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념적으로 한국에서는 타투인(Tattoo-people)들을 범죄자나 조직폭력배, 비행청소년 등 사회의 규범과 질서를 위반하는 반사회적인 인물로 여긴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타투는 법률적으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통념적으로 한국에서는 타투인(Tattoo-people)들을 범죄자나 조직폭력배, 비행청소년 등 사회의 규범과 질서를 위반하는 반사회적인 인물로 여긴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타투는 법률적으로...
통념적으로 한국에서는 타투인(Tattoo-people)들을 범죄자나 조직폭력배, 비행청소년 등 사회의 규범과 질서를 위반하는 반사회적인 인물로 여긴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타투는 법률적으로 통제 당하고 있으며 일상에서도 배척당하고 있다. 하지만 타투를 하는 사람들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으며 그들의 직업과 연령도 다양해지고 있다. 타투인의 인구학적 변화는 새로운 의미의 타투현상이 등장하고 있다는 것을 내포한다. 그러나 타투현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중들은 타투를 조직폭력배와 연결해서 사유한다. 이러한 사회의 편견과 제재 속에서도 타투를 새긴 것은 사회가 요구하는 신체의 양식을 거부하고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태도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타투현상의 상반된 양상은 타투인의 타투행위와 사회 통제의 충돌을 암시한다. 이러한 충돌은 주체적인 개인에 대한 억압으로 해석된다.
먼저 타투의 달라진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서 타투인이 타투를 새긴 목적별로 집단을 나누어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타투인들의 타투는 크게 패션과 좌우명이나 신념을 위한 타투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었다. 10대 남성청소년과 여성이 패션을 목적으로 타투를 새겼으며 그 특성도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10대 남성청소년의 타투는 과시하기 위한 타투로서 일탈청소년의 힘의 우열에 대한 가치관을 보여주었다. 여성 타투인은 비록 다른 여성들보다 미적으로 우월하고자 하지만 자신만의 관점과 기준으로 타투를 새긴 것은 자본화된 ‘아름다운 육체’에서 이탈했음을 의미한다. 좌우명타투 집단의 타투문구는 자기계발적인 특성을 보이나 이들이 타투를 새기게 된 배경에는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조직하려는 욕망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타투인들은 타투를 새기고 난 이후 다양한 영역에서 갈등을 경험할 수 밖에 없다. 타투인들은 성규범과 가부장적 가족주의, 그리고 제도의 영역에서 통제당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타투인들의 대응은 ‘지우기’와 ‘감추기’, ‘보이지 않는 곳에 새기기’였다. 이들의 대응전략은 타협과 저항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지만 소극적이라는 한계를 보인다. 비록 타투인들은 적극적으로 저항하고 있지 않지만 타투를 통해서 즐거움을 느낀다. 이들이 느끼는 즐거움은 성취감과 자부심, 그리고 자기고유성으로 사회의 규범과 질서를 위반했다는 데서 기인한다. 이러한 타투인들의 즐거움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 양식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욕망을 보여준다. 특정한 가치를 지향하지 않고 때때로 규범을 거부하는 타투인들의 태도는 주류적인 삶의 방식을 파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타투인들은 사회적 편견에 적극적으로 저항하지는 않지만 타투인들이 추구하는 가치와 즐거움은 정해진 인간 양식을 분쇄하고 다양한 스타일의 삶을 제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