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란치스코 교황의 회칙 『찬미받으소서』와 라틴아메리카의 부엔 비비르(Buen Vivir) 담론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Pope Francis’s Encyclical Laudato Si and the discourse of Good Living in Latin Americ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14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first examine the core content of Pope Francis’s Encyclical Laudato Si compared to the discourse of Good Living. Laudato Si refers to the ‘Great Character’, containing the Catholic Church’s ecological concept and discour...

      This paper attempts to first examine the core content of Pope Francis’s Encyclical Laudato Si compared to the discourse of Good Living. Laudato Si refers to the ‘Great Character’, containing the Catholic Church’s ecological concept and discourse, while the discourse of ‘Good Living’ is practiced by Andes and Amazon natives in Latin America. The principles of the two discourses will be investigated with their foundations and directions. This paper is secondly aimed to look into and clarify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iscourses. Both the discourses similarly reflect upon the ecological crisis and social inequality, relying on the core principles of community and relationality. The Encyclical supports a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y to deal with the ecological crisis and the problem of inequality and yet insists on breaking away from the paradigm of anthropocentrism, barbaric neoliberalism, and technological domination. However, The Encyclical remarkably differs from the discourse of ‘Good Living’, which insists on post-capitalism and has a tendency of the discourse of de-grow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가톨릭교회의 생태 사상이자 담론의 집약체인 프란치스코 교황의 회칙 「찬미받으소서」와 라틴아메리카 안데스·아마존 원주민들이 제안한 부엔 비...

      이 논문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가톨릭교회의 생태 사상이자 담론의 집약체인 프란치스코 교황의 회칙 「찬미받으소서」와 라틴아메리카 안데스·아마존 원주민들이 제안한 부엔 비비르 담론의 핵심 내용이 무엇인지 검토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두 노선의 기본 토대인 원리들과 그 지향점에 대해 살펴보는 것도 포함된다. 둘째는 두 담론의 유사점을 살펴보고 차이점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이 두 담론은 생태위기와 사회적 불평등을 연계시켜 성찰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모두 핵심원리로 공동체성, 관계성을 토대로 하고 있다는 점도 유사하다. 회칙은 생태위기와 불평등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지속가능한 발전 정책을 지지하지만, 인간중심주의, 야만적 신자유주의와 기술 지배 패러다임에서의 탈피를 주장한다. 반면, 부엔 비비르 담론은 탈자본주의를 주장하고 탈성장 담론의 색깔을 보인다는 차이점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동훈, "회칙『찬미받으소서』의 역사적 기원과 의의" 42 : 189-218, 2018

      2 전현호, "회칙『찬미받으소서』와 현실 진단" 9 (9): 42-47, 2016

      3 황창희, "회칙『찬미받으소서(Laudato sí)』의 사회교리적 차원 –생태위기와 통합생태론을 중심으로" 42 : 63-88, 2018

      4 백종원, "통합 생태론을 위한 조직신학적 성찰 – 회칙 『찬미받으소서』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2017

      5 심종혁, "토마스 베리의 생태신학 소고" 7 : 1-20, 2005

      6 세르쥬 라투슈, "탈성장 사회. 소비사회로부터의 탈출" 오래된 생각 2014

      7 프란치스코 교황, "찬미받으소서"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5

      8 조희문, "중남미에서의 자연권에 관한 이론과 실제" 법학연구소 44 (44): 443-469, 2020

      9 월터 미뇰로, "좌파로의 전환인가 탈식민적 전환인가? 볼리비아의 에보모랄레스" (3) : 11-23, 2008

      10 Davalos, Pablo, "저자와의 인터뷰, Euador Quito, 2019, 7월 27일"

      1 장동훈, "회칙『찬미받으소서』의 역사적 기원과 의의" 42 : 189-218, 2018

      2 전현호, "회칙『찬미받으소서』와 현실 진단" 9 (9): 42-47, 2016

      3 황창희, "회칙『찬미받으소서(Laudato sí)』의 사회교리적 차원 –생태위기와 통합생태론을 중심으로" 42 : 63-88, 2018

      4 백종원, "통합 생태론을 위한 조직신학적 성찰 – 회칙 『찬미받으소서』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2017

      5 심종혁, "토마스 베리의 생태신학 소고" 7 : 1-20, 2005

      6 세르쥬 라투슈, "탈성장 사회. 소비사회로부터의 탈출" 오래된 생각 2014

      7 프란치스코 교황, "찬미받으소서"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5

      8 조희문, "중남미에서의 자연권에 관한 이론과 실제" 법학연구소 44 (44): 443-469, 2020

      9 월터 미뇰로, "좌파로의 전환인가 탈식민적 전환인가? 볼리비아의 에보모랄레스" (3) : 11-23, 2008

      10 Davalos, Pablo, "저자와의 인터뷰, Euador Quito, 2019, 7월 27일"

      11 Acosta, Alberto, "저자와의 인터뷰, Ecuador Quito, 2019. 7월 29일"

      12 Pérez, Yaku, "저자와의 인터뷰, Ecuador Cuenca, 2019, 7월 31일"

      13 조영현, "인종과 불평등. 라틴아메리카 인종차별에 대한 역사구조적 고찰" 알렙 2020

      14 최광선, "인간의 행복과 지구의 건강을 위한 생태영성 탐구: 『찬미받으소서』에 대한 신학적 성찰" 신학연구소 (192) : 124-152, 2016

