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각적 단어재인에서 음운부호의 활성화 시점 = Temporal Locus of the Influence of Phonological Information during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 Event-Related Potential Evidences of Homopho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535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phonological information of visually presented words had an effect on the pre-lexical stage by investigating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during lexical decision. To do so, 21 participants performed a go/no-go lexica...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phonological information of visually presented words had an effect on the pre-lexical stage by investigating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during lexical decision. To do so, 21 participants performed a go/no-go lexical decision task consisting of heterographic homophones (e.g., 같이 – 가치), homographic homophones (e.g., 경비) and control words (e.g., 온탕). Although the N250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e N400 effect was significant between conditions. In the discus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voltage map and sLORETA about N250 and suggests that phonological information is used early during the pre-lexical word recognition proc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 결과
      • 4. 종합논의
      • 5. 맺음말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 결과
      • 4. 종합논의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