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공 전자기록의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관리 비용 모형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89360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 정보기록관리학과 , 2012. 8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025.1744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lifecycle cost model for electronic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 형태사항

        ix, 146 p. ; 26 cm.+ 1 compact disc.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영학
        한국외국어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 p.135-139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관리기관이 공공 전자기록의 생애주기 전체에 걸친 관리 책무를 다하는데 소요될 비용을 예측해 산정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공공 전자기록관리에 필요한 활동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용 요소를 설계하였다. 실제 기록관리기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에 대입해 적용하며 비용 계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설계한 비용 요소와 요인, 적용 사례 등을 종합하여 기록관리기관의 정책 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공공 전자기록의 관리 비용 모형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관리기관이 공공 전자기록의 생애주기 전체에 걸친 관리 책무를 다하는데 소요될 비용을 예측해 산정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공공 전자기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관리기관이 공공 전자기록의 생애주기 전체에 걸친 관리 책무를 다하는데 소요될 비용을 예측해 산정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공공 전자기록관리에 필요한 활동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용 요소를 설계하였다. 실제 기록관리기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에 대입해 적용하며 비용 계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설계한 비용 요소와 요인, 적용 사례 등을 종합하여 기록관리기관의 정책 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공공 전자기록의 관리 비용 모형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ims to propose a lifecycle cost model for electronic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In order to it, the study identified cost elements based on analysing public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activities, and proposed cost factors for management by applying data gathered from records centers & archives. The study employed various methods: desk research, activity analysis, a cost information survey and interviews with experts in digital preservation and records/archival management.
      Desk research presented that a standard approach to identifying costs of digital preservation is to break down the lifecycle of digital object into process based on workflow, called activity-based costing. As the study also adopted the
      approach, the goal was to build the lifecycle cost model, based on breaking down activities of electronic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in public standards of Korean government and functions of digital preservation in OAIS Reference Model, Planets and TRAC.
      Determining activities that can be mapped cost elements, those were allocated in 6 lifecycle areas. Based on these, an activity framework for electronic records and archival management in 3 stages(producer, records center, archives) has been established, then cost elements have identified.
      Applying Statistical and cost data gathered from the survey to cost elements, the study has defined likely cost factors and cost sources. Interview with experts in digital preservation and professionals involved in records & archival management in order to verify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ost model and the model proposed itself.
      Putting them all together the Cost Model for Management &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CoMMPER) was proposed. The model defined 23 cost elements in 6 areas(Creation, Ingest, Storage, Preservation, Access, Disposition).
      Cost factors and sub-costing formula were attached to each cost elements.
      The study made the first step to the cost studies i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in Korea. It is expected to update the CoMMPER model and conduct further studies. Redefining activities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and conducting case studies continuously based on the model is further required.
      번역하기

      The study aims to propose a lifecycle cost model for electronic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In order to it, the study identified cost elements based on analysing public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activities, and proposed cost factors for managem...

      The study aims to propose a lifecycle cost model for electronic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In order to it, the study identified cost elements based on analysing public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activities, and proposed cost factors for management by applying data gathered from records centers & archives. The study employed various methods: desk research, activity analysis, a cost information survey and interviews with experts in digital preservation and records/archival management.
      Desk research presented that a standard approach to identifying costs of digital preservation is to break down the lifecycle of digital object into process based on workflow, called activity-based costing. As the study also adopted the
      approach, the goal was to build the lifecycle cost model, based on breaking down activities of electronic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in public standards of Korean government and functions of digital preservation in OAIS Reference Model, Planets and TRAC.
      Determining activities that can be mapped cost elements, those were allocated in 6 lifecycle areas. Based on these, an activity framework for electronic records and archival management in 3 stages(producer, records center, archives) has been established, then cost elements have identified.
      Applying Statistical and cost data gathered from the survey to cost elements, the study has defined likely cost factors and cost sources. Interview with experts in digital preservation and professionals involved in records & archival management in order to verify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ost model and the model proposed itself.
      Putting them all together the Cost Model for Management &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CoMMPER) was proposed. The model defined 23 cost elements in 6 areas(Creation, Ingest, Storage, Preservation, Access, Disposition).
      Cost factors and sub-costing formula were attached to each cost elements.
      The study made the first step to the cost studies i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in Korea. It is expected to update the CoMMPER model and conduct further studies. Redefining activities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and conducting case studies continuously based on the model is further requi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 제2장 디지털 객체의 생애주기 관리 비용 연구 분석 9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 제2장 디지털 객체의 생애주기 관리 비용 연구 분석 9
      • 제1절 선행 연구 9
      • 제2절 LIFE 및 KRDS 분석 14
      • 1. 개요 14
      • 2. 모형 개발 방법 16
      • 3. 비용 요소 18
      • 4. 투입 자원과 비용 요인 24
      • 제3절 소결 27
      • 제3장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방법 32
      • 제1절 용어 정의 32
      • 제2절 연구 방법 34
      • 1. 문헌 연구 35
      • 2. 활동 분석 38
      • 3. 사례 데이터 수집 40
      • 4. 전문가 면담 43
      • 5. 모형 및 적용 사례 개발 47
      • 제4장 공공 전자기록의 생애주기 활동 분석 50
      • 제1절 공공표준 상의 전자기록 관리 활동 50
      • 1. 생산기관 단계 51
      • 2. 기록관 단계 53
      • 3. 보존기록관 단계 57
      • 제2절 국제 표준 및 장기보존 연구에서의 보존 활동 60
      • 1. OAIS 참조모형의 보존계획 수립 기능 60
      • 2. Planets 연구의 보존 활동 64
      • 3. TRAC의 보존 활동 66
      • 제3절 공공 전자기록의 생애주기에 따른 활동 정의 69
      • 1. 생산 영역 70
      • 2. 입수 영역 72
      • 3. 저장 영역 74
      • 4. 보존 영역 75
      • 5. 접근/이용 영역 78
      • 6. 처분 영역 80
      • 제5장 공공 전자기록의 생애주기 관리 비용 모형 개발 83
      • 제1절 모형 개발 관련 국내 공공 전자기록의 관리 실태 83
      • 1. 부적절한 생산현황 파악 84
      • 2. 문서보존포맷과 장기보존포맷 변환 86
      • 3. 미흡한 예산으로 인한 선별적 업무 수행 88
      • 4. 단계별 기록관리기관간 역할 분담 89
      • 5. 비문서형 전자기록의 관리와 보존 93
      • 제2절 공공 전자기록의 관리 비용 모형(안) 94
      • 1. 개발 원칙 94
      • 2. 비용 요소 및 요인 개발 95
      • 3. CoMMPER 모형(안) 124
      • 제6장 결론 129
      • 참고문헌 135
      • 부록 1. 피면담자(익명) 140
      • 부록 2. 기관 면담지(샘플) 141
      • 부록 3. 자원 투입 기준 142
      • 부록 4. CoMMPER 모형(안) 적용 사례 143
      • 부록 5. CoMMPER 모형(안) 적용 도구 사례(별첨) 144
      • 영문초록 14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