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금교영, "한국 인성교육의 사례분석과 인격주의 윤리학적 반성(Ⅱ)-한국 인성교육의 사례분석과 유기체론적 통합인성교육-" 새한철학회 1 (1): 27-52, 2004
2 이인재, "초등학생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열린 인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윤리학회 50 (50): 11-317, 2002
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초⋅중등 학생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Ⅳ)- 고등학생 인성교육을 위한 교원 연수 자료 개발"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6
4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초⋅중등 학생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Ⅲ): 중학생 인성교육을 위한 교원 연수 자료 개발"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5
5 최규리, "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방향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169-1186, 2012
6 최영미, "중학생들의 도덕적 감수성과 과학 선호도 및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과의 상관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65-72, 2015
7 Ministry of Education, "인성지수 개발 연구" Jinhan M&B 2014
8 유병열, "인성교육의 덕교육적 접근과 실천 원리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6 (26): 303-322, 2015
9 최예솔, "인성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489-517, 2016
10 박종덕, "인성교육과 교과교육: 인성교육은 가능하고 필요한가?" 한국도덕교육학회 26 (26): 177-194, 2014
1 금교영, "한국 인성교육의 사례분석과 인격주의 윤리학적 반성(Ⅱ)-한국 인성교육의 사례분석과 유기체론적 통합인성교육-" 새한철학회 1 (1): 27-52, 2004
2 이인재, "초등학생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열린 인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윤리학회 50 (50): 11-317, 2002
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초⋅중등 학생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Ⅳ)- 고등학생 인성교육을 위한 교원 연수 자료 개발"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6
4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초⋅중등 학생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Ⅲ): 중학생 인성교육을 위한 교원 연수 자료 개발"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5
5 최규리, "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방향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169-1186, 2012
6 최영미, "중학생들의 도덕적 감수성과 과학 선호도 및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과의 상관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65-72, 2015
7 Ministry of Education, "인성지수 개발 연구" Jinhan M&B 2014
8 유병열, "인성교육의 덕교육적 접근과 실천 원리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6 (26): 303-322, 2015
9 최예솔, "인성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489-517, 2016
10 박종덕, "인성교육과 교과교육: 인성교육은 가능하고 필요한가?" 한국도덕교육학회 26 (26): 177-194, 2014
11 Son, B., "인성교육: 필요, 성격, 방법" 27 : 60-69, 1995
12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인성교육 진흥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5
13 권난주,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265-278, 2012
14 최승현, "역사적 담론으로서의 인성교육론" 한국교육철학학회 37 (37): 179-197, 2015
15 Sim, S., "민주시민을 위한도덕교육" Sallimter 2014
16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 역량교육 및 혁신적 학습 생태계 구축 (Ⅱ)"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4
17 이명제, "과학적 소양의 정의 분류의 특성 및 경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55-62, 2014
18 강경희,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54-67, 2010
19 박다혜,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과 그 실현 방안으로서 Nature-Study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581-589, 2016
20 곽영순,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핵심역량 재구조화 방안" 한국지구과학회 34 (34): 368-377, 2013
21 양정은,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SI)의 도입을 통한 창의·인성 교육 가능성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13-128, 2012
22 Moorhead, B., "Words Aptly Spoken" Overlake Christian Bookstore 1995
23 Cheek. D. W., "Thinking constructively about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educ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Press 1992
24 Jeong, C., "Theories and practices of character education" Kyoyookgwahaksa 2015
25 Kuhn, T. 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2
26 Berkowitz, M. W., "The role of moral reasoning on semiscientific issues and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117-138, 2003
27 Cho, H., "The necessities and current states of educating ethical characteristics of science" 18 (18): 559-570, 1998
28 Sadler, T. D., "Socioscientific argumentation : The effects of content knowledge and morality" 28 (28): 1463-1488, 2006
29 Aikenhead, G. S., "Science education for everyday life :evidence-based practice" Teachers College Press 2006
30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1-361of MEST"
31 Kim, K.,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5
32 Sewell, W. H., "Logics of history: Social theory and social transform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33 유경재, "KEDI 창의적 인성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연구소 12 (12): 217-247, 2011
34 Giddens, A., "Essential concepts in sociology" Polity Press 2014
35 Lewis, J., "Discussion of socio-scientific issues : The role of science knowledge" 28 (28): 1267-1287, 2006
36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No. 13004"
37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4
38 임유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교과의 관계성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749-771, 2016
39 Ministry of Education, "2014년도 인성교육 강화 기본계획" Jinhan M&B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