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양지원과 세대 갈등 = Intergenerational Caregiving and Conflict between Daughters/Daughters-in-law and their Elderly Parents/Parents-in-la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856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혼여성과 노부모 간 부양지원 모습과 세대 갈등의 연관성이 딸과 친정부모 관계 그리고 며느리와 시부모 관계에서 어떻게 유사하고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또한 세대 간 갈등관...

      본 연구는 기혼여성과 노부모 간 부양지원 모습과 세대 갈등의 연관성이 딸과 친정부모 관계 그리고 며느리와 시부모 관계에서 어떻게 유사하고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또한 세대 간 갈등관계를 결정하는 메커니즘이 동거/비동거에 따라 어떻게 유사하고 상이한지에 주목하였다. 한국 여성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여성가족패널조사〉 1-2차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다변량 회귀분석과 T-검증 및 Chi-검증 그리고 빈도분석 등을 통해 관찰과 분석이 이루어졌다. 세대 간 동거는 노부모든 성인자녀든 어느 한편 혹은 양편 모두의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행해진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을 가능성이 여러 변수들에서 발견되었다. 시부모와 친정부모를 막론하고 동거하는 경우에 갈등수준이 높지만, 며느리와 시부모 간의 관계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특히 성인자녀의 필요보다 시부모의 필요에 의해 동거부양이 이루어질 경우 그리고 시부모와 대화를 하지 않는 경우보다 대화를 하는 관계에서 오히려 높은 갈등수준이 관찰되었다. 반면에 비동거 며느리/딸이 취업을 해서 접촉기회가 적은 경우에는 세대 갈등이 덜하다. 이처럼 세대 간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갈등 또한 증가하는 것은, 친족 간 상호작용이 배태하는 부작용, 즉 서로의 삶에 대한 관여 및 간섭과 충돌 그리고 저항에 기인한다. 한편 노부모부양과 관련하여 형제들과 협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세대 간 갈등수준이 낮아서, 성별이나 출생순위에 관계없이 모든 성인자녀들 간 부양협력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친정부모보다 시부모와의 관계에서 갈등이 더 많이 발생한다는 결과는, 우리 사회 역시 며느리보다 딸에 의한 부양이 더 순조로워서 점차 부양의 무게중심이 딸/사위에게로 옮겨가게 될 가능성이 높음을 예측하게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observes and compares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of daughters-in-law with the parents-in-law and that of daughters with their own parents. It also compares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the conflict according to the living arrangement...

      This study observes and compares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of daughters-in-law with the parents-in-law and that of daughters with their own parents. It also compares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the conflict according to the living arrangements of the two generations - living together or living apart. Analysed is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1st & 2nd wave, collected by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e analysis was made based on the multiple regression, t-test, chi-square test, and frequency analysis. The level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is higher when both generation live together in a house than when they live apart. The level of conflict is higher when the decision for co-residence is made for meeting the demand of parents-in-law. The level of conflict increases in the presence of intergenerational conversation, and the tendency is more consistent in the relationship of the daughters-in-law with the parents-in-law. It may be due to the downside effects of the interaction itself - the elderly's frequent interference into the other's domain or vice versa. The level of conflict is reduced when the daughter/ daughter-in-law living apart is employed. It is because the employment reduces the chance of intergenerational contact. On the other hand, siblings' cooperation for the elderly caregiving reduces the level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Overall, conflict occurs more frequently between daughters-in-law and parents-in-law than between the daughters and their own parents. It signifies that the caregiving tends to be done more smoothly by daughters than by daughters-in-law.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role of the primary caregiver is gradually moving from daughters-in-law/son to daughters/sons-in-la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