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코로나19 시대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 변화와 지원 방안 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pport Measures in the COVID-19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55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s in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big-data analytics of news articl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t discussed policy support measures that would help members of multicu...

      Under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s in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big-data analytics of news articl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t discussed policy support measures that would help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was based on online news articles to analyze the perceptual changes toward multicultural families during the COVID-19 era and employed a news big-data analysis system called “BIGKinds” to collect news articles. As a search term, “multicultural family” was used, and online news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9 and 2020 were collected to compare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The analysis of related keywords to “multicultural families” that appeared in the 2020 news articles revealed that negative related keywords have increased compared to those published in 2019, the pre-pandemic period. On the basis of su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support measur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era of the pandemic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provid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for these famil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flaws in news reports o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remedy the situation.
      Thir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social networks centered on areas where multicultural families reside, which can lead to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disaster-related public services. (Digital Seoul Culture Arts University, Sangmyung Univers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복희, "한국사회의 혐오표현 실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18

      2 김현진, "프랑스 다문화정책이 한국사회에 주는 시사점" 다문화연구소 6 : 47-72, 2020

      3 국가인권위원회, "코로나19와 혐오의 팬데믹" 2020

      4 강주현, "코로나19로 인한 돌봄 변화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9-40, 2020

      5 전종미, "코로나19 시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가족서비스 운영현황 및 과제-G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1) : 193-204, 2020

      6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코로나19 경험을 통한 여성가족 분야대응전략" 2020

      7 교육부, "출발선 평등을 위한 2021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2021

      8 윤향희,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청소년복지지원법의 개선방향" 유럽헌법학회 (20) : 353-388, 2016

      9 김민수,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교육 지원 정책 발전 방안"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1025-1054, 2019

      10 박미화, "온라인 뉴스 댓글 분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중국동포 혐오증" 다문화평화연구소 11 (11): 92-117, 2017

      1 남복희, "한국사회의 혐오표현 실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18

      2 김현진, "프랑스 다문화정책이 한국사회에 주는 시사점" 다문화연구소 6 : 47-72, 2020

      3 국가인권위원회, "코로나19와 혐오의 팬데믹" 2020

      4 강주현, "코로나19로 인한 돌봄 변화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9-40, 2020

      5 전종미, "코로나19 시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가족서비스 운영현황 및 과제-G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1) : 193-204, 2020

      6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코로나19 경험을 통한 여성가족 분야대응전략" 2020

      7 교육부, "출발선 평등을 위한 2021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2021

      8 윤향희,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청소년복지지원법의 개선방향" 유럽헌법학회 (20) : 353-388, 2016

      9 김민수,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교육 지원 정책 발전 방안"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1025-1054, 2019

      10 박미화, "온라인 뉴스 댓글 분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중국동포 혐오증" 다문화평화연구소 11 (11): 92-117, 2017

      11 박정의, "사회지배 성향과 다문화 수용성: 대학생을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14 (14): 160-183, 2020

      12 한국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 사용자 매뉴얼"

      13 "빅카인즈"

      14 박대민, "방송 뉴스 빅데이터 분석의 가능성" 한국방송공사 28 (28): 7-51, 2016

      15 김수정,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코로나19 대응 및 과제 탐색 - 센터장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생명문화연구소 58 : 245-271, 2020

      16 장신재, "다문화 수용태도 결정요인: 2018년 일반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다문화복지학회 12 (12): 75-92, 2020

      17 서종건, "다문화 수용성과 다문화 교육의 관계: 관계성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2 (12): 1287-1300, 2021

      18 김찬동, "국내에 적용 가능한 해외 다문화정책 사례" 대한지방행정공제회 66 (66): 12-13, 2017

      19 "국가법령정보센터"

      20 이혜수, "결혼이주여성의 정보기기 활용과 사회적응: 연령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801-825, 2020

      21 김민수, "결혼이민자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과 지원 방안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213-235, 2020

      22 김수경, "감염병, 이념, 제노포비아: ‘코로나19’의 정치화와 반중(反中) 현상" 다문화평화연구소 14 (14): 22-43, 2020

      23 최지혜, "[한국인의 정체성] 한국인의 생활세계: 결사체, 다문화, 일과 삶, 소통_한국인 다문화 인식의 다면성"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 1-27, 2020

      24 국가인권위원회, "2020년 차별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20

      25 한국언론진흥재단, "2018 다문화가족 미디어이용 실태조사"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7-3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교문화연구소 -> 다문화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for cross-cultural studies -> Institute for multicultural studies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