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의 다문화사회인식과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학교육의 역할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965370
부산 :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다문화교육 , 2021. 8
2021
한국어
부산
97 ; 26 cm
지도교수: 김창근
I804:21015-20000049888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의 다문화사회인식과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학교육의 역할을 ...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의 다문화사회인식과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학교육의 역할을 제안하고자한다.
설문은 다문화사회에 대해 국내 대학생들의 인식을 세분화하여 조사하기 위해 총 다섯 종류의 항목으로 진행하였다. 각 항목은 문화다양성, 문화교류, 다문화수용성, 취업 및 고용 차원, 대학교육으로 구성되었고 5점 Likert척도와 서술형 문항으로 결과를 수집하였다.
국내 대학생들이 평소에 인지하고 있는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문화다양성 척도에 나타난 결과에서 응답자들은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구성원에 대한 인식이나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으나 국내 대학생들의 외국인 및 이주민과의 관계나 교류에 대한 측정을 위한 문화교류 척도에서 응답자들은 다문화가정구성원들이 우리나라의 관습과 문화에 더 익숙해져야한다는 조사 결과를 통해 상호문화에 대한 교류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며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이 우리나라의 적응을 위해 더 노력해야한다고 생각함을 알 수 있다.
국내 대학생들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과 타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여부를 통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다문화수용성 척도를 통해 응답을 수집하였다. 응답자들은 외국인 유학생과 소통이 부재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문화차이를 느낀다고 조사되었으며 대학에서 국내 대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의 원활한 교류를 위한 교육과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국내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는 매우 높은 편이며 따라서 국내 대학생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이 대학 내 인식을 넘어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으로 확대될 것으로 가정하고 취업 및 고용 척도를 조사하였으며 응답자들이 다문화가정 구성원들로 인해 내국민들의 일자리가 줄어들었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내국민과 이주민 및 외국인 유학생들의 취업지원 유형이 달라야한다는 응답이 대다수였기에 국내 대학생들이 다문화가정구성원으로 인해 취업이나 고용부분에 있어 큰 위기를 느끼거나 다문화구성원과의 사회적 공존에 있어 거부감은 없지만 지원 유형에 있어 차별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설문 결과를 통해 다문화사회에서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대학교육의 역할을 4가지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연계가 필요하다.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해 선택교양과목 뿐 아니라 필수교양과목 및 전공과목을 통해 각 전공에 융합한 교과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연계가 중요하다. 둘째, 다문화수용성을 위한 전공 연계 교육과정 개발을 제안한다. 전공 연계과정을 통해 다문화가정 구성원과 공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으며 학과 뿐 아니라 대학 전체 내 학생 간 소통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 취업 연계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한다. 취업연계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차원을 넘어 사회차원에서까지 다문화수용성의 증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넷째, 대학 내 전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인식개선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대학생을 위한 다문화수용성 증진 교육은 학과, 학교 차원의 노력과 학교 내 구성원 간의 융합을 통해 진행되어야하며 국내 대학생들과 외국인 유학생의 의견을 수립하여 인식개선교육을 계속적으로 개발해야한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해서 대학차원에서 다양한 교육적 노력이 이뤄져야하며 지속적으로 다문화연계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연구해야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