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원 준고령 학습자의 경험을 활용한 학습 과정 탐색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cess of the Learning Using Experiences of Pre-Older Adults in a Graduate School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025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준고령자들이 대학원에 와서 학습을 하면서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50세- 59세 사이에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 입학하여 수학�...

      본 연구는 준고령자들이 대학원에 와서 학습을 하면서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50세- 59세 사이에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 입학하여 수학한 경험이 있는 준고령자 5명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 면접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들과 심층 면접한 자료들을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자료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여 127개의 개념과 31개의 하위범주, 11개의 상위 범주로 코딩하였다. 연구 결과 패러다임 모형에서는 ``학습의 어려움``, ``학습 과정의 의미 있음``의 인과적 조건을 통해 중심현상인 ``자아와의 조우``가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 미친 맥락적 조건은 ``객관적 경험``, ``주관적 경험``으로 나타났고, 중심현상에 대한 중재 조건은 ``짐이 되는 경험``, ``힘이되는 경험``으로 나타났으며, 중심 현상에 대한 상호작용 전략은 ``문제해결``, ``정체성 정립``, ``미래 계획``이며, 그 결과로 ``긍정적 방어기제 개발``, ``자아관의 변화``, ``새로운 환경 구성``이 도출되었다. 대학원 준고령자의 학습과정에서 경험을 활용한 학습 과정의 핵심 범주는 ``경험의 발견과 자아의 재구성``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the learning using experiences of pre-older adults in a graduate school program. For this study, the date was collected from in depth interview with fiv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the course of graduate school age ...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the learning using experiences of pre-older adults in a graduate school program. For this study, the date was collected from in depth interview with fiv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the course of graduate school age 55 and over for the degree of master and doctor. According to the method of groun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 the data was analyzed. And then the concepts of 160 and the 32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were fou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ed: The central phenomenon was ``self encounter``. Participants must adapt and respond to the new environment in Graduate school and were exposed to difficult and meaningful tasks. For overcoming the tasks, learners reflect and take advantage of their experience. And in this process they encounter themselves constantly. the experience is the power and the burden simultaneously for older adults learners. However, because they know how to manage the experience through the past experience, they solve the problems, establish their identities and envision their futures and proceed the process of learning. As a result, they create a new defence mechanism, and produce a new view of themselves and envision a new environ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일주,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대비를 위한 정책 방향:국가인적자원개발측면에서" 한국노인복지학회 (42) : 151-174, 2008

      2 방하남,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0

      3 백영의, "직업교육에 참여한 준고령 여성들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4 김향식,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5 기영화, "성인학습론" 학지사 2009

      6 최민성, "성인의 학습과정에 관한 연구: 전문대학 재입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7 이기연, "성인여성의 학습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방송대 주부학생의 사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8 민선향, "성인들의 배움에 관한 연구: 학위과정 참여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9 정은희, "성인대학원생의 학습과 변화"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5

      10 이슬기, "성인 학습자의 학습 갈등에 관한 연구: 학위 과정 참여자의 갈등 인식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 나일주,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대비를 위한 정책 방향:국가인적자원개발측면에서" 한국노인복지학회 (42) : 151-174, 2008

      2 방하남,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0

      3 백영의, "직업교육에 참여한 준고령 여성들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4 김향식,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5 기영화, "성인학습론" 학지사 2009

      6 최민성, "성인의 학습과정에 관한 연구: 전문대학 재입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7 이기연, "성인여성의 학습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방송대 주부학생의 사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8 민선향, "성인들의 배움에 관한 연구: 학위과정 참여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9 정은희, "성인대학원생의 학습과 변화"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5

      10 이슬기, "성인 학습자의 학습 갈등에 관한 연구: 학위 과정 참여자의 갈등 인식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1 김한별, "성인 경험학습의 이해: 이론과 실제"

      12 함인희, "베이비붐세대의 문와와 세대경험, 한국의 문화변동과 가치관" 나남출판사 215-248, 2002

      13 김미령, "베이비붐세대, X세대, 준고령세대 여성의 삶의 질 구성요소 비교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1 (51): 7-34, 2011

      14 정경희, "베이비 부머의 생활 실태 및 복지 욕구"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2010

      15 이정희, "만학도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89-116, 2007

      16 이지혜, "만학 성인의 생애경험에서 형식교육의 의미" 한국교육학회 44 (44): 115-142, 2006

      17 이경희, "노인의 학습경험에서 도출한 노인완성학습으로서의 노인학습 개념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1-29, 2009

      18 이경아, "기업체 성인학습자의 학습양식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19 방하남, "구고령화와 노동시장 변화와 노동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5

      20 "교육통계서비스"

      21 김지자, "경험학습의 개념 및 이론과 발전방향" 7 (7): 1-18, 2001

      22 Dewey, J., "경험과 교육" 문음사 2002

      23 Jarvis, P., "Trends in Education and Gerontology" 16 : 401-410, 1990

      24 Illeris, K., "Transformative learning in the perspective of a comprehensive learning theory" 2 (2): 79-89, 2004

      25 Illeris, K., "Three dimensions of learning" Rosklde University Press 2002

      26 Knowles, M. S., "The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 From pedagogy to andragogy" Cambrige Books 1980

      27 Lindeman, E. C., "The meaning of adult education" 문음사 1995

      28 Lindeman, E. C., "The meaning of adult education" Harvest House 1961

      29 Knowles, M. S., "The making of an adult educator: An autobiographical journey" Jossey-Bass 1989

      30 Jarvis, P., "Paradoxes of learning: On becoming an individual in society" Jossey-Bass 1992

      31 Metlife Foundation, "New face of work survey" Metlife Foundation & Civic Ventures 2005

      32 Fenwick, T., "Learning through experience: Troubling orthodoxies and intersection questions" Krieger 2003

      33 현영섭, "Kolb 경험학습 모형을 적용한 기업교육 학습 전이 모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34 Kegan, R., "In over our heads: The mental demands of modern lif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4

      35 Benes, F. M., "Human brain growth spans decades" 155 : 1489-, 1998

      36 Yankelovich, D., "Ferment and change in higher education" 6 : 2005

      37 Kolb, D. A.,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Prentice Hall 1984

      38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2008

      39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현문사 2009

      40 Vaillant, G. E., "Aging well: surprising guidences to a happier life from landmark harvard study of adult development" Little, Brown and Company 2002

      41 Jarvis, P., "Adult learning in social context" Croom Helm 1987

      42 Usher, R., "Adult education and post modern challenge: Learning beyond the limits" Routledge 1997

      43 통계청, "2010년도 고령자 통계" 2011

      44 정경희, "2009년도 복지서비스 변화와 전망" 보건사회 연구원 2009

      45 "2009년 생명표" 통계청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1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력개발연구 -> HRD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 2.1 2.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8 2.1 3.561 0.6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