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새흐름)교육학 . 下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066457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국교육문화원, 1997

      • 발행연도

        199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0.76 판사항(4)

      • DDC

        370.776 판사항(19)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새흐름)교육학. 下 / 원종열, 박준영 [공]편저

      • 기타서명

        임용고시.교육전문직.대학원 및 공무원 시험 대비

      • 형태사항

        734 p. : 삽도 ; 26cm

      • 소장기관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장 교육사회학
      • 제1절 교육사회학의 기초이론 = 19
      • 1. 교육사회학의 개념 = 19
      • 2. 교육적 사회학과 교육의 사회학 = 19
      • 목차
      • 제1장 교육사회학
      • 제1절 교육사회학의 기초이론 = 19
      • 1. 교육사회학의 개념 = 19
      • 2. 교육적 사회학과 교육의 사회학 = 19
      • 3. 교육사회학의 성립과정 = 20
      • 4. 교육사회학의 선구자들 = 21
      • 5. 교육사회학의 연구동향 = 22
      • 제2절 교육에 관한 사회학적 논쟁 = 23
      • 1. 구조기능주의 이론 = 23
      • 2. 갈등이론 = 24
      • 3. 신교육사회학 = 25
      • 제3절 교육과정 사회학 = 28
      • 1. 의의 = 28
      • 2. 역사적 등장배경 = 28
      • 3. 교육과정 사회학의 주요이론 = 29
      • 제4절 문화와 교육 = 32
      • 1. 문학의 개념 = 32
      • 2. 문화변동과 교육 = 34
      • 제5절 사회화와 사회집단 = 38
      • 1. 사회화의 개념 = 38
      • 2. 사회화의 방법 = 39
      • 3. 사회화의 기관 = 39
      • 4. 사회화의 발달단계 = 40
      • 5. 사회적 학습과정으로서의 사회화 = 41
      • 6. 사회집단의 유형 및 분류 = 42
      • 7. 가정과 사회집단 = 45
      • 8. 또래집단과 교육 = 46
      • 제6절 사회계층과 교육 = 49
      • 1. 사회계층의 개념 = 49
      • 2. 사회계층의 본질 = 50
      • 3. 사회계층의 결정요인 = 51
      • 4. 사회계층에 따른 사회화 = 52
      • 5. 교육과 사회계층 = 53
      • 제7절 사회변동과 교육 = 55
      • 1. 사회변동의 개념 = 55
      • 2. 사회변동의 요인 = 55
      • 3. 사회변동에 관한 이론 = 56
      • 4. 사회변동과 교육 = 57
      • 5. 사회통제와 교육 = 58
      • 제8절 사회체제로서의 학교 = 60
      • 1. 사회체제의 의의와 기능 = 60
      • 2. 사회체제로서의 학교 = 61
      • 3. 학교의 사회적 풍토 = 64
      • 제9절 학교와 지역사회 = 67
      • 1. 지역사회 = 67
      • 2. 지역사회와 교육 = 69
      • 3. 지역사회학교 = 71
      • 4. 지역사회개발 = 75
      • 5. 산학협동 = 75
      • 6. 사회교육 = 76
      • 제10절 학교교육의 평등 = 78
      • 1. 학교교육과 사회평등 = 78
      • 2. 교육기회와 평등 = 79
      • 3. 교육불평등의 문제 = 83
      • 제11절 학교교육과 학력상승의 요인 = 85
      • 1. 학업성취의 의의 = 85
      • 2. 학력상승의 요인 = 85
      • 제12절 발전교육론 = 90
      • 1. 발전과 교육 = 90
      • 2. 발전교육의 실제 = 91
      • 3. 발전교육에 대한 평가 = 94
      • 제13절 평생교육 = 96
      • 1. 평생교육의 의의 = 96
