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太王敎造” : 4~5세기 고구려 銘文 器物 재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456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현전하는 4~5세기 고구려 銘文 器物에 대한 시론적 재검토를 진행하였다. 우선, 태왕릉 출토 銅鈴에 대해, 명문 第7字 판독문제를 검토하여 ‘巫’자가 아닌 ‘敎’자에 가까운 ...

      이 글에서는 현전하는 4~5세기 고구려 銘文 器物에 대한 시론적 재검토를 진행하였다. 우선, 태왕릉 출토 銅鈴에 대해, 명문 第7字 판독문제를 검토하여 ‘巫’자가 아닌 ‘敎’자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 유물의 형태학적인 측면에 주목해 發聲 기물로서의 기능에 의문을 제기하고, 여러 비교 자료를 통해 權衡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서봉총 銀盒杅 명문에서는 ‘太歲在’라는 太歲紀年法의 잔재가 남아 있는 기년법에 주목해 그 제작연대를 검토하고, 또 기물의 형태 그리고 “太王 + 敎造 + 기물 + 숫자” 라는 명문 형식과 중국 도량형 기물 명문을 비교함으로써 容量일 가능성을 추측해 보았다. 이어서 호우총에서 출토된 壺杅 명문 역시 “제작 시점 + 제작주체 및 제작물 + 숫자”라는 구조로 되어 있다는 점을 근거로 도량형 기능을 한 기물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이 같은 고구려 도량형 기물 제작과 그것이 신라지역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에 대해 광개토왕 시기 강력해진 왕권의 주도하에 국가 통합의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고, 그 일환으로 도량형과 관련된 다양한 기물이 제작되어 국내에 배포되었을 뿐만 아니라, 4~5세기 고구려의 강력한 정치적 영향력에 힘입어 주변지역으로 확산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太王陵 銅鈴
      • Ⅲ. 瑞鳳塚 銀盒杅
      • Ⅳ. 壺杅塚 壺杅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太王陵 銅鈴
      • Ⅲ. 瑞鳳塚 銀盒杅
      • Ⅳ. 壺杅塚 壺杅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中文抄錄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성, "호우총의 구조 복원과 피장자 검토" 한국고대학회 (24) : 445-469, 2006

      2 李弘稙, "최현배선생환갑기념논문집" 1954

      3 조법종, "중국 집안박물관 호태왕명문 방울" 한국고대사학회 33 : 369-380, 2004

      4 朴晉煜, "신라 무덤의 편년에 대하여" 1964

      5 徐榮洙,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38 : 2006

      6 조우연, "고구려의 왕실조상제사-4∼5세기 ‘始祖 朱蒙’의 위상과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60) : 36-73, 2010

      7 조우연, "고구려의 社稷祭祀" 동아시아고대학회 (29) : 197-232, 2012

      8 정호섭, "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9 張福有, "高句麗王陵統鑒" 香港亞洲出版社 2007

      10 東潮, "高句麗王陵と巨大積石冢-國內城時代の陵園制" (199·200) : 2006

      1 김용성, "호우총의 구조 복원과 피장자 검토" 한국고대학회 (24) : 445-469, 2006

      2 李弘稙, "최현배선생환갑기념논문집" 1954

      3 조법종, "중국 집안박물관 호태왕명문 방울" 한국고대사학회 33 : 369-380, 2004

      4 朴晉煜, "신라 무덤의 편년에 대하여" 1964

      5 徐榮洙,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38 : 2006

      6 조우연, "고구려의 왕실조상제사-4∼5세기 ‘始祖 朱蒙’의 위상과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60) : 36-73, 2010

      7 조우연, "고구려의 社稷祭祀" 동아시아고대학회 (29) : 197-232, 2012

      8 정호섭, "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9 張福有, "高句麗王陵統鑒" 香港亞洲出版社 2007

      10 東潮, "高句麗王陵と巨大積石冢-國內城時代の陵園制" (199·200) : 2006

      11 朴贊興, "高句麗尺에 대한 硏究" 44 : 1995

      12 이우태, "高句麗尺 再論-高句麗尺과 高麗術의 관계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17) : 261-283, 2007

