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교양교육과정의 운영사례  :  D대 교양교육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Education Curriculum b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 Focusing on the Operation Cases of Education in D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37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 제시한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중에서 ‘교
      양교육 정상화에 요구되는 제도적, 행정적 지원’내용과 D대학 운영사례의 부합성에 대해
      제시한다. 2010년부터 2018년까지 ACE사업을 수행한 대학을 교양교육운영의 선진사례로
      설정하여, 총 54개 대학 중 대형 대학 22개를 선정하여 D대학과 비교 분석한다. D대학을
      중심으로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대학 교양교육의 운영체계의 실태와 운영사례를 고찰한
      후 대학 교육과정의 지향점에 부합하는 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D대학은 사회수요를 반영하여 교양교육과정을 개편하고, 교양교육원에서 교양대학으로
      직제를 개편하는 등 교양기초교육의 강화를 위한 체계를 구축하였다. 교양교육의 질 관리
      를 위해 교양교육전담 부설연구소를 신설하고, 교양교육과정의 주체성과 전문성 제고를 위
      해 교양대 산하에 8개 학부를 편성하여 교양교육을 위한 교수진을 확보함으로써 교양 교육
      과정 운영을 위한 체계를 갖추었다. 교양교육은 교양교육 전담기관의 주체성 확보와 교양
      교육과정의 체계를 주기적으로 개선하고, 교육 수요를 반영하여 내용을 개선하며, 교양교
      육의 질 관리를 위해 교육 방법을 개선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교양교육은 교육과정의
      토대로서 그 역할에 대한 재정립을 위해 교양교육의 전문성과 학술성을 제고할 수 있는
      교양교육 분야의 차별화된 R&D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 제시한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중에서 ‘교 양교육 정상화에 요구되는 제도적, 행정적 지원’내용과 D대학 운영사례의 부합성에 대해 제시...

      본 연구는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 제시한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중에서 ‘교
      양교육 정상화에 요구되는 제도적, 행정적 지원’내용과 D대학 운영사례의 부합성에 대해
      제시한다. 2010년부터 2018년까지 ACE사업을 수행한 대학을 교양교육운영의 선진사례로
      설정하여, 총 54개 대학 중 대형 대학 22개를 선정하여 D대학과 비교 분석한다. D대학을
      중심으로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대학 교양교육의 운영체계의 실태와 운영사례를 고찰한
      후 대학 교육과정의 지향점에 부합하는 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D대학은 사회수요를 반영하여 교양교육과정을 개편하고, 교양교육원에서 교양대학으로
      직제를 개편하는 등 교양기초교육의 강화를 위한 체계를 구축하였다. 교양교육의 질 관리
      를 위해 교양교육전담 부설연구소를 신설하고, 교양교육과정의 주체성과 전문성 제고를 위
      해 교양대 산하에 8개 학부를 편성하여 교양교육을 위한 교수진을 확보함으로써 교양 교육
      과정 운영을 위한 체계를 갖추었다. 교양교육은 교양교육 전담기관의 주체성 확보와 교양
      교육과정의 체계를 주기적으로 개선하고, 교육 수요를 반영하여 내용을 개선하며, 교양교
      육의 질 관리를 위해 교육 방법을 개선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교양교육은 교육과정의
      토대로서 그 역할에 대한 재정립을 위해 교양교육의 전문성과 학술성을 제고할 수 있는
      교양교육 분야의 차별화된 R&D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conformity of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required
      for the normal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mong standard models of university basic
      education”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Basic Education. The
      universities that carried out ACE projects from 2010 to 2018 are set as advanced cases
      of cultural education operation, and 22 large universities out of a total of 54 universities
      are selected for comparative analysis with D universities.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system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cases of oper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 University presents measures to improve its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university curriculum’s goals.
      D University reorganized its liberal arts education curriculum to reflect social needs, and
      established a system for strengthening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by reorganizing its job
      system from a liberal arts education center to a liberal arts college. To manage the qu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system for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curriculum by securing faculty members for liberal arts education by organizing eight
      departments under the liberal arts college to enhance the self-reliance and professionalism
      of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s. Cultivation education should be able to periodically
      improve the system of cultural education courses and secure the self-reliance of institutions
      dedicated to cultural education, improve the contents by reflecting the demand for
      education, and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for quality control of 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liberal arts education needs differentiated R&D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academic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order
      to redefine its role as the basis for the curriculum.
      번역하기

      This study presents the conformity of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required for the normal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mong standard models of university basic education”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Basic ...

      This study presents the conformity of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required
      for the normal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mong standard models of university basic
      education”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Basic Education. The
      universities that carried out ACE projects from 2010 to 2018 are set as advanced cases
      of cultural education operation, and 22 large universities out of a total of 54 universities
      are selected for comparative analysis with D universities.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system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cases of oper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 University presents measures to improve its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university curriculum’s goals.
      D University reorganized its liberal arts education curriculum to reflect social needs, and
      established a system for strengthening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by reorganizing its job
      system from a liberal arts education center to a liberal arts college. To manage the qu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system for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curriculum by securing faculty members for liberal arts education by organizing eight
      departments under the liberal arts college to enhance the self-reliance and professionalism
      of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s. Cultivation education should be able to periodically
      improve the system of cultural education courses and secure the self-reliance of institutions
      dedicated to cultural education, improve the contents by reflecting the demand for
      education, and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for quality control of 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liberal arts education needs differentiated R&D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academic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order
      to redefine its role as the basis for the curriculu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4
      • Ⅲ. 교양교육과정의 운영사례 8
      • Ⅳ. 결론 29
      • 참고문헌 32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4
      • Ⅲ. 교양교육과정의 운영사례 8
      • Ⅳ. 결론 29
      • 참고문헌 3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