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업협의회를 통한 학교공동체 형성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B초등학교(연구학교)의 ‘수업을 중핵으로 한 학교공동체 형성’의 노력은 다음의 세 가지 주요한 활동으로 구성된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81704
2007
-
370
KCI등재
학술저널
197-219(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수업협의회를 통한 학교공동체 형성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B초등학교(연구학교)의 ‘수업을 중핵으로 한 학교공동체 형성’의 노력은 다음의 세 가지 주요한 활동으로 구성된다. ...
본 연구는 수업협의회를 통한 학교공동체 형성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B초등학교(연구학교)의
‘수업을 중핵으로 한 학교공동체 형성’의 노력은 다음의 세 가지 주요한 활동으로 구성된다. 첫
째, 공동체적 수업실천, 둘째, 수업공개와 수업협의회. 셋째, 학부모의 학습참가이다. 공동체적 수
업을 통해 진정한 배움은 관계 속에서 일어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수업공개와 수업협의회를 통
하여 교사의 동료성과 자율성 그리고 전문성을 확보하고, 학부모의 참가를 통해서 학교와 학부모
의 연대를 확립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글은 이러한 노력들 중 수업협의회를 통한 학교공동체 형
성의 가능성과 한계를 정리한 것이다. 연구진은 교사들의 전문성 성장과 동료성 형성을 위해 공
동체적 수업협의회의 원리와 구체적 접근방법을 연구학교에 제안하였다. 2년간의 연구기간 동안
B초등학교의 수업협의회는 교사의 수업기술과 교과나 수업일반에 대한 논의에서 학생의 배움과
수업의 구체적인 장면을 논의하는 공간으로, 수업에 대한 인상이나 소감발표에서 참관한 교사 자
신이 배운 점을 이야기하는 공간으로 변화되어져 왔다. 또한 이 기간 동안 교사들을 수업협의회
를 통해 동료성을 경험하였으며 반성적 실천가로 성장해 왔다. 연구진은 이 과정에서 수업협의회
를 통한 학교공동체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한계도 발견하였다. 수업협의회를 통한 학
교공동체의 가능성은 수업협의회가 학교문화의 하나로 자리 잡을 가능성, 수업협의회의 진행방식
과 논의 내용을 통한 동료성 성장, 수업협의회 경험들을 바탕으로 교실을 배움과 돌봄의 공동체
로 만들어 가려는 노력 등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한계
도 보이고 있다. 그것은 가산점과 같은 외부적 유인의 문제, 수업협의회에 대한 인식과 관행, 보
수적 교사문화, 수업대회와 같은 교사비교정책, 인사제도상의 문제 등에서 파생된 것이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The Community School
Teachers TV Teachers TVAshmead Community School, Reading
Teachers TV Teachers TVJohn Hanson Community School
Teachers TV Teachers TVSt John’s School & Community College
Teachers TV Teachers TV... in Xalapa, Mexico: The Five Standards and the School Community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