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원산총파업의 공간적 전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최장의 노동쟁의인 1929년 원산총파업의 공간적 전개를 살펴본다. 기존 연구는 민족해방운동이나 계급투쟁이라는 관점에서 원산 노동자의 파업이 지방 도시의 범위를 ...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최장의 노동쟁의인 1929년 원산총파업의 공간적 전개를 살펴본다. 기존 연구는 민족해방운동이나 계급투쟁이라는 관점에서 원산 노동자의 파업이 지방 도시의 범위를 넘어 일본 제국 전역의 억압받던 조선인의 민족적 지지를 받았고 노동자의 정치적 각성을 촉구했음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은 파업이 발생한 원산이란 도시의 사회경제적 조건과 도시 공간에서 펼쳐진 자본가와 노동자의 대립에 초점을 두었다. 이론적 틀로는 지리정치경제학자 데이비드 하비의 전환위기(switching crisis) 이론을 원용한다. 하비에 의하면 자본이 자가증식을 위해 수행하는 공간적 조정(spatial fix)의 여파로 도시에 전환 위기가 찾아오고 이 시기에 자본가는 투자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동자는 삶의 영역을 지키기 위해 도시 공간을 두고 대결을 벌이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원산총파업의 도시적 투쟁 전개의 네 가지 측면을 밝힌다. 첫째, 1920년대 후반 함경도 공업화 초기 단계에서 투자 유치에 실패한 원산 자본가가 도시 투자 조건의 개선을 위해 원산노동연합회를 공격하면서 파업이 시작되었다. 둘째, 원산 자본가는 파업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식민 당국의 지원을 받아 원산 도시 공간을 통제하며 대체 노동자를 고용했다. 셋째, 자본가의 도시 공간 통제에 맞서 원산 노동자들은 그들이 이룬 도시 경제 공동체를 기반으로 투쟁을 지속할 수 있었다. 넷째, 노자대결은 도시의 북쪽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는데 이후 자본가 측이 노동자들의 본거지였던 도시 남쪽에 어용 노동단체를 설립하자 이를 계기로 노동자들의 세력이 급격히 약화하였고 파업은 실패로 돌아갔다. 원산총파업과 도시 공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본 논문은 당시 상황을 시간순으로 자세히 기록한 한글 신문과 정부 및 민간의 보고서뿐만 아니라 사진, 엽서, 지도 같은 시각 자료를 활용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Wonsan General Strike of 1929, the longest labor disput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rom a spatial perspective. Adopting the perspective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or class struggle, existing studies show tha...

      This paper examines the Wonsan General Strike of 1929, the longest labor disput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rom a spatial perspective. Adopting the perspective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or class struggle, existing studies show that the Wonsan workers’ strike received nation-wide support from colonial Koreans and that they pursued the political awakening of the workers beyond their immediate locality. Instead,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of Wonsan, where the strike took place, 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capitalists and workers in urban spaces. It employs the geographical political economist David Harvey’s urban theory, which teaches that a switching crisis comes to cities in the aftermath of the spatial fix that capital performs for self-aggrandization. At this time, urban spaces become a locus where capitalists strive to improve the investment environment at the expanse of workers’ labor conditions. The latter struggles to protect their realm of life. Specifically, this paper reveals four aspects of the urban development of the Wonsan General Strike. First, the strike began when Wonsan employers attacked the Wonsan Labor Federation after failing to attract investment in the early stages of industrialization in Hamgyeong Province. Second, after entering the strike, Wonsan capitalists deployed a tight control over the city space in Wonsan with the colonial authorities’ support. In turn, third, Wonsan workers continued their struggle against the capitalist’s control of urban space based on the urban community they had built up for a decade. Lastly, the workers’ struggle met a shart decline when the capitalists established a businessfriendly labor organization in the southern part of the city in collaboration with the city’s Korean merchan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nsan General Strike and the urban space, this paper utilizes visual materials such as photographs, postcards, maps, and Korean newspapers and government and private reports that recorded the situation in detail in chronological ord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전환 위기의 원산
      • 3. 원산역과 원산항 봉쇄
      • 4. 석우동 거리 시위와 노련 회관
      • 5. 원산리에 들어선 함남노동회
      • 1. 머리말
      • 2. 전환 위기의 원산
      • 3. 원산역과 원산항 봉쇄
      • 4. 석우동 거리 시위와 노련 회관
      • 5. 원산리에 들어선 함남노동회
      • 6.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중렬, "항일 노동투쟁사" 집현사 1978

