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종합병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간호전문직관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67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investigative study to identify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nd nursing professionals of general hospital nurses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The subjects of thi...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investigative study to identify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nd nursing professionals of general hospital nurses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es with more than a year of experience working at two general hospitals with 300 to 500 beds in Gyeonggi-do, and 145 people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analyzed a total of 132 people, excluding 13 insufficient respon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seven days from December 1, 2020 to December 7, 2020.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is a tool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won Seon-ju (2003) on Lee Young-sook (1990)'s ethical values questionnaire, Nursing professionals are tools developed by Yoon Eun-ja and others (2005), Th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was developed by Nolan and Bruder (1997) and developed, The same author used a tool translated by Lee Min-hye and Park Yeon-hwan (2014) for the Advance Directives Attitude Survey (ADAS), whic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200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5 statistics program a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ction Coefficients, and entermethod Multiple Line Regi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are 99.2% for women, 59.8% for those in their 20s, 80.3% for unmarried people, 56.1% for 'no' for religion, 77.3% for four-year or more, 81.1% for general nurses, 34.1% of the total work experience "more than 3 years and less than 7 years, 35.6% of the current department's experience in "more than 4 years", 48.5% of the internal medicine ward in the work department and 94.7% of the terminally ill patients' nursing experience.
      2.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of the study subjects averaged 2.85 ± 0.25 out of 4. In the sub-region, the right to life of a newborn is 3.10±0.51 points, organ transplant 3.07±0.38 points, fetal life rights 3.00±0.65 points, fetal diagnosis is 2.94±0.42 points, artificial insemination of 2.81±0.52 points, euthanasia of 2.76±0.40 points, human biotechnology of 2.76±0.34 points, artificial abortion with 2.60 ± 0.46 and brain death with 2.59 ± 0.29. The nursing professionals in the study averaged 2.80 ± 0.30 out of 5. In the sub-region, professional self-concepts 3.71±0.53 point, nurse trade 3.70±0.62 points, social perception 2.28±0.41 points, the identity of nursing 2.23±0.67 points, and professionalism in nursing 2.08±0.34 points. The attitude of the study subjects to advance directives was 2.86 ± 0.28 out of an average of 4.

      3.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were found in age, marital status, religion, and total work experi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nursing professional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were shown by age, work department, and end-of-life care experience.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nursing professionals, and advance directives of the study subjects, the attitudes of nursing professionals and advance directives showed significant definition correlation.

      5. In order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dvance directives of the study subjects, inp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age, work department, term patient nursing experienc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nd nursing professional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ttitude of advance directives were surgical ward and nursing professionals, nurses working in surgical ward, and nursing professionals, the higher the attitude of advance directive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a high level of nursing professionals can lead to a positiv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Improved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by nurses will give patients and guardians the opportunity to get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deaths of them and their families and make positive choices. It is also believed that nurses who treat patients and caregivers will be able to provide high-quality care with a proper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간호전문직관을 파악하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간호전문직관을 파악하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1년 이상 경력을 가진 간호사로,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145명 중 불충분한 응답자 13명을 제외한 총 132명을 대상으로 임의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은 2020년 12월 01일부터 2020년 12월 07일까지로 총 7일간 시행하였다.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이영숙(1990)의 윤리적인 가치관 도구를 권선주가(2003) 수정·보완한 도구를,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등(2005)이 개발한 도구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Nolan과 Bruder(1997)가 개발하고, 동일한 저자가 2003년 수정·보완한 Advance Directives Attitude Survey(ADAS)를 이혜림와 박연환(2014)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enter method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자가 99.2%였으며, 연령은 20대가 59.8%로 가장 많았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80.3%, 종교는 ‘없다’가 56.1%, 최종학력은 ‘4년제 이상’이 77.3%,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81.1%로 많았으며, 총근무경력은 ‘3년 이상 7년 미만’이 34.1%, 현부서경력은 ‘4년 이상’이 35.6%, 근무부서는 내과계 병동이 48.5%으로 높았으며, 말기환자 간호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94.7%였다.

      2. 연구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은 4점 만점에 평균 2.85점이었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신생아의 생명권 3.10점, 장기이식 3.07점, 태아의 생명권 3.00점, 태아진단 2.94점, 인공수정 2.81점, 안락사 2.76점, 인간생명공학 2.76점, 인공임신중절 2.60점, 뇌사 2.59점의 순이었다.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평균 2.80점이었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전문직 자아개념 3.71점, 간호실무역할 3.70점, 사회적 인식 2.28점, 간호의 독자성 2.23점, 간호의 전문성 2.08점의 순이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86점이었다.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은 연령, 결혼상태, 종교, 총 근무경력이었으며, 간호전문직관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일반적 특성은 없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일반적 특성은 연령, 근무부서, 말기환자 간호경험유무였다.

      4. 연구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 간호전문직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전문직관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연구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적 특성 중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연령, 근무부서, 말기환자 간호경험유무와 생명의료윤리의식, 간호전문직관을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무부서 중 외과계, 간호전문직관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니었으며, 내과계 근무하는 간호사보다는 외과계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일수록, 간호전문직관이 높을수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를 통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한 환자 및 가족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윤리적, 질적 간호 제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용어의 정의 5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용어의 정의 5
      • Ⅱ. 문헌고찰 7
      • 1. 생명의료윤리의식 7
      • 2. 간호전문직관 10
      • 3.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13
      • Ⅲ. 연구방법 18
      • 1. 연구설계 18
      • 2. 연구대상 18
      • 3. 연구도구 19
      • 4. 자료수집방법 21
      • 5. 자료분석방법 21
      • 6. 윤리적 고려 22
      • Ⅳ. 연구결과 23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3
      • 2. 연구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 간호전문직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 대한 태도 25
      •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 간호전문직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의 차이 38
      • 4. 연구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 간호전문직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 대한 태도 간의 상관관계 49
      • 5. 연구대상자의 생명의료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 영향요인 50
      • Ⅴ. 논 의 52
      • Ⅵ. 결론 및 제언 58
      • 참고문헌 62
      • ABSTRACT 71
      • 부록 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