      13 趙俊杰, "高句麗太王陵墓主“廣開土王”說的反思 -出土銘文銅鈴再硏究" (3) : 2015

      14 篠原啓方, "高句麗太王陵出土銅鈴の釈読について" 4 : 2011

      15 朴泳姬, "韓國 銅鈴과 銅탁에 對한 硏究"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87

      16 尹善泰, "韓國 古代의 尺度와 그 變化-高句麗尺의 誕生과 관련하여" 98 : 2002

      17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集安高句麗王陵 -1990~2003年集安高句麗王陵調査報告書" 文物出版社 2004

      18 集安縣文物保管所, "集安縣兩座高句麗積石墓的淸理" (1) : 1979

      19 吉林省文物考古研究所, "集安出土高句麗文物集粹" 科學出版社 2010

      20 朴仙姬, "銀盒杅 명문의 연대 재검토에 따른 서봉총 금관의 주체 해명" 74 : 2006

      21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22 "考古圖 續考古圖 考古圖釋文" 中華書局 1987

      23 巫鴻, "秦權研究" (4) : 1979

      24 장창은, "瑞鳳塚 출토 銀盒의 성격 재검토" 한국학연구소 43 : 1-32, 2015

      25 張福有, "朱蒙所葬之“龍山”及太王陵銅鈴“崚”字考" (1) : 2006

      26 高光儀, "書體를 통해서 본 高句麗의 正體性 -4~5세기 문자 유물을 중심으로" 18 : 2004

      27 崔秉鉉, "新羅古墳연구"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0

      28 朴光烈, "新羅 瑞鳳塚과 壺杅塚의 絶對年代考" 41 : 1999

      29 신정훈, "新羅 瑞鳳冢의 銀盒 年代와 그 築造時期에 대한 신검토 -역사적 맥락과 관련하여-" 택민국학연구원 (13) : 289-310, 2014

      30 古江亮仁, "慶州瑞鳳塚出土合杅の銘文についての 2·3 の問題" (130) : 1989

      31 小泉顯夫, "慶州瑞鳳塚の發掘" 38 (38): 1927

      32 武田幸男, "廣開土王碑との對話" 백제사 2007

      33 陳玉蘭, "干支紀年太歲紀年公元紀年換算簡法" (1) : 1996

      34 李熙濬, "太王陵의 墓主는 누구인가?" 한국고고학회 (59) : 74-117, 2006

      35 이도학, "太王陵과 將軍塚의 被葬者 問題 再論" 고구려발해학회 19 : 119-147, 2005

      36 李道學, "太王陵과 將軍塚의 被葬者 問題" 69 : 2004

      37 斯琴畢力格, "太初曆的紀年問題 -太歲紀年法被淘汰的原因" 29 (29): 2012

      38 "夢溪筆談" 中華書局 2009

      39 "史記" 中華書局 1959

      40 金昌鎬, "古新羅 瑞鳳塚 출토 銀盒 銘文의 검토" 16 : 1991

      41 嚴燕來 等, "中華古編鍾的樂鍾性質硏究" 23 (23): 2004

      42 王子初, "中國音樂考古學" 福建敎育出版社 2003

      43 陳荃有, "中國靑銅樂鍾硏究" 上海音樂學院出版社 2005

      44 丘光明, "中國科學技術史 度量衡卷" 科學出版社 2001

      45 紫溪, "中國古代度量衡論文集" 中州古籍出版社 1990

      46 中國計量總局, "中國古代度量衡圖集" 文物出版社 1984

      47 丘光明, "中國古代度量衡" 中國國際廣播出版社 2011

      48 李純一, "中國上古出土樂器綜論" 文物出版社 1996

      49 백승옥, "‘辛卯年銘 청동 방울’과 太王陵의 주인공" 부산경남사학회 (56) : 129-161, 2005

      50 中國文物局, "2003中國重要考古發現" 文物出版社 2004

      51 "(1946年發掘報告)壺杅塚과 銀鈴塚 (國立博物館 古蹟調査報告 第1冊)" 乙酉文化社 194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2-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
      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KCI등재후보
      2008-0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3 2.013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