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심 저층 공동주거의 공유공간의 적용과 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Type of Common Spaces of Urban Low-rise Housing Complex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16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paces in which people live can be classified as public, private, and common, each with features of semi-public and semi-private milieus. This study identifies how the spatial structure of common spaces of urban low-rise housing complexes can miti...

      The spaces in which people live can be classified as public, private, and common, each with features of semi-public and semi-private milieus. This study identifies how the spatial structure of common spaces of urban low-rise housing complexes can mitigate many social problems by acting as a community center in order to improve civic quality of life, social communication, and social bonds. In other words, the common space acts as a transition space between private and public spaces. With respect to the common spaces in urban low-rise housing complexes, residents often exhibit a feeling of ownership as they define their own boundaries. In terms of planning the common space, the aspects of spatial utilization and construction complexity seem to endow these spaces with a publicness as an interface for social communication. Importantly, spatial utilization includes accessibility, comfort, and functionality, while space construction can create openness, connectivity, enclosure, and unity. Applying these concepts to housing complexes can create extended spaces, continuity of mediating process, changed perception of boundaries, and organic interconnectivity. Implementing such a common space may enable neighbors to share ownership through colonization of the common area and create a residential community through natural interactions. The common space is expected to be a solution for social problems characteristic of urban liv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항섭, "현대건축의 전이공간에 관한 연구 - 공간과 공간의 사이영역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1 (11): 29-41, 2012

      2 서유진, "현대 고층 집합주거 건축물의 내부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공유공간 구축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7

      3 이민석, "해외 집합주택의 공유공간 계획특성 연구 - 유럽, 일본, 중미지역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174-182, 2013

      4 김길순, "집합주거 설정되는 매개영역의 계획수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0

      5 김다희, "집합주거 내 커뮤니티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연구 -POE를 이용한 거주자 평가를 기초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7 (7): 63-74, 2012

      6 신지원, "집합주거 내 공유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사성과 공성의 경계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4

      7 이용규, "영역적 공간인식에 근거하는 가변형 공간의 거주실험"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46) : 137-144, 2014

      8 조성희, "영역성 측면에서 공동주택 커뮤니티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2 (22): 57-64, 2011

      9 조민정, "수직적 도시 공동주거 커뮤니티에 적용된 공유공간의 계획특성 연구 -단위세대 경계부와 주거동 내부 및 경계부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1 (11): 55-67, 2011

      10 박정은, "사회통합형 공동주택 개발을 위한 공유공간의 디자인요소 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11-21, 2010

      1 박항섭, "현대건축의 전이공간에 관한 연구 - 공간과 공간의 사이영역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1 (11): 29-41, 2012

      2 서유진, "현대 고층 집합주거 건축물의 내부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공유공간 구축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7

      3 이민석, "해외 집합주택의 공유공간 계획특성 연구 - 유럽, 일본, 중미지역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174-182, 2013

      4 김길순, "집합주거 설정되는 매개영역의 계획수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0

      5 김다희, "집합주거 내 커뮤니티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연구 -POE를 이용한 거주자 평가를 기초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7 (7): 63-74, 2012

      6 신지원, "집합주거 내 공유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사성과 공성의 경계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4

      7 이용규, "영역적 공간인식에 근거하는 가변형 공간의 거주실험"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46) : 137-144, 2014

      8 조성희, "영역성 측면에서 공동주택 커뮤니티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2 (22): 57-64, 2011

      9 조민정, "수직적 도시 공동주거 커뮤니티에 적용된 공유공간의 계획특성 연구 -단위세대 경계부와 주거동 내부 및 경계부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1 (11): 55-67, 2011

      10 박정은, "사회통합형 공동주택 개발을 위한 공유공간의 디자인요소 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11-21, 2010

      11 김진모, "대학주변의 대체 주거시설로서의 기숙사형 주택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37) : 47-54, 2012

      12 최현철, "공동주거의 커뮤니티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소규모 계획공동체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9 (9): 95-106,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40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