "동아시아의 구법승과 인도 불교 유적의 연구 - 4-8세기 인도의 불교미술과 문화 교류 양상의 탐색 - 중간보고서 1차" 서울대학교 2004

      88 김혜원, "동아시아 구법승과 인도 불교 유적의 연구 : 4~8세기 인도의 불교미술과 문화 교류 양상의 탐색" 서울대학교 2007

      89 김영권, "대가락국사의 이해" 수서원 2014

      90 김용옥, "달라이라마와 도올의 만남 2 인도로 가는 길" 통나무 2002

      91 황원갑, "나를 여왕이라 부르라" 마야 2007

      92 백승충, "김해지역의 가야관련 전승자료 : 허왕후 설화를 중심으로" 한국향토사연구 전국협의회 15 : 2003

      93 성씨이야기편찬실, "김해 김씨 이야기 세트" 올린피플스토리 2014

      94 이종호, "김알지와 김수로는 북방 기마민족의 후예 : 4~6세기 신라로 들어와 지배계급 구성" 한국자유총연맹 40 (40): 2005

      95 김병모, "김수로왕비의 혼인길" 푸른숲 1999

      96 김병모, "김수로왕비 허황옥 : 쌍어의 비밀" 조선일보사 1994

      97 김병모, "김수로왕비 허황옥" 조선 일보사 1994

      98 김병모, "김수로왕 연구" 한양대학교 민족학연구소 6 : 1997

      99 유경환, "김수로왕 신화의 구조" 김해문화원 2000

      100 김현옥, "김수로와 형제들 6가야의 왕이 되다" 아보세 2015

      101 글마루 편집부, "글마루 2014.8"

      102 박선식, "공주들의 전쟁" 주류성 2011

      103 윤혜신, "고전에 빠지다 사랑을 붙잡다 (2천년 서사에서 길어 올린 16색 사랑)" 사람의 무늬 2016

      104 이유경, "고전문학 속의 여성영웅 형상 연구" 보고사 2012

      105 한지연, "고대 해상루트를 통한 불교전파의 가능성과 의미"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5) : 177-197, 2016

      106 김공칠, "고대 제주도의 언어와 역사 : 일본 등 주변지역과의 비교를 통한 재구" 백산출판 2014

      107 조명제, "경남의 불교문화"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32 : 2011

      108 이일균, "걷고 싶은 길" 산지니 2006

      109 이경덕, "건국신화 삼국유사에 기록된 신화들(신화 라이브러리 한국8)" 21세기북스 2013

      110 정호완, "가야의 언어와 문화" 보고사 2007

      111 전호태, "가야의 불교와 고분벽화" 울산대학교출판부 2005

      112 백승충, "가야의 ‘고대국가론’ 비판" 효원사학회 30 : 243-268, 2006

      113 조원영, "가야에는 언제 불교가 전래되었을까" 목요학술회 2006

      114 이영식, "가야불교의 전래와 문제점" 가야문화연구원 11 : 1998

      115 金英花, "가야불교의 수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慶南大學校 大學院 1998

      116 조정옥, "가야불교 전래에 관한 재검토"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17 황정일, "가야불교 전래 지역 아유타에 대한 연구 - 한역 경전에 나타난 음역어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5) : 151-175, 2016

      118 김용덕, "가야불교 설화의 연구"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1·22 : 1992

      119 조형조, "가야는 해양왕국이었다 : 대마도까지 미친 영역, 최초의 불교 도래지" 목요학술회 1997

      120 조국현, "가야는 기독교 국가였다; 김수로 왕릉의 신어문(神魚紋) 소고(小考)" 신앙세계 333 : 1996

      121 김병모, "가야국 허황옥과 인도 ; 김수로왕과 허황옥은 어떻게 대화했을까?" 포스코경영연구원 55 : 2011

      122 가야사정책연구위원회, "가야 잊혀진 이름 빛나는 유산" 혜안 2004

      123 이건호, "가야 설화의 형성과 배경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124 정영식, "가야 백제의 차문화 형성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2015

      125 조원영, "가야 그 끝나지 않은 신화" 혜안 2008

      126 조현설, "가야 건국신화" 한겨레아이들 2009

      127 김병기, "가락국의 후예들" 위즈덤하우스 2008

      128 조원영, "가락국(駕洛國)의 수로왕과 허왕후" 목요학술회 (256) : 2006

      129 이광수, "가락국 허왕후 도래 설화의 재검토 -부산,경남 지역 불교 사찰 설화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31 : 179-208, 2003

      130 백창기, "가락국 초기 왕비족의 연구 :허황옥집단의 성격과 관련하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131 김시우, "가락국 천오백년 잠깨다"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4

      132 허명남, "가네샤 신의 선물" 한솔수북 2012

      133 석길암, "駕洛國의 佛敎 傳來 문제와 성격에 대한 검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5) : 129-149, 2016

      134 曺勇吉, "韓國·印度 佛敎文化交流史 硏究" 한국불교학회 (30) : 263-290, 2001

      135 김병모, "許黃玉은 四川省을 거쳐 金海로 들어왔다 : 韓民族의 뿌리를 찾아서"

      136 인문과학예술문화연구소, "慶南東部地域 文化遺蹟踏査 : 양산, 김해지방의 가야 및 불교화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인문과학예술문화연구소 20 : 1999

      137 이희근, "古代史 최초 異國여성 許黃玉은 누구인가? : 가락국의 허왕후는 인도아닌 ‘한반도倭’ 출신" 중앙일보 2000

      138 이광수, "古代 印度-韓國 文化 接觸에 관한 연구 : 駕洛國 許王后 說話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10 : 1993

      139 김영태, "伽耶의 國名과 佛敎와의 관계" 가야문화연구원 6 : 1993

      140 윤석효, "伽耶의 佛敎受容에 관한 硏究" 한성대학교 15 : 1991

      141 김영태, "伽倻佛敎의 史的 考察" 가야문화연구원 10 : 1997

      142 홍윤식, "伽倻佛敎에 대한 諸問題와 그 史的 位置"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한국고대사회연구소 1 : 1992

      143 방지영, "「김수로왕 신화」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144 권주현, "「王后寺」와 加耶의 佛敎傳來問題- 加耶社會의 信仰體系와 관련하여 -" 대구사학회 95 : 41-71, 2009

      145 김창호, "≪삼국유사≫, 금관성파사석탑조와 가야 불교 문제" 가야문화연구원 2003

      146 우덕환, "Why? 한국사 귀화 인물" 예림당 2014

      147 신현배, "5000년 한국 신화" 홍진P&M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1 0.71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