      • 2. 평생교육의 정의 = 96
      • 3. 평생교육의 특성 = 98
      • 기본문제연구 = 99
      • 핵심예상문제 = 106
      • 제2장 생활지도
      • 제1절 생활지도의 기초개념 = 127
      • 1. 생활지도의 개념 = 127
      • 2. 생활지도의 활동 = 131
      • 제2절 생활지도의 방법 = 133
      • 1. 의의 = 133
      • 2. 표준화 검사 = 133
      • 3. 임상적 방법 = 134
      • 제3절 상담 = 139
      • 1. 상담의 개념 = 139
      • 2. 상담의 목표와 철학적 원리 = 141
      • 3. 상담관계의 형성 = 141
      • 4. 상담의 과정 = 143
      • 제4절 상담이론 = 145
      • 1. 상담이론의 개요 = 145
      • 2. 지시적 상담 = 146
      • 3. 비지시적 상담 = 148
      • 4. 절충적 상담 = 151
      • 5. 정신분석학적 상담 = 152
      • 6. 실존주의적 상담 = 156
      • 7. 인간중심 상담 = 159
      • 8. 심리교류분석 = 161
      • 9. 합리적 정의이론 = 164
      • 10. 개인구념이론 = 167
      • 11. 행동주의상담이론 = 171
      • 12. 집단상담 = 177
      • 13. 집단지도 = 181
      • 제5절 생활지도의 특수문제 = 183
      • 1. 청소년과 비행 = 183
      • 2. 대중매체의 영향 = 189
      • 3. 성교육 = 191
      • 4. 진로지도 = 193
      • 기본문제연구 = 196
      • 핵심예상문제 = 208
      • 제3장 교육평가
      • 제1절 교육평가의 의의 = 229
      • 1. 교육평가의 의의 = 229
      • 제2절 교육평가의 유형 = 237
      • 1. 목표지향적 평가와 규준지향적 평가 = 237
      • 2. 평가기준에 따른 분류 = 237
      • 3. 검사사태와 관찰사태 = 241
      • 4. 평가내용에 따른 분류 = 241
      • 5. 수업과정의 단계에 따른 분류 = 242
      • 제3절 교육평가의 과정 = 246
      • 1. 교육평가 과정의 의의 = 246
      • 2. 검사제작의 학업성취도 검사과정 = 246
      • 3. 학력검사제작의 일반적 절차 = 248
      • 제4절 블룸(Bloom)의 교육목표 분류 = 251
      • 1. 교육목표 분류의 특징 = 251
      • 2. 교육목표 분류의 내용 = 251
      • 제5절 평가도구의 특징 = 260
      • 1. 타당도 = 260
      • 2. 신뢰도 = 262
      • 3. 객관도 = 266
      • 4. 실용도 = 266
      • 제6절 검사문항의 제작 = 267
      • 1. 문항제작의 계획 = 267
      • 2. 검사의 유형 = 268
      • 3. 선택적 문항제작 = 274
      • 4. 서답형 문항제작 = 278
      • 기본문제연구 = 280
      • 핵심예상문제 = 287
      • 제4장 교육통계
      • 제1절 교육통계의 기초 = 307
      • 1. 교육통계의 의의 = 307
      • 2. 측정치 = 308
      • 제2절 빈도분포 = 310
      • 1. 빈도분포의 의의 = 310
      • 2. 급간의 설정 = 310
      • 3. 빈도분포표의 작성 = 312
      • 4. 빈도분포의 종류 = 313
      • 5. 백분위와 백분점수 = 313
      • 제3절 집중경향 = 314
      • 1. 집중경향의 개념 = 314
      • 2. 최빈치 = 314
      • 3. 중앙치 = 315
      • 4. 평균치 = 316
      • 5. 최빈치, 중앙치, 평균치간의 비교 = 318
      • 제4절 변산도 = 319
      • 1. 변산도의 특징 = 319
      • 2. 범위 = 319
      • 3. 4분편차 = 320
      • 4. 평균편차 = 321
      • 5. 표준편차 = 322
      • 6. 표준점수 = 323
      • 제5절 상관도 = 325
      • 1. 상관도 = 325
      • 2. 적률상관계수 = 326
      • 3. 등위상관계수 = 327