      2 김경일,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 운동" 문학과지성사 2004

      3 이은상, "중일전쟁(中日戰爭) 이전 시기(1912∼1936) 조선의 원산화교(元山華僑)" 인문학연구원 (60) : 103-147, 2016

      4 "중외일보"

      5 고승희, "조선후기 함경도 상업연구" 국학자료원 2003

      6 "조선일보"

      7 "조선신문"

      8 오미일, "제국의 관문 : 개항장 도시의 식민지 근대" 선인 2017

      9 양지혜, "일제하 일본질소비료(주)의 흥남 건설과 지역사회" 한양대학교 2020

      10 임경석, "일제하 사회주의운동사" 한길사 1991

      1 김중렬, "항일 노동투쟁사" 집현사 1978

      2 김경일,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 운동" 문학과지성사 2004

      3 이은상, "중일전쟁(中日戰爭) 이전 시기(1912∼1936) 조선의 원산화교(元山華僑)" 인문학연구원 (60) : 103-147, 2016

      4 "중외일보"

      5 고승희, "조선후기 함경도 상업연구" 국학자료원 2003

      6 "조선일보"

      7 "조선신문"

      8 오미일, "제국의 관문 : 개항장 도시의 식민지 근대" 선인 2017

      9 양지혜, "일제하 일본질소비료(주)의 흥남 건설과 지역사회" 한양대학교 2020

      10 임경석, "일제하 사회주의운동사" 한길사 1991

      11 고윤수, "일제하 大田의 한국인 有志들의 등장과 변화 -1920~1935년 대전의 주요 한국인 ‘公職者’들과 지역사회-" 호서사학회 (91) : 139-178, 2019

      12 김남석, "일제강점기 원산의 극장 원산관(元山舘) 연구: 지역의 문화적 거점 공간 생성과 활용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85 : 119-136, 2015

      13 조영환, "일제강점기 시가지계획령에 관한 연구" 2010

      14 김일수, "일제강점기 대구노동회의 활동과 성격" 역사학연구소 (21) : 169-200, 2011

      15 정일영, "일제 식민지기‘원산노동병원’의 설립과 그 의의" 대한의사학회 25 (25): 445-488, 2016

      16 경성복심법원, "이용환 등 17인 판결문"

      17 이은상, "원산화교와 배화폭동(排華暴動)" 중국근현대사학회 (72) : 91-117, 2016

      18 김광운, "원산총파업을 통해 본 노동자조직의 건설문제" 한국역사연구회 2 : 1989

      19 전우용, "원산에서의 식민지 수탈체제의 구축과 노동자계급의 성장" 한국역사연구회 2 : 1989

      20 원산부, "원산부계선벽 및 잔교사용 조례 설정의 건(도면 및 회의록 첨부)"

      21 양상호, "원산거류지(元山居留地)의 도시공간(都市空間)의 형성과정(形成過程)에 관한 고찰(考察)" 한국건축역사학회 3 (3): 1994

      22 배성찬, "식민지시대 사회운동론 연구" 돌베개 1987

      23 "시대일보"

      24 김경일, "북한 학계의 1920, 30년대 노동운동 연구" 창작과비평사 1989

      25 "북선시사일보"

      26 "부산일보"

      27 김동노, "반농반노: 일제시대 농민운동의 근대적 전환과 노동운동의 형성"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1 (31): 11-30, 2007

      28 "매일신보"

      29 "동아일보"

      30 현명호, "대한제국기 원산항 노동자의 근대적 노동운동"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6) : 303-338, 2020

