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흰쥐 척수 및 등뿌리신경절에서 Tyrosine Hydroxylase 함유구조물의 분포 = Distribution of Tyrosine Hydroxylse Immunoreactive Structure in the Spinal Cord and Dorsal Root Ganglion of the Ra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365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상 흰쥐의 각 분절별 척수 및 등뿌리신경절에서 catecholamine 함유구조물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tyrosine hydroxylase(TH)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TH ...

      정상 흰쥐의 각 분절별 척수 및 등뿌리신경절에서 catecholamine 함유구조물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tyrosine hydroxylase(TH)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TH 함유신경세포는 목척수분절과 엉치척수분절에서 관찰되었다. 목척수분절의 TH 함유신경세포는 첫째와 둘째 목척수분절에서만 관찰되었으며 신경돌기가 잘 발달된 다각형의 세포인 것으로 보아 이들은 뇌줄기의 TH 함유신경세포군이 목척수분절로 연장된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엉치척수분절에서 관찰되는 대부분의 TH 함유신경세포는 세포돌기가 보이지 않고 세포체부분만 면역염색되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퇴화단계의 세포인 것으로 생각된다. TH 함유신경섬유는 척수의 모든 분절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들 TH 함유신경섬유가 각 척수분절의 등뿔보다 배쪽뿔과 중간뿔에서 훨씬 높은 밀도로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catecholamine은 척수에서 체성감각뿐만 아니라 자율신경계 및 운동신경계의 조절에 관여하리라 생각된다.
      등뿌리신경절에서 관찰되는 TH 함유신경세포는 척수의 엉치분절에서 관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세포돌기가 거의 보이지 않고 세포체부분만 염색되어 보였다. 또한 등뿌리 신경절의 TH 함유신경섬유는 혈관의 벽을 나선형으로 감고 돌아가는 형태로 관찰되었으며 어느 것도 등뿌리신경절의 신경세포와 연관되어 관찰되지는 않았다. 이로 보아 정상 쥐의 등뿌리신경절에서 catecholamine은 신경세포 사이의 신경전달이나 졸절보다는 신경절 내의 혈류조절과 관계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aim of gaining more insight into the catecholaminergic system in the nervous system of the rat, we have studied the precis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tyrosine hydroxylase immunoreactive (TH-IR) fibers and soma in the spinal cord and dorsal ...

      With the aim of gaining more insight into the catecholaminergic system in the nervous system of the rat, we have studied the precis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tyrosine hydroxylase immunoreactive (TH-IR) fibers and soma in the spinal cord and dorsal root ganglion.
      In the dorsal root ganglion (DRG) TH-IR fibers were observed to run along the vessel wall, spirally and not found in the neural tissue itself. A few TH-IR fibers were found in the spinal nerve, not in the ventral root. Many TH-IR neurons were distributed in the L3, 4, 5, and 6 DRG but none of them were found in the other DRG segments.
      In the spinal cord, TH-IR fibers have shown sparse distribution all over spinal cord but relatively dense distribution in the ventral hom, intermediolateral column, lamina I of the dorsal horn of the cervical, lumbar, sacral, and coccygeal segment. TH-IR neurons were found in the interrmediolateral column, dorsal gray commissure, dorsal horn of the C1 and C2 segments and S1-4 segments. TH-IR neurons in the cervical segments were polygonal or spindle shaped with well developed processes. In contrast to this, TH-IR neurons in the sacral segments were oval or spindle shaped withe no processes.
      In conclusion, neurons in the DRG were not influenced by catecholaminergic nervous input. Intrinsic catecholaminergic nervous systems were found in both of spinal cord and DRG.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