      • 제6절 정상분포곡선 = 328
      • 1. 정상분포의 의미 = 328
      • 2. 정상분포곡선의 설정 = 328
      • 3. 학습결과의 정상분포곡선 = 329
      • 4. 개인차를 변별하는 정상분포곡선의 형태 = 329
      • 제7절 문항의 통계적 분석 = 331
      • 1. 문항분석 = 331
      • 2. 문항곤란도 = 331
      • 3. 문항변별도 = 333
      • 4. 문항반응분포 = 335
      • 5. 추측요인의 교정 = 336
      • 제8절 가설검증 = 337
      • 1. 영가설과 대립가설 = 337
      • 2. 가설검증의 오류 = 337
      • 3. 차(差)의 검증 = 338
      • 4. CR검증 = 338
      • 기본문제연구 = 340
      • 핵심예상문제 = 348
      • 제5장 교사론
      • 제1절 교직의 개요 = 357
      • 1. 교직의 의의 = 357
      • 제2절 교사의 역할과 지위 = 359
      • 1. 교사의 역할 = 359
      • 2. 교사의 기본적 역할 = 360
      • 3. 교사의 심리적 역할 = 360
      • 4. 교사의 지위 = 361
      • 제3절 교직의 전문성 = 363
      • 1. 전문직의 개념 = 363
      • 2. 교원자격증제도 = 364
      • 제4절 교사의 양성 = 367
      • 1. 교사양성교육 = 367
      • 2. 교사교육의 방법 = 368
      • 3. 우리나라의 교사양성제도 = 370
      • 4. 외국의 교사양성제도 = 372
      • 제5절 교사의 현직교육 = 374
      • 1. 현직교육의 개념과 의미 = 374
      • 2. 우리나라의 현직교육제도 = 376
      • 3. 현직교육의 문제 및 개선방안 = 377
      • 제6절 교사의 임용 = 379
      • 1. 교사임용의 개념 = 379
      • 2. 교사임용의 채용 = 379
      • 3. 근무평정제도 = 381
      • 4. 승진제도 = 383
      • 제7절 교사의 권리와 의무 = 385
      • 1. 교사의 권리 = 385
      • 2. 교사의 의무 = 387
      • 제8절 교사와 윤리 = 389
      • 1. 교직윤리의 개념과 의의 = 389
      • 2. 교직윤리의 범위와 내용 = 389
      • 3. 교원의 윤리강령 = 391
      • 제9절 교원의 신분보장 = 396
      • 1. 신분보장의 개념 = 396
      • 2. 교원 신분보장을 위한 각종제도 = 396
      • 제10절 교직단체 = 399
      • 1. 교직단체 = 399
      • 2. 주요국의 교직단체 = 399
      • 기본문제연구 = 402
      • 핵심예상문제 = 408
      • 제6장 교육행정
      • 제1절 교육행정의 개요 = 417
      • 1. 교육행정의 정의 = 417
      • 2. 교육행정의 성격 = 418
      • 3. 교육행정의 과정 = 418
      • 4. 교육행정의 원리 = 419
      • 5. 현대 교육행정의 특징 = 421
      • 제2절 교육행정이론의 발전 = 423
      • 1. 교육행정이론의 원류 = 423
      • 2. 교육행정의 제이론 = 424
      • 3. 우리나라 교육행정학의 발달과정 = 426
      • 제3절 교육행정조직 = 427
      • 1. 조직의 개념 = 427
      • 2. 조직이론 = 428
      • 3. 조직의 형태 = 430
      • 4. 조직의 원리 = 438
      • 5. 조직 내의 인간행위론 = 442
      • 제4절 우리나라의 교육행정조직 = 559
      • 1. 중앙행정조직의 체계 = 448
      • 2. 지방교육행정조직 = 449
      • 제5절 인사행정 = 451
      • 1. 인사행정의 개념 = 451
      • 2. 교육직원의 선발과 임용 = 453
      • 3. 교육직원의 교육과 평정 = 460
      • 4. 교육직원의 근무조건 = 462
      • 제6절 교육재정 = 467
      • 1. 교육재정의 개념 = 467
      • 2. 교육재정의 원리 = 468
      • 3. 교육경비 수업의 분류 = 468
      • 4. 교육재정의 재원 = 469
      • 5. 교육예산 = 471
      • 제7절 교육정책론 = 476
      • 1. 교육정책의 의의 = 476
      • 2. 교육정책의 과정 = 479
      • 3. 교육정책과정의 참여자 = 481
      • 4. 정책형성이론 = 482
      • 제8절 장학론 = 485
      • 1. 교육내용 행정 = 485
      • 2. 장학행정 = 489
      • 제9절 교육지도성 이론 = 496
      • 1. 지도성의 의의 = 496
      • 2. 지도성에 관한 이론 = 498
      • 3. 교육지도성 = 507
      • 기본문제연구 = 508
      • 핵심예상문제 = 519
      • 제7장 학교경영
      • 제1절 학교경영의 개요 = 535
      • 1. 학교경영의 개념 = 535
      • 2. 학교경영과 유사개념의 비교 = 536
      • 3. 학교경영의 영역 = 537
      • 제2절 학교경영의 목표와 본질 = 539
      • 1. 학교경영의 목표 = 539
      • 2. 학교경영의 성과 = 540
      • 3. 학교경영의 본질 = 541
      • 4. 목표지향의 학교경영 = 541
      • 제3절 학교경영의 조직 = 543
      • 1. 조직의 개요 = 543
      • 2. 학교운영의 조직 = 543
      • 3. 교수·학습조직 = 545
      • 4. 교무분장조직 = 545
      • 5. 조직건강과 조직발전 = 546
      • 제4절 조직구성원의 동기유발 = 548
      • 1. 동기유발의 개념 = 548
      • 2. 동기유발과 조직의 효과성 = 548
      • 3. 효과성을 향상하기 위한 동기유발 = 550
      • 제5절 학교경영의 과업 = 552
      • 1. 학교교육목표의 수립 = 552
      • 2. 학생관리 = 553
      • 3. 시설·재정·사무관리 = 554
      • 4. 지역사회 관계관리 = 561
      • 제6절 학교경영과 학교장의 역할 = 562
      • 1. 학교장의 기능 및 역할 = 562
      • 2. 학교장의 지도성 = 562
      • 3. 학교장에 대한 역할기대 = 563
      • 제7절 학교경영의 개요 = 565
      • 1. 학급경영의 의의 = 565
      • 2. 학급의 편성 = 566
      • 기본문제연구 = 568
      • 핵심예상문제 = 580
      • 제8장 교육법규
      • 제1절 교육법규의 성격 = 593
      • 1. 교육법규의 구조적 성격 = 593
      • 2. 교육법규의 법원 = 594
      • 제2절 교육의 목적 = 597
      • 1. 교육목적의 개요 = 597
      • 2. 우리나라의 교육목적 = 597
      • 제3절 교육행정조직 = 600
      • 1. 중앙교육 행정조직의 체계 = 600
      • 2. 지방교육 행정조직 = 601
      • 제4절 교육인사에 관한 규정 = 604
      • 1. 교육인사행정의 담당기구 = 604
      • 2. 교육직원의 선발과 임용 = 606
      • 3. 채용 = 606
      • 4. 승진과 전보 및 전직 = 608
      • 5. 교육직원의 교육과 연수 = 609
      • 6. 교원의 근무성적 평정 = 611
      • 7. 휴직에 관한 규정 = 612
      • 8. 교원의 포상에 관한 규정 = 613
      • 제5절 사립학교 교원과 관련된 규정 = 615
      • 1. 사립학교 교원의 성격 = 615
      • 2. 임용제도 = 616
      • 3. 복무 = 617
      • 4. 신분보장 = 619
      • 기본문제연구 = 622
      • 핵심예상문제 = 624
      • 부록
      • 교육법 = 629
      • 교육법시행령 = 642
      • 교육공무원법 = 666
      • 교육공무원임용령 = 675
      • 지방교육자치에관한법률 = 683
      • 지방교육자치에관한법률시행령 = 691
      • 新교육체제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Ⅱ) = 695
      • 초·중등 종합생활기록부 관리지침 = 701
      • 최근기출문제분석 = 7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