      31 김윤환, "韓國勞動運動史 I" 청사 1978

      32 강동진, "韓國近代史論 3" 지식산업사 1977

      33 朝鮮總督府 警務局 圖書課, "調査資料 第9輯: 元山勞動爭議に關する新聞の論調"

      34 元山商業會議所, "統計年報 昭和4年"

      35 元山商業會議所, "統計年報 昭和3年"

      36 コリア研究所, "消された言論 : 日本統治下の「朝鮮日報」·「東亜日報」押収記事集" 未来社 1990

      37 朝鮮運送, "朝鮮運送株式會社十年史" 朝鮮運送 1940

      38 원산부, "日本海の商港 元山" 元山府 1926

      39 孫禎睦, "日帝下 化學工業都市 興南에 관한 硏究(下)" 일지사 16 (16): 1990

      40 孫禎睦, "日帝下 化學工業都市 興南에 관한 硏究(上)" 일지사 16 (16): 1990

      41 경성종로경찰서장, "思想問題에 關한 調査書類 6" 국사편찬위원회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1929

      42 조선총독부 경무국장, "思想問題에 關한 調査書類 6" 국사편찬위원회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1929

      43 경성종로경찰서장, "思想問題에 關한 調査書類 6" 국사편찬위원회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1929

      44 宮崎勇熊, "北韓の実業 : 富源開発" 輝文館 1905

      45 元山商業會議所, "勞動爭議問題の經過報告竝今後注意すべき要旨の演述"

      46 元山經濟調査會, "元山港經濟槪覽 Vol. 2"

      47 조선총독부, "元山府公職者大會に關する件"

      48 韓國敎會史文獻硏究院, "元山地域勞動組合事件"

      49 金森襄作, "元山ゼネストと朝鮮の労働運動 1-3" 日本朝鮮硏究所 176-178 : 1978

      50 배상미, "『조선출판경찰월보』에 수록된 원산총파업 지지 삐라" 한림과학원 (23) : 335-361, 2019

      51 David Harvey, "Urbanization and Urban Planning in Capitalist Society" Methuen 1981

      52 Siniawer, Eiko Maruko, "Ruffians, Yakuza, Nationalists : The Violent Politics of Modern Japan, 1860-1960"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

      53 David Harvey, "Rebel Cities : From the Right to the City to the Urban Revolution" Verso 2012

      54 David Harvey, "Paris, Capital of Modernity" Routledge 2006

      55 Mark Metzler, "Lever of Empire : The International Gold Standard and the Crisis of Liberalism in Prewar Jap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56 Shin, Michael D, "Korean National Identit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 Yi Gwangsu and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Routledge 2018

      57 Robert L. Jarman, "Korea : Political & Economic Reports 1882-1970" 2014

      58 Takeuchi, Yusuke, "Economic Activitie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Empire" Springer 2016

      59 류상진, "1930년대 총독부의 석유정책과 조선 내 석유시장의 변화"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7) : 123-155, 2018

      60 안태정, "1930년대 원산지역의 혁명적 노동운동(1930~1938)" 한국역사연구회 2 : 1989

      61 김경일, "1929년 원산 총파업에 대하여: 60주년에 즈음한 역사적 성격의 재평가" 창작과비평사 63 : 1989

      62 유현, "1920년대 노동 운동의 발전과 원산 총파업" 한국사회사학회 19 : 1990

      63 김은희, "1920~40년 일제강점기 조선인 민간신문의 사진을 통한 사회적 하층민 재현 연구" 서울대학교 2014

      64 오미일, "1920~1930년대 초반 원산지역 조선인 자본가층의 지역정치 - 시영회와 시민협회의 선거 및 노동 개입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75) : 151-188, 2016

      65 김학철, "(항일독립군)최후의 분대장" 문학과 지성사 1995

      66 김남석, ""제방을 넘은 곳"에 투영된 도시 빈민의 형상과 원산 파업의 의미" 민족문화연구원 (85) : 423-452,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2 1.44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