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선 센서 인터페이스 모듈과 NCAP 구조의 구현 = Implementation of the Wireless Transducer Interface Module and NCAP archite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77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n implementation of the Network Capable Application Processor (NCAP) and the Wireless Transducer Interface Module (WTIM) architectures based on the new IEEE P1451.5 standard. Proposed architecture is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f...

      This paper presents an implementation of the Network Capable Application Processor (NCAP) and the
      Wireless Transducer Interface Module (WTIM) architectures based on the new IEEE P1451.5 standard. Proposed
      architecture is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for NCAP, an FPGA board, a sensor board and two radio
      modules, which communicate through th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between the NCAP and the
      WTIM based on the IEEE 1451.0 and the IEEE 1451.5 interfaces. In this paper, two experiments has been done
      to verify operations of proposed architecture.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verify that the proposed
      architecture performs the wireless sensor communication functions efficient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최근 표준화가 완성된 IEEE 1451.5 표준을 적용한 네트워크 접속가능한 응용프로세서(NCAP: network capable application processor)와 무선 트랜듀서 접속 모듈(WTIM:wireless transducer interface module)의...

      본 논문은 최근 표준화가 완성된 IEEE 1451.5 표준을 적용한 네트워크 접속가능한 응용프로세서(NCAP: network capable application processor)와 무선 트랜듀서 접속 모듈(WTIM:wireless transducer interface module)의 구현에 대한 연구이다. PC와 무선통신 모듈로 구성되는 NCAP부와, FPGA, 센서 보드,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WTIM 부로 구성된다. NCAP부의 구현에는 C++ 언어가 사용되었고 WTIM 구현에는 FPGA를 이용하여 Verilog-HDL이 사용되었으며 NCAP과 WTIM과의 무선통신은 Zigbee를 이용하였으며 Zigbee의 기능구현을 위하여 nesC를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NCAP과 WTIM은 IEEE 1451.0와 IEEE 1451.5 표준을 통하여 서로 통신하도록 구현하였으며 표준에 근거하여 두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구조가 IEEE 1451.5 표준의 기능적인 부분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IEEE 1451.5/D10.8, "Draft Standard for a Smart Transducer Interface for Sensors and Actuators –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Transducer Electronic Data Sheet (TEDS) Formats"

      2 IEEE 1451.0/D8.00, "Draft Standard for a Smart Transducer Interface for Sensors and Actuators – Common Function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Transducer Electronic Data Sheet (TEDS) Formats"

      3 Song, E.Y., "An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IEEE 1451.0 and 1451.5 standards" 72-77, 2006

      4 Sweetser, D, "A modular approach to IEEE-1451.5 wireless sensor development" 82-87, 2006

      5 Jungil Heo,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of a wireless Ad-hoc Sensor Network based on the IEEE 1451.5”, Advanced Communication Technology" 419-422, 2007

      1 IEEE 1451.5/D10.8, "Draft Standard for a Smart Transducer Interface for Sensors and Actuators –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Transducer Electronic Data Sheet (TEDS) Formats"

      2 IEEE 1451.0/D8.00, "Draft Standard for a Smart Transducer Interface for Sensors and Actuators – Common Function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Transducer Electronic Data Sheet (TEDS) Formats"

      3 Song, E.Y., "An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IEEE 1451.0 and 1451.5 standards" 72-77, 2006

      4 Sweetser, D, "A modular approach to IEEE-1451.5 wireless sensor development" 82-87, 2006

      5 Jungil Heo,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of a wireless Ad-hoc Sensor Network based on the IEEE 1451.5”, Advanced Communication Technology" 419-422,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ICS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34 0.466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