      15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수탈된 대지" 범우사 1999

      16 대니얼 카스티요, "생태해방신학: 구원과 정치적 생태론" 한국기독교연구소 2021

      17 레오나르도 보프, "생태신학" 가톨릭출판사 1996

      18 김달관, "볼리비아의 탈식민적 국가개혁: 다문화성에서 다국민성으로" 중남미연구소 34 (34): 75-116, 2015

      19 라몬 그로스포겔, "목소리 없는 자들의 목소리: 대중의 소수화" 그린비 60-81, 2008

      20 조영현, "라틴아메리카의 미래. 소통과 연대 I" 한울아카데미 113-159, 2018

      21 김기현, "라틴아메리카 경제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11

      22 오형훈, "기후변화 극복을 위한 ‘파리협정’과 회칙 『찬미받으소서』 :비교와 통합적 제안" 가톨릭대학교 2020

      23 토마스 베리, "그리스도교 미래와 지구의 운명" 바오로딸 2011

      24 요한 23세 교황, "교회와사회"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60-240, 1994

      25 방종우, "개인의 존재 안에서의 공동체성과 타자성: 프란치스코 교황의 회칙 '모든 형제들'을 중심으로" 신학연구소 (214) : 96-130, 2021

      26 White Jr, L., "The historial Roots of Our Ecological Crisis" 155 (155): 1203-1207, 1967

      27 Muñoz, María, "Sustentabilidad desde abajo:lucas desde el género y la etnicidad" CLACSO 93-122, 2019

      28 Cruz Esquivel, J., "Religión, medioambiente y desarrollo sustentable. La integridad en la cosmología católica" 60 : 72-86, 2017

      29 Girardi, G., "Pueblos indígenas, ecologismo político y religión" 125 : 125-137, 2014

      30 Ocles, A., "Plurinacionalidad Democracia en la diversidad" Abya-Yala 115-124, 2009

      31 Quijano, A., "Plurinacionalidad Democracia en la diversidad" Abya yala 107-114, 2009

      32 Robles, H. Juan Carlos, "Los pueblos originarios y el reto de hacer vida Laudato si"

      33 Acosta, A., "La natualeza con derechos. De la filosofía a la política" Abya-Yala 317-368, 2011

      34 Gudynas, E., "La dimensión ecológica del buen vivir : entre el fantasma de la modernidad y el desafío biocéntrico" 4 : 49-54, 2009

      35 조영현, "La descolonialidad y el Sumak Kawsay en Euador"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4 (24): 37-63, 2013

      36 Walsh, C., "Interculturalidad, Estado, Sociedad. Luchas (de)coloniales de nuestra época" Ediciones ABYA-YALA 2009

      37 Mora, E. A, "Interculturalidad y Diversidad" Corporación Editora Nacional, Universidad Andina Simón Bolívar 33-74, 2011

      38 Estermann, J., "Filosofía andina. Estudios intercultural de la sabiduria antóctona andina" Ediciones Abya-Yala 1998

      39 Baez, Michelle, "Extractivism vs. Buen Vivir in Ecuador"

      40 Olvera, R., "Estudios de los procesos interculturales: Comunidad, redes, construcciones mediáticas, experiencias organizativas, procesos de construcción y humanismo" EUMED 95-109, 2011

      41 Acosta, A., "El buen vivir en el camino del post-desarrollo. Una lectura desde la Costitución de Montecristi" Friedrichi Ebert Stiftung 2010

      42 Macas, Luis, "El Sumak Kawsay. in Weber Gabriela(Coord). Debates sobre cooperación y modelos de desarrollo. Perspectivas desde la sociedad civil en el Ecuador" CIUDAD 2011

      43 Lander, E., "El Buen Vivir Una vía para el desarrollo" Abya-yala 31-38, 2009

      44 Acosta, A., "El Buen Vivir Una vía para el desarrollo" Abya-yala 19-30, 2009

      45 Almeida, E., "Ecuador : Estado Uninacional o Plurinacional. Análisis ético-político de la refundación de la nación" Autoedición 2011

      46 Estermann, J., "Ecosofía andina: Un paradigma alternativo de convivencia cósmica y de Vivir Bien" 2 (2): 2013

      47 Toso, Mario, "Doctrina social hoy" IMDOSOC 1998

      48 Kerber, G., "De la ecología integral a la ecología profunda? Una mirada crítica" 42 : 62-68, 2020

      49 Asamblea Nacional de Ecuador, "Constitución Política de la República del Ecuador" CEP 2008

      50 Manuel C. J., "Buen Vivir frente al (neo)extractivismo: Alternativas desde los territorios" 2020

      51 김윤경, "1980∼1990년대 에콰도르의 원주민 운동 -CONAIE의 “상호문화성”과 “복수국민”-" 한국서양사학회 (107) : 201-233,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3-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 중남미연구소 KCI등재
      2009-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남미연구소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2 0.2